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

<2.가야금>

 

 

 

 

 

 

 

 

 

 

가얏고라고도 한다. 오동나무 공명반에 명주실을 꼬아서 만든 12줄을 세로로 매어 각 줄마다 안족(기러기발)을 받쳐놓고 손가락으로 뜯어서 소리를 낸다. 줄풍류를 비롯하여 가곡반주·가야금산조·가야금병창한국음악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청아하고 부드러운 음색으로 오늘날 가장 대중적인 국악기이다.


삼국사기》에 가야금은 가야국의 가실왕당나라의 악기를 보고 만들었다고 하나 가실왕 이전인 신라 자비왕(재위 458~479) 때 백결선생이 금을 쳤다는 기록이 있고, 《삼국유사》에는 신라 내해왕(재위 196~230) 때 물계자가 금을 쳤다는 기록도 있다. 이밖에 최근 경주시 황남동 능원 경내 폐고분에서 발굴된 토기 장경호의 목부분에 새겨진 가야금의 주악도를 신라 미추왕릉의 것으로 추정한다면, 가야금의 연대는 3 세기 초로 소급된다. 이상과 같은 문헌과 토기로 보아 가야금은 3 세기경 가실왕이 중국의 쟁을 본떠서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552년 가야국이 어지러워지자 악사 우륵은 가야금을 들고 신라 진흥왕에게 투항하였다. 이때 진흥왕은 그를 받아들여 국원(현재:충주)에 자리잡게 하고, 대내마인 법지와 계고, 대사인 만덕을 제자로 삼게 하여 그 업을 전수하게 하였다. 그후 가야금은 노래와 춤의 반주악기로 사용되었으며, 고구려·백제의 것과는 다른 가야금이 사용된 독특한 신라음악을 낳게 하였다.

통일신라시대 이후 가야금은 삼현삼죽(가야금·거문고·향비파·대금·중금·소금)의 관현합주로 확대되었고, 그 전통은 조선 성종 때까지 이어졌다. 오늘날 연주되고 있는 줄풍류를 비롯하여 가곡반주 등의 악기인 거문고·대금·피리·해금·장구와는 조선 후기부터 함께 편성되었다. 그리고 충청도와 경기도 남부지역에서 연주되던 시나위와 이 시나위에 판소리가락을 도입하여 만든 산조음악도 이때부터 연주되기 시작하였다.
 
가야금에는 정악을 연주하기 위한 정악가야금(법금)과 민속악 및 산조를 연주하기 위한 산조가야금이 있다. 법금은 신라 때부터 있어 온 원형의 것이며 산조가야금은 산조와 민속악의 연주를 위하여 조선 후기에 개량된 가야금이다. 이 두 종류의 가야금은 구조에 있어서는 거의 같으나 크기·음역·음색 및 연주하는 법은 서로 다르다.
가야금의 연주자세는 책상다리를 하고 앉아서 용두를 오른쪽 무릎 위에 올려놓고, 양이두는 왼쪽 무릎 약 30° 정도로 비스듬히 놓는다. 오른손은 용두에 올려놓고 현침 너머의 줄을 뜯거나 퉁겨서 소리를 내며, 왼손으로는 안족에서 양이두 쪽으로 약 10~15cm 떨어져 오른손이 내준 소리를 장식하는 농현(줄을 흔들어 줌)·퇴성(소리를 흘려 내려 줌)·전성(줄을 굴러 줌)을 한다.

조율은 안족의 움직임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이루어지는데 정악가야금에는 평조 ·계면조 ·우조의 3가지 조율법이 있고, 산조가야금에는 산조 한 가지의 조율법이 있다. 산조에는 절대음고가 없으므로 연주자에 따라서 음높이가 다를 수도 있다.  
거문고에 비해서 음색이 섬세하며 부드럽고 여성적인 특징이 있다.현재,fusion음악으로써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전통악기이다.
 
 
 


韓国の伝統楽器 2.伽椰琴

<2.伽椰琴>

 

 

 

 

 

 

 

 

 

 

カヤグムとも言う. 桐功名組に 絹糸をよって作った 12列を縦で結んで各竝びごとに雁足(雁発)を差しておいて指で取り離して音を出す. ズルプングリュを含めて歌曲伴奏・伽椰琴散調伽椰琴竝唱 など 韓国音楽 全般にわたって使われている. 清雅で柔らかい音色で今日一番大衆的な 国楽器だ.


三国史記》に伽椰琴は伽揶国の 家室王の楽器を見て作ったと言うが家室王以前である新羅 慈悲王(在位 458‾479) 時 百結が金を打ったという記録があって, 《三国有史》には新羅 内海王(在位 196‾230) 時 物界者が金を打ったという記録もある. この以外に最近 慶州市 黄南洞 陵園境内廃古墳で発掘された土器 チャン・キョンホのモックブブンに刻まれた伽椰琴の奏楽島を 新羅美醜王陵の物で推正したら, 伽椰琴の連帯は 3 世紀初に溯及される. 以上と のような文献と土器で見て伽椰琴は 3 世紀頃家室王が中国のゼングを倣って製作したように見える.

552年伽揶国が乱れていられると楽士ウルックは伽椰琴を持って 新羅真興王に投降こんにちはだった. この時真興王は彼を受け入れて局員(現在:忠州)に位置づくようにして, 大奈麻である法知と戒告, せりふである万徳を弟子にするようにしてその業を伝授するようにした. その後伽椰琴は歌と踊りの伴奏楽器で使われたし, 高句麗・百済の物とは違う伽椰琴が使われた独特の新羅音楽を生むようにした.

統一新羅時代以後伽椰琴は 三絃三竹(伽椰琴・琴・香琵琶・代金・ズンググム・塩)の管弦合奏で拡がったし, その伝統は朝鮮成宗の時までつながった. 今日演奏されているズルプングリュを含めて歌曲伴奏などの楽器である琴・大琴・笛・奚琴・鼓とは朝鮮後期から一緒に編成された. そして 忠清道と京畿道南部地域で演奏された シナウィとこのシナウィにパンソリ調子を取り入れて作った散調音楽もこの時から演奏され始めた.
 
伽椰琴には正楽を演奏するための正楽伽椰琴(法禁)と民俗楽及び散調を演奏するための散調伽椰琴がある. 法禁は新羅の時からあって来た原型の物で散調伽椰琴は散調と民俗楽の演奏のために朝鮮後期に改良された伽椰琴だ. この二つの種類の伽椰琴は構造においてはほとんど同じだが大きさ・音域・音色及び演奏し方はお互いに違う.
伽椰琴の演奏姿勢は膝組みをして座って竜頭を右側膝の上に乗せて, ヤングイドは左側膝約 30゜ 位にななめにおく. 右手は竜頭に乗せてヒョンチム向こうの竝びを取り離すとかはじけさせて音を出して, 左手では雁足で壌夷も方で約 10‾15cm 離れて右手が渡した音を飾るノングヒョン(竝びを振ってズーム)・トエソング(音を流して下ってズーム)・全盛(竝びを踏みならしてズーム)をする.

調律は雁足の動きで比較的簡単に成り立つのに正楽伽椰琴には平調 ・界面調 ・佑助の 3種調律法があって, 散調伽椰琴には散調一つの調律法がある. 散調には 絶対音高がないので演奏者によって 音の高さが違うこともできる.  
琴に比べて音色が纎細で柔らかくて女性的な特徴がある.現在,fusion音楽として一番多く活用されている伝統楽器だ.
 
 
 


TOTAL: 883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3051
No Image
독도는 한국 영토인가? minkyu132 2010-11-04 1811 0
3050
No Image
일본 도깨비 東京熱 2010-11-04 2029 0
3049
No Image
일본식 풍속점 東京熱 2010-11-04 2112 0
3048
No Image
일본 매춘부 東京熱 2010-11-04 1407 0
3047
No Image
조선 통신사가 본 일본 dkool 2010-11-05 2126 0
3046
No Image
일본의 관광 명소에서 아르바이트를 ....... naototch1129 2010-11-04 1257 0
3045
No Image
한국인 화병 얼굴 흉내 cncncnl 2010-11-04 1804 0
3044
No Image
36년동안이나 점령 그러나... WOLFk 2010-11-03 1649 0
3043
No Image
일본사상 최대 규모의 싸움(토쿠가와 ....... Tara442kara443 2010-11-03 1812 0
3042
No Image
일본땅 독도를 강도질한 한국 cncncnl 2010-11-03 998 0
3041
No Image
일본이 미국의 경제를 어디까지 따라....... listening 2010-11-03 1583 0
3040
No Image
"러"대통령 쿠릴열도 시찰 전투기 호....... WOLFk 2010-11-03 1574 0
3039
No Image
大일본제국이 제작한 지도 ^ ^ WOLFk 2010-11-03 1775 0
3038
No Image
SF조약의 타케시마=독도의 해석 2 kemukemu1 2010-11-03 3504 0
3037
No Image
독도는 대한민국의 고유영토 WOLFk 2010-11-03 1232 0
3036
No Image
센카쿠열도는 중국의 영토. WOLFk 2010-11-03 1151 0
3035
No Image
쿠릴열도는 러시아의 영토. WOLFk 2010-11-03 1207 0
3034
No Image
SF조약의 타케시마=독도의 해석 1 kemukemu1 2010-11-03 1131 0
3033
No Image
"AV데뷔의 AKB48 전멤버 실종" WOLFk 2010-11-03 1865 0
3032
No Image
김연아 따라하는 모닝 무스메 cncncnl 2010-11-03 182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