伝統文化

 朝鮮時代のソウルは東西南北で山が取り囲まれていて平地と山を通り過ぎる城郭がある城郭都市だった. 中間には平地を横切る清渓川が東に流れて城外の漢江で合流して漢江はまた西方へ流れる. 北山が下る平地に朝鮮の中心と言える 正規の宮である景福宮が 立てられたし王が政治を行う所だった. 宮廷中には王の空間を除いても 闕内各司だと呼ぶ  臣下たちが業務を見る空間があった. 宮廷の外には 闕外各司だと呼ぶ多くの行政官庁があったがその中 六曹が集まっていた所が六朝距離(通り)(六曹街)だ.

 

 

 六朝距離(通り)は朝鮮の都邑ソウルの設計者である鄭道伝によって 1395年に造成されたが景福宮の正門である光化門を中心に左右で王が臣下を従える姿のように多くの行政機関たちが配置された. 光化門前に付いた道は南につながって東西に伸びている道に合流してソウルの商業中心地であるウンゾングがと合流する. 六朝距離(通り)は朝鮮で一番広くて象徴的な 道だったし王から最下層民まで往来する広場みたいな 道だった.  

 

 

 光化門前に配置された行政官庁の配置は次のようだ. 西の方から三軍府(三軍府)は軍事業務担当, 中枢部(中樞府)は時代によって機能が違ったし司憲府(司憲府)は今の検察と似ていて兵曹(兵曹)は国防省, 刑曹(刑曹)は法務省, 共助(工曹)は建設交通省位になるはずで東から議政府(議政府)は内閣回の, 礼曹判書(礼曹)は教育, 儀礼, 外交などを担当して朝鮮王朝(吏曹)は 人事を担当する行政安全部, 好調(戸曹)は財政, 税金担当, 漢城府(漢城府)はソウル市役所, 岐路所(耆老所)は国家元老クラブ位だと思えば良いでしょう. 

 

 当時のソウル市役所と言える漢城府.

 

 

 多分建物の配置を見ては三軍府だと考えられる.

 

 

 光化門の位置を見てはやっぱり三軍府の空所で訓練する軍事だと考えられる.

 

 写真を撮った位置が慶喜宮東北の方近くだと考えられるのに左側に位する官庁は宮廷内に使う物品を管理する機能をした. 景福宮も見えるのに中間には宮廷の正門である光化門があって 順番どおりフングリェムン, グンゾングムン, 勤政殿が見える.

 

 

 朝鮮時代の六朝距離(通り)で 碑殿だと表示された部分は高宗皇帝が即位してから 40年を記念する碑石だ. ここにまん前に里程元標という表示を立ててソウルで各地方の道路の町はここからはかったから 国道の原点と同時に韓国の中心と 言える.

 

 約 60年前の姿のようなのに道は 碑殿の位置を見る時西の方にちょっと移されたようで直線化になった道路に変わったし朝鮮時代のほとんどすべての建物は撤去された姿だ. 日帝時代にはこの距離(通り)を 光化門通と呼んだ.

 

 解放後にはこの距離(通り)は世宗路という名前に変わったし相変らず韓国の中心大路だと言える所だ. 光化門前に 行政府建物が位してその外周辺に重要建物が位する. 100年前と比べると 碑殿 外には完全に変わったが今も国家を象徴する一番重要な距離(通り)で場所性の価値は喪失しなかったようだ.

 


조선의 정치 1번지

 조선시대의 서울은 동서남북으로 산이 둘러싸여 있고 평지와 산을 지나가는 성곽이 있는 성곽도시였다. 중간에는 평지를 가로지르는 청계천이 동쪽으로 흘러 성밖의 한강으로 합류하여 한강은 다시 서쪽으로 흐른다. 북쪽 산이 내려오는 평지에 조선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정궁인 경복궁이 세워졌고 왕이 정치를 행하는 곳이었다. 궁궐 안에는 왕의 공간말고도 闕內各司라고 부르는  신하들이 업무를 보는 공간이 있었다. 궁궐 밖에는 闕外各司라고 부르는 여러 행정관청이 있었는데 그 중 六曹가 모여있던 곳이 육조거리(六曹街)이다.

 

 육조거리는 조선의 도읍 서울의 설계자인 정도전에 의해 1395년에 조성되었는데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을 중심으로 좌우로 왕이 신하를 거느리는 모습처럼 여러 행정기관들이 배치되었다. 광화문 앞으로 난 길은 남쪽으로 이어져 동서로 뻗어있는 길에 합류해 서울의 상업중심지인 운종가와 합류한다. 육조거리는 조선에서 가장 넓고 상징적인 길이었고 왕에서부터 최하층민까지 지나다니는 광장같은 길이었다.  

 

 

 광화문 앞으로 배치된 행정관청의 배치는 다음과 같다. 서쪽부터 삼군부(三軍府)는 군사업무 담당, 중추부(中樞府)는 시대에 따라 기능이 달랐고 사헌부(司憲府)는 지금의 검찰과 비슷하고 병조(兵曹)는 국방부, 형조(刑曹)는 법무부, 공조(工曹)는 건설교통부 정도가 될 것이고 동쪽부터 의정부(議政府)는 내각회의, 예조(禮曹)는 교육, 의례, 외교 등을 담당하고 이조(吏曹)는 人事를 담당하는 행정안전부, 호조(戶曹)는 재정, 세금 담당, 한성부(漢城府)는 서울시청, 기로소(耆老所)는 국가원로 클럽 정도라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당시의 서울시청이라 할 수 있는 한성부.

 

 아마 건물의 배치를 봐서는 삼군부라고 생각된다.

 

 

 광화문의 위치를 봐서는 역시 삼군부의 공터에서 훈련하는 군사라고 생각된다.

 

 사진을 찍은 위치가 경희궁 동북쪽 근처라고 생각되는데 좌측에 위치하는 관청은 궁궐 내에 사용하는 물품을 관리하는 기능을 하였다. 경복궁도 보이는데 중간에는 궁궐의 정문인 광화문이 있고 차례대로 흥례문, 근정문, 근정전이 보인다.

 

 

 조선시대의 육조거리로 碑殿이라고 표시된 부분은 고종황제가 즉위한지 40년을 기념하는 비석이다. 여기 바로 앞에 이정원표라는 표시를 세워 서울에서 각 지방의 도로의 거리는 여기에서부터 재었기 때문에 國道의 원점이자 한국의 중심이라 할 수 있다.

 

 약 60년 전의 모습인 것 같은데 길은 碑殿의 위치를 볼 때 서쪽으로 약간 옮겨진 것 같고 직선화가 된 도로로 변했으며 조선시대의 거의 모든 건물은 철거된 모습이다. 일제시대에는 이 거리를 光化門通이라 불렀다.

 

 해방 후에는 이 거리는 세종로라는 이름으로 바뀌었고 여전히 한국의 중심大路라고 할 수 있는 곳이다. 광화문 앞으로 행정부 건물이 위치하고 그 외 주변에 중요건물이 위치한다. 100년전과 비교하면 碑殿 외에는 완전히 달라졌지만 지금도 국가를 상징하는 가장 중요한 거리로 장소성의 가치는 상실하지 않은 듯 하다.

 



TOTAL: 8853

番号 タイトル ライター 参照 推薦
2373
No Image
偶然くじら600頭超え 【卑怯お下劣】 rindow 2010-06-21 2731 0
2372
No Image
古代日本が古代朝鮮の属国にするに....... sumatera 2010-06-21 2608 0
2371
No Image
日本 茶道 文化と陶磁器 namgaya33 2010-06-21 2442 0
2370
No Image
9センチを削り取れ! koyoi 2010-06-21 3373 0
2369
No Image
笑うことができる日本人 WOLFk 2010-06-21 1273 0
2368
No Image
日本人教育 - 正座の歴史 Marich 2010-06-21 2888 0
2367
No Image
日本人教育 - 正座の歴史(ハングル版)....... Marich 2010-06-21 2387 0
2366
No Image
日本 性理学の師匠 2010-06-21 1858 0
2365
No Image
日本の海外交流史 - 2編 2010-06-20 1972 0
2364
No Image
犬が笑うW 日本のおかげでW WOLFk 2010-06-20 2336 0
2363
No Image
【雑談】転機になった歴史上の事件 sumatera 2010-06-20 1509 0
2362
No Image
韓国の発展は、日本のおかげさま tyonzenmetu 2010-06-20 2100 0
2361
No Image
通信使のいい話とわるい話 fmdoll 2010-06-19 3040 0
2360
No Image
朝鮮の王陵 shakalaka 2010-06-19 1700 0
2359
No Image
終わらない戦争 namgaya33 2010-06-18 1779 0
2358
No Image
これが礼儀作法? shoppari 2010-06-18 2455 0
2357
No Image
韓国から中国に伝わった伝統 koyoi 2010-06-18 2765 0
2356
No Image
浮世絵 歌川国貞(1786年-1865年) 1192津九郎 2010-06-17 3703 0
2355
No Image
韓国と日本の養鶏 Marich 2010-06-17 2545 0
2354
No Image
日本人 教育 - 日本の養鶏 Marich 2010-06-17 22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