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

12~3


盆栽 2

12~3세기의 분재에 대한 詩
http://blog.naver.com/marich77/40113685684
李圭報,(1168년∼1241년)
東國李相國集 第7券   家盆中六詠에 고려의 분재에 대하여 소개했습니다.  
12~3世紀の盆栽に対する 詩 http://blog.naver.com/marich77/40113685684 李圭報,(1168年~1241年) 東国李相国集 第7券 家盆中六詠に高麗の盆栽に対して紹介しました.

무용총의 벽화에는 분재가 많이 묘사되어 있습니다.
舞踊塚の壁画には盆栽がたくさん描写されるあります.

무용총(舞踊塚)
중국 둥베이[東北] 지린성[吉林省] 지안현[集安縣] 퉁거우[通溝]에 있는 고구려의 고분(古墳).
中国 東北 吉林省 集安県 通溝にある高句麗の古墳.





무용총(舞踊塚)


오늘은 일본이 자랑하는 春日権現験記의 분재를 중심으로 간단하게 소개합니다.
今日は日本が誇る 春日権現験記の盆栽を中心に簡単に紹介します.

春日権現験記 (宮内庁三の丸尚蔵館) 延慶二年(1309)  高階隆兼画 子供が遊ぶ左の棚に石付盆栽がある

鎌倉時代に作られた「春日権現験記」「法然上人絵伝」に盆栽の図が描かれているのが、文献的に最も古いものである。
 「春日権現験記(カスガゴンゲンケンキ)」は、藤原氏の氏神である春日明神の霊験奇瑞の数々を描いたもので、鎌倉時代の土佐派の大和絵の絵巻の代表作であるといわれている。
 藤原俊盛は早くから父を失って貧しい生活を送っていたが、春日神主の時盛から毎月、当社へお参りして祈祷するよう勧められ、そのとおりにしたところ、たちまち霊験が現われて讃岐の守に任ぜられ、家中富み栄えたという場面で、大きな邸宅、立派な庭園、その庭先に盆栽が置かれている。四方に取っ手を付けて持ち運べるようになった浅い黒塗りの箱があり、その中に砂を敷き、石を配し、淡紅色の花木と松が植えてある。脇に並べて置いてある陶器の皿の中には石を置き、石菖が植えられている。
 この絵巻は、937年ごろからの、いくつもの霊験物語が描かれているが、絵の成立が1309年なので、盆栽も、物語の時代のものというより、絵が描かれた当時の情景と解釈する方が正しいようだ。
가마쿠라 시대에 만들어진「春日権現験記」「法然上人絵伝」에 분재의 그림이 그려져 있는 것이, 문헌적으로 가장 낡은 것이다.
 「春日権現験記」는, 후지와라씨의 씨족신인 春日明神의 영험 길조의 여러 가지를 그린 것으로, 가마쿠라 시대의 土佐派의 일본의 풍속이나 사물을 그린 絵巻의 대표작이라고 한다. 藤原俊盛은 일찍부터 아버지를 잃어 궁핍한 생활을 보내고 있었지만, 春日神主의 시성으로부터 매월, 당사에 참배해 기도하도록 권유받아 그대로로 했는데, 금새 영험이 나타나 讃岐의守에 임명받아, 집안이 풍부해져 돋보였다고 하는 장면에서, 큰 저택, 훌륭한 정원, 그 마당에 분재가 놓여져 있다.사방으로 손잡이를 붙여 운반할 수 있게 된 얕은 검은 칠의 상자가 있고, 그 안에 모래를 깔고, 돌을 배치해, 담홍색의 꽃나무와 소나무가 심어 있다.가장자리에 늘어놓아 놓여져 있는 도기의 접시안에는 돌을 두고, 석창포가 심어져 있다.
 이 그림 두루마기는, 937년즈음부터의, 여러가지 영험 이야기가 그려져 있지만, 그림의 성립이 1309년이므로, 분재도, 이야기의 시대의 것이라고 하는 것보다, 그림이 그려진 당시의 정경이라고 해석하는 것이 올바른 것 같다.
 


慕帰絵詞 (西本願寺蔵) 観応二年(1351) 藤原隆昌 巻九の盆栽、

この絵を見る限り、盆栽は大きな庭を持つことの出来ない庶民の道楽、という後世の常識は通用しない。盆栽は庭の代用ではなく、金と権力を得た人の、屋上屋を重ねたホビーである、と池井望はいっている。(『盆栽の社会学』世界思想社)
 鎌倉中期、日本に禅宗が伝わり、多くの禅僧が招かれた。鎌倉に建長寺、円覚寺が建てられ、京都にも五山が創建されるなど、わずか数十年の間に禅宗が支配者層や武士などの、いわゆる上層部に広がっていった。
 こうして来朝した宋元の僧がもたらした宋風文化の広がりの中で、「盆山」、あるいは、石を鑑賞することを主とした「盆石」の趣味が流行する。とりわけ、「玩石趣味」は中国北宋の徽宗皇帝の石への異常な執着が有名で、それが北宋が滅んだ原因の一つであったといわれる。それほどゼイタクな趣味であった。
 なにより、盆器そのものが輸入品であった。岩佐亮二(『盆栽文化史』八坂書房)によると、国内で帰化人李参平が磁器の焼造に成功したのが、江戸時代初期の元和2(1616)年であり、陶器ではあったが尾張焼として盆器の焼成を始めたのが、江戸中期の享保年間というから、鎌倉中期、時頼執権当時の盆栽は、上層階級の趣味であり、そういった人たちに媚びようとした人たちのものであり、社会的地位の誇示といった面があったようだ。
이 그림을 보는 한, 분재는 큰 뜰을 가질 수 없는 서민의 도락, 이라고 하는 후세의 상식은 통용되지 않는다.분재는 뜰의 대용이 아니고, 돈과 권력을 얻은 사람의, 屋上屋을 거듭한 취미다, 라고 池井望은 말하고 있다.(「분재의 사회학」세계 사상사)
 카마쿠라 중기, 일본에 선종이 전해져, 많은 선승이 초대되었다.카마쿠라에 建長寺、円覚寺가 지어져 쿄토에도 오대산이 창건 되는 등, 불과 수십년간에 선종이 지배자층이나 무사등의, 이른바 상층부에 확대되었다.
  이렇게  입궐한 송원의 승려가 가져온 송풍문화의 확대 중에서, 「盆山」, 혹은, 돌을 감상하는 것을 주로 한「盆石」의 취미가 유행한다.특히, 「玩石趣味」는 중국 북송의 휘종 황제의 돌에의 비정상인 집착이 유명하고, 그것이 북송이 멸망한 원인의 하나였다고 한다.그만큼 사치스러운 취미였다.
 최상, 盆器 그 자체가 수입품이었다.岩佐亮二(「분재 문화사」八坂書房)에 의하면, 국내에서 귀화인 이참평이 자기의 소조에 성공한 것이, 에도시대 초기의 元和2(1616) 년이며, 도기였지만 尾張焼로서 盆器의 소성을 시작한 것이, 에도 중기의 享保年間이라고 하기 때문에, 카마쿠라 중기, 時頼執権 당시의 분재는, 상층 계급의 취미이며, 그렇게 말한 사람들에게 아첨하려고 한 사람들의 것이며, 사회적 지위의 과시라고 하는 면이 있던 것 같다.


上野之図(大英博物館蔵) 文化11年頃、賑わう染井の盆栽屋

四季花くらべ  豊国

결국 분재의 유행은 盆器의 보급과 깊은 관계가 있고 盆器의 개발은 李参平으로 대표되는 조선 도공의 힘이 아주 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結局盆栽の流行は 盆器の普及と深い関係がある 盆器の開発は 李参平に代表される朝鮮陶工の力がとても大きかったということが分かります.  


TOTAL: 884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709
No Image
문화와 문명 1 tairan 2010-09-18 1712 0
2708
No Image
외국인이 본 조선의 모습 gandarf2 2010-09-16 2549 0
2707
No Image
문화 전파 namgaya33 2010-09-16 2707 0
2706
No Image
조선의 철도의 영업 성적은? sumatera 2010-09-15 2308 0
2705
No Image
tairan 씨에게의 공개 질문 depok 2010-09-15 2474 0
2704
No Image
코멘트집 depok 2010-09-15 720 0
2703
No Image
회답과 보충 depok 2010-09-15 650 0
2702
No Image
외국인들이 본 조선의 모습(단지 혐한....... gandarf2 2010-09-15 1926 0
2701
No Image
불고기는 일본 기원이야? dkool 2010-09-14 1829 0
2700
No Image
한국, 수출이 증가하면 일본이 득을 ....... dkool 2010-09-14 1420 0
2699
No Image
천황의 재위 기간(텐무천황까지) sumatera 2010-09-14 1732 0
2698
No Image
샹하이 만박 요시노야 dkool 2010-09-14 1460 0
2697
No Image
日韓의 차이점 namgaya33 2010-09-14 1938 0
2696
No Image
일한의 차이점 6 tairan 2010-09-14 2614 0
2695
No Image
【일본의 풍경·지금과 옛날】 요정....... depok 2010-09-13 2494 0
2694
No Image
【고맹의】-응이야-있어【】 pipecloud 2010-09-13 1531 0
2693
No Image
언더우드(下) 일본어 divine123 2010-10-14 1190 0
2692
No Image
언더우드(下) 한국어 divine123 2010-10-14 1518 0
2691
No Image
언더우드(中) 일본어 divine123 2010-09-13 1101 0
2690
No Image
일본 고대사 - 후지와라의 정체 Marich 2010-09-13 301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