伝統文化

 

 仏教経典である妙法連火頃には仏様が零縮山で 説法した後 空で多くの花たちが雨降るようにこぼして下って仏様とすべての大衆の上に振り撤いたしまた仏様が菩提樹木の下に座っている時多くの梵天たちがいろいろの空花を雨のように降って積もったし香ばしい風がまた吹いて来て萎んだ花は飛ばしてしまってまた新しい花を振り撤いたという話が出る. このように仏様が説法を終えて覚ますことを得た時空で祝福の花費を下げたことを経典では ‘寓話で(雨花瑞)と言う. だから花は仏教で重要な象徴物で思った.

 

 

 

 花が咲いた後には 必ず実を結ぶ. そうだから修行者たちはよく花が咲くことを解脱成就のための精進(精進)に比喩する. 解脱を成すためには遂行と慈悲の実践など万種類の実行が必要だ. そんなわけに修行者は実を結ぶ前に先に咲き始める花の速成を模範と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思った.

 

 

 仏様にあげる六種供物がある. 香, 花, など, お茶, お菓子, 米(香・花・燈・茶・果・米)がそれだ. このなかに花は香, などといっしょに精神的供物に認識されてまた仏子たちは香を法身(法身), 花を補身(報身), などを化身(化身)に比喩する. だからコッサルムンに刻まれた幾多の花たちはその一つ一つが法身(法身)を現わして仏様を向けた衆生たちの歓喜と崇仰心(崇仰心)の表象でもあったのだ. 


 

 

 花肉お問い合わせ製作技法をよく見れば, 桟自体を花模様で彫刻して組んで合わせたこと, 別に彫刻した花模様をビッサルやソッウルビッサルの交差点ごとに付けたこと, そして花文様を板にすかしぼりして桟の上に付けたことなどがある. 花の種類は蓮華, 牡丹, 菊(菊花), 鋳貨(朱花)が 多いが名前をわからない観念的な花たちも少なくない. 花びらは 6しゅうとのが大部分であり, 4枚またはひまわり, 百日紅のように多い花びらを持ったこともある. この以外に花瓶に花をさしておいた姿を描いたこと, 民画のようにヨンバッ情景を主題にしたこと, そして四君子, 牡丹, ぶどうのような吉祥(吉祥) 植物を表現したことなどがある.

 

 

 韓屋によく使われるティサルムン, 格子門, ワンザサルムンなどを組む時は桟の仕組と空間比例, そして門としての機能性を重要視する. これと他に査察のコッサルムンは飾り效果と象徴性にもっと大きい重さが与えられている. だからコッサルムンは出入り, 開閉というお問い合わせ一般機能を飛び越えた新しい次元の門と同時に建築飾り美術と言える. 仏像を仕えた法堂は仏様が士夫大衆(四部大衆)を向けて 説法した霊山回想(霊山会上)に比較される. それで法堂コッサルムンに刻まれた花たちは仏様が零縮山で説法する時下った花費を象徴すると見られる.

 

 

 こんな意味を持ったコッサルムンが多くの査察に残っている. 通度寺大雄殿東の方コッサルムンは格子肉とビッサルが交差する部分ごとに花を飾った門だ. 花は菊, 蓮華, 牡丹の三つの種類があるのに, 中央に菊の花を垂直一列で配置してその両方に蓮華と牡丹をそれぞれ配置した. そして菊の花を四方にかけてすべての花たちを取り囲む形式を取ったが模様が美しくて彫り腕前が精巧だ.

 

 

 扶安来蘇寺大雄宝殿全面には皆 8個のコッサルムンが走っているのに, 彩色ははげたが切れ腕前が一様にすぐれる. これら門の中一つは下側にはつぼみが彫刻されていてその上方へぱーっと咲いた花が配置されているのに, このような構図は一般的なコッサルムンで見られない. 遂行精進して不誠を覚まして解脱に至る段階をつぼみとぱーっと咲いた花に象徴化した珍しい例に属する.

 

 

 

 浄水寺大雄宝殿のコッサルムンは花を花瓶にさしておいた姿を丸ごとすかしぼりして桟の上に付けた形式なのに赤色, 群青, 黄色, 白の花を花瓶にさしておいた姿を描いていて全体的な姿が仏壇にあげる供養化を連想させる. 最近また補修しながら色を塗って 高卒米価たくさん毀損されたがスンゾングミはまだ素朴な切れ技法の中に生きている.

 

 

 東学寺大雄殿コッサルムンもすかしぼり技法で飾った門だ. 浄水寺の花肉文様が図式的なら, 東学寺の物は絵画的だ. 大雄殿全面 10俵の門に皆花草すかしぼり飾りが施されている. 中間の二つのとびらに梅, その両方に蘭, そしてその左側と右側にいる三人の相棒門にそれぞれ松と鶴, 竹, 菊がすかしぼりされている. これは法堂を神聖さが充満する空間で造成することと同時に仏壇の仏様を壮厳しようとする宗教的熱情と祈願の所産だ.

 

 

 

 腥血社羅漢前は全面 3間になっているのに, オカンの二つのとびらに蓮華, 僧侶, 鳥, 蛙, 魚などがすかしぼりされた飾り版がビッサルの上に附着している. 中央二つのとびらの文様が対称を成していることを見る時一つの本を使ったことで見当がつく. 童話の世界を描いた一幅の民画を見るような感じを与える美しくて情があふれた感じを与えるコッサルムンだ. コッサルムンは仏様を向けた宗教的熱情と信仰心, そして韓国的美意識が盛られている建築飾り美術と言えるでしょう.

 

 


꽃살문

 

 불교 경전인 묘법연화경에는 부처님께서 영축산에서 설법한 뒤 하늘에서 여러 꽃들이 비 오듯이 쏟아 내려 부처님과 모든 대중 위에 뿌렸고 또 부처님이 보리수 나무 아래에 앉아 있을 때 여러 범천들이 갖가지 하늘 꽃을 비처럼 내려 쌓였고 향기로운 바람이 또 불어와서 시든 꽃은 날려 버리고 다시 새로운 꽃을 뿌렸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이와 같이 부처님이 설법을 마치고 깨우침을 얻었을 때 하늘에서 축복의 꽃비를 내린 것을 경전에서는 ‘우화서(雨花瑞)라고 말한다. 때문에 꽃은 불교에서 중요한 상징물로 여겼다.

 

 

 

 꽃이 핀 후에는 반드시 열매를 맺는다. 그렇기 때문에 수행자들은 흔히 꽃이 피는 것을 해탈 성취를 위한 정진(精進)에 비유한다. 해탈을 이루기 위해서는 수행과 자비의 실천 등 만 가지의 실행이 필요하다. 그런 까닭에 수행자는 열매를 맺기 전에 먼저 피어나는 꽃의 속성을 본받아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부처님께 올리는 여섯 가지 공양물이 있다. 향, 꽃, 등, 차, 과자, 쌀(香·花·燈·茶·果·米)가 그것이다. 이 가운데 꽃은 향, 등과 더불어 정신적 공양물로 인식되고 또한 불자들은 향을 법신(法身), 꽃을 보신(報身), 등을 화신(化身)에 비유한다. 그러므로 꽃살문에 새겨진 수많은 꽃들은 그 하나하나가 법신(法身)을 나타내고 부처님을 향한 중생들의 환희와 숭앙심(崇仰心)의 표상이기도 한 것이다. 


 

 꽃살문의 제작 기법을 살펴보면, 문살 자체를 꽃모양으로 조각하여 짜서 맞춘 것, 따로 조각한 꽃모양을 빗살이나 솟을빗살의 교차점마다 붙인 것, 그리고 꽃문양을 판자에 투각하여 문살 위에 붙인 것 등이 있다. 꽃의 종류는 연꽃, 모란, 국화(菊花), 주화(朱花)가 많지만 이름을 알 수 없는 관념적인 꽃들도 적지 않다. 꽃잎은 6장인 것이 대부분이며, 4장 또는 해바라기, 백일홍 같이 많은 꽃잎을 가진 것도 있다. 이밖에 화병에 꽃을 꽂아 놓은 모습을 묘사한 것, 민화처럼 연밭 정경을 주제로 삼은 것, 그리고 사군자, 모란, 포도와 같은 길상(吉祥) 식물을 표현한 것 등이 있다.

 

 

 한옥에 흔히 쓰이는 띠살문, 격자문, 완자살문 등을 짤 때는 문살의 짜임새와 공간 비례, 그리고 문으로서의 기능성을 중요시한다. 이와 달리 사찰의 꽃살문은 장식 효과와 상징성에 더 큰 무게가 주어져 있다. 그러므로 꽃살문은 출입, 개폐라는 문의 일반 기능을 뛰어넘은 새 차원의 문이자 건축 장식 미술이라 할 수 있다. 불상을 모신 법당은 부처님이 사부대중(四部大衆)을 향해 설법한 영산회상(靈山會上)에 비교된다. 그래서 법당 꽃살문에 새겨진 꽃들은 부처님이 영축산에서 설법할 때 내린 꽃비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의미를 가진 꽃살문이 여러 사찰에 남아있다. 통도사 대웅전 동편 꽃살문은 격자살과 빗살이 교차하는 부분마다 꽃을 장식한 문이다. 꽃은 국화, 연꽃, 모란의 세 종류가 있는데, 중앙에 국화꽃을 수직 일렬로 배치하고 그 양쪽에 연꽃과 모란을 각각 배치했다. 그리고 국화꽃을 사방에 둘러 모든 꽃들을 둘러싸는 형식을 취했는데 모양이 아름답고 조각 솜씨가 정교하다.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 전면에는 모두 8개의 꽃살문이 달려 있는데, 채색은 벗겨졌지만 조각 솜씨가 하나 같이 뛰어나다. 이들 문 가운데 하나는 아래쪽에는 꽃봉오리가 조각되어 있고 그 위쪽으로 활짝 핀 꽃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구도는 일반적인 꽃살문에서 볼 수 없다. 수행 정진하여 불성을 깨우치고 해탈에 이르는 단계를 꽃봉오리와 활짝 핀 꽃으로 상징화한 드문 예에 속한다.

 

 

 정수사 대웅보전의 꽃살문은 꽃을 화병에 꽂아 놓은 모습을 통째로 투각하여 문살 위에 붙인 형식인데 붉은색, 군청색, 황색, 흰색의 꽃을 화병에 꽂아 놓은 모습을 묘사하고 있어 전체적인 모습이 불단에 올리는 공양화를 연상시킨다. 최근에 다시 보수하면서 색을 칠해 고졸미가 많이 훼손됐지만 순정미는 아직도 소박한 조각기법 속에 살아 있다.

 

 

 동학사 대웅전 꽃살문 역시 투각기법으로 치장한 문이다. 정수사의 꽃살문양이 도식적이라면, 동학사의 것은 회화적이다. 대웅전 전면 10짝의 문에 모두 화초 투각 장식이 베풀어져 있다. 가운데 칸의 두 문짝에 매화, 그 양쪽에 난초, 그리고 그 왼쪽과 오른쪽에 있는 세 짝 문에 각각 소나무와 학, 대나무, 국화가 투각되어 있다. 이것은 법당을 성스러움이 충만한 공간으로 조성함과 아울러 불단의 부처님을 장엄하려는 종교적 열정과 기원의 소산이다.

 

 

 

 성혈사 나한전은 전면 3칸으로 되어 있는데, 어칸의 두 문짝에 연꽃, 승려, 새, 개구리, 물고기 등이 투각된 장식판이 빗살 위에 부착되어 있다. 중앙 두 문짝의 문양이 대칭을 이루고 있는 것을 볼 때 하나의 본을 사용한 것으로 짐작된다. 동화의 세계를 그린 한 폭의 민화를 보는 것 같은 느낌을 주는 아름답고 정겨운 느낌을 주는 꽃살문이다. 꽃살문은 부처님을 향한 종교적 열정과 신앙심, 그리고 한국적 미의식이 담겨있는 건축 장식 미술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OTAL: 8819

番号 タイトル ライター 参照 推薦
3199
No Image
朝鮮後期旧韓国末近代新聞 namgaya33 2010-11-29 3404 0
3198
No Image
韓国人教育用「博山炉」 koyoi 2010-11-29 7764 0
3197
No Image
中国の金銅対向路 cncncnl 2010-11-29 1752 0
3196
No Image
百済金銅対向路 namgaya33 2010-11-28 2489 0
3195
No Image
朝鮮人と日本人のくびき divine123 2010-11-27 2119 0
3194
No Image
内容を反駁 2010-11-27 2019 0
3193
No Image
朝鮮近代教育の先駆者伊藤博文 cncncnl 2010-11-27 2025 0
3192
No Image
朝鮮後期旧韓国末近代教育 namgaya33 2010-11-26 2432 0
3191
No Image
何、9重の塔?それなら13重の塔....... guns2 2010-11-26 1971 0
3190
No Image
15世紀日本を行って来た朝鮮人の記録....... divine123 2010-11-26 2612 0
3189
No Image
朝鮮時代美人 cncncnl 2010-11-26 2022 0
3188
No Image
嶺南塁 shakalaka 2010-11-26 1650 0
3187
No Image
朝鮮後期近代教育 2010-11-25 2579 0
3186
No Image
京都の紅葉、その4 栄養市民 2010-11-25 1544 0
3185
No Image
朝鮮時代会話で見る垣 namgaya33 2010-11-25 1651 0
3184
No Image
これはかることがありますか..? tomisaburo 2010-11-25 1406 0
3183
No Image
京都の紅葉、その3 栄養市民 2010-11-24 2336 0
3182
No Image
韓国人の 美 感覚, 倭人の 美 感覚差 niponmonkey 2010-11-24 2223 0
3181
No Image
日本のさむらいのヨロイホンダ忠孝 niponmonkey 2010-11-24 1701 0
3180
No Image
京都の紅葉、その2 栄養市民 2010-11-23 173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