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터리
개괄
 
1979년 10·26사태로 박정희(朴正熙) 대통령이 암살되고 유신체제가 붕괴되면서 한국은 민주화를 향한 정치적 격변의 시기로 접어들었다. 유신체제의 전 기간을 통해 억압받아온 민주주의와 생존권에 대한 열망은 기존의 집권세력을 위협하면서 급격하게 확대되어갔지만, 12·12사태를 계기로 권력의 핵심을 장악한 전두환 보안사령관이 중심이 된 신군부세력은 최규하(崔圭夏) 과도정부를 유명무실하게 하고 국민들이 요구하는 민주주의와 이를 위한 명확한 정치일정 제시를 거부하면서 권력기반을 구축하고 있었다. 이에 대한 국민의 저항은 학생운동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표출되다가 사북사태로 대표되는 노동자 생존권의 문제로까지 확산되었다.
 
특히 1980년 5월 15일 서울역시위 등 학생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신군부세력을 위협하자 신군부세력은 1980년 5월 17일 “비상계엄 전국확대조치”를 발표했다. 집권세력은 그들의 구상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광범위하게 분출되는 국민들의 저항에 군사적으로 대응하면서 민주인사에 대한 대대적인 체포와 투옥을 시작했다. 그러나 이들의 의도는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한 시민들의 저항에 부딪쳤다. 시민들은 집권세력에 의해 폭도로 매도당한 채 고립된 속에서 군의 잔악한 진압과 학살에 대응하기 위한 자위적 무장을 갖추고 이후 10일간의 투쟁을 전개해나갔다. 그러나 군의 대대적인 폭력진압으로 민주화운동은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계기 및 배경
 
신군부와 전두환정권은 광주민주화운동이 “김대중(金大中)의 배후조종”과 “계획적인 무장봉기”에 의해 촉발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후의 조사과정에서 드러났듯이 이 주장은 사실과 정반대되는 것이다. 오히려 신군부세력을 중심으로 한 집권세력이 5·17비상계엄 전국확대 조치를 통해 국민을 억압하려는 상황에서 이루어진 군대의 무력진압이 학생과 시민의 분노를 유발했고, 진압의 강도가 높아짐에 따라 자연스럽게 시민적 저항으로 발전한 것이다. 광주민주화운동의 발생은 당시의 몇 가지 역사적 조건을 그 배경으로 하고 있다. 먼저 국민의 저항을 가능하도록 한 우리 사회의 전체적인 갈등구조에 기인한다. 이러한 사회적·경제적 배경은 유신체제를 붕괴하도록 만든 배경과 동일하다. 또한 광주라는 특정한 지역에서 시민적 저항이 폭발하게 한 지역문제를 동시에 배경으로 안고 있다.

 
5·16군사정변으로 등장한 박정희대통령은 경제성장이라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대외의존적 자본주의화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그결과 박정희 대통령은 상당한 수준의 공업화를 이룩해낸 반면 여러 방면에서 심각한 문제를 불러일으켰다. 특히 경제의 대외의존도 심화와 산업부문간 불균형의 결과 농업부문이 황폐화되고 이농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는 농촌문제와 도시문제를 동시에 초래했다. 이 과정에서 국가가 주도하는 공업화 위주의 경제성장정책은 민주주의와 국민생존권 문제를 동시에 야기시켰다. 이같은 국가 시책이 사회적 갈등으로 표출되자 박정희 대통령은 유신체제를 통해 갈등을 억압하고자 했다. 그러나 갈등은 더욱 심화되었다.
 
이 상황에서 1970년대말의 세계적 공황은 수출주도형의 우리나라 경제를 심각한 위기국면으로 몰아넣었고, 그결과 국민의 불만이 증대되었다. 더구나 박정희 대통령의 유신독재에 저항해온 학생·종교인·지식인의 민주화운동 역시 끊임없이 유신체제를 위협했다. 야당진영 역시 유신체제에 대항, 반독재 기치를 강화하고 있었으며 1979년 “김영삼 신민당 총재 제명파동”을 계기로 제도권 정치영역은 조절능력을 상실했다. 유신체제의 이러한 내적 문제점은 일련의 국민들의 저항을 통해 증폭되어오다가 1979년 10월 16일 부마사태(釜馬事態)로 표출되었다. 이러한 위기상황은 집권세력 내부의 갈등을 심화시켰으며, 결국 10·26사태로 나타났다. 이러한 일련의 사태가 광주민주화운동의 배경이 된다. 게다가 이 운동이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된 데는 박정희의 집권기간에 심화되어온 호남의 정치적·경제적 차별, 갑오농민전쟁·광주학생운동 등 광주를 중심으로 한 호남지역의 역사적 경험, 유신체제에 의해 지속적으로 박해를 받으면서도 반독재운동을 계속해온 김대중이라는 지도자의 존재 등 광주를 비롯한 호남지역이 갖는 특수성이 내재되어 있다. 특히 김대중의 구속은 호남대중의 정서를 신군부에 대한 반대로 결집시키는 구체적인 촉매제로 작용했다.
 
전개과정
 
광주민주화운동의 전개과정은 다섯 국면으로 구분된다.
 
제1국면은 5월 18일 학생시위에 의한 항쟁의 발단기이다. 휴교령이 내려질 경우 교문 앞에서 집결한다는 사전 결의에 따라 학생들은 18일 전남대학교 정문 앞에 집결했다. 그러나 공수부대의 강력한 저지로 학생들은 광주역에 재집결하여 시위를 전개했다. 시위대열이 점차 불어나자 계엄군이 다시 시위진압에 나섰으며, 공수부대의 진압으로 부상자가 속출했다. 계엄군의 무력진압은 첫날의 시위를 해산시켰으나 오히려 시민·학생들의 분노를 야기시켜 시위를 항쟁으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제2국면은 학생시위에 시민이 합세하면서 봉기의 형태로 발전하기 시작한 19일부터 시작되었다. 공수부대의 만행에 분노한 학생·시민들이 군경(軍警)과 공방전을 벌이면서부터 시위는 점차 격화되어갔다. 이 시기에 계엄군은 간선도로·주요시설 등을 확보하여 시위대를 포위하면서 대치했고, 이에 따라 시민들은 화염병·돌 등으로 초보적인 수준의 자위적 무장을 시작했다.
 
제3국면은 도시빈민·노동자 등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투쟁의 선두로 나선 20일부터 시작되어 무장항쟁으로 발전했다. 이 과정에서 신문사·방송국·세무서·파출소 등 공공기관이 습격받았다. 특히 계엄군의 발포로 사상자가 속출하면서 탈취한 소총 등의 무장 시위가 전개되었다. 이 시점에서 시위대 대표와 도지사(道知事) 사이에 협상이 열렸으나 결렬되었고, 계속되는 계엄군의 발포로 사상자가 급증했다.
 
제4국면은 카빈 소총으로 무장한 시위대가 시가전에 돌입하고 항쟁이 전라남도권으로 확산되면서 농민들의 참여가 시작된 21일 오후부터 시작되었다.항쟁지도부를 구성한 시위대는 고립을 극복하기 위해서 목포·영암·장성·나주 등으로 진출했으며, 22일 오전의 총공세로 도청과 도경에서 공수부대를 몰아내고 광주시내를 장악했다.
 
제5국면은 22일부터 계엄군에 의해 광주가 다시 점령되는 27일까지의 시기이다. 광주를 장악한 시위대는 치안확보 등 자치활동을 수행했으며, 23일부터 매일 범시민궐기대회를 열어 투쟁목표를 재확인했다. 그러나 이때 구성된 수습대책위원회가 광주시민의 요구를 수렴하기보다는 원상복구와 사태회복에만 주력함으로써 수습대책위원회와 광주시민 사이에 분열이 야기되었다. 이에 시민들은 범시민궐기대회를 통해 수습대책위원회를 규탄하고 25일 새로운 투쟁지도부를 구성했다. 동시에 계엄군의 무력진압에 대비해 시민군을 체계적으로 조직했다. 그러나 27일 새벽 0시를 기해 외곽도로를 봉쇄하고 탱크 등으로 무장한 계엄군의 대대적인 진압작전으로 10일간의 5·18광주민주화운동은 수많은 사상자를 내면서 일단락되었다.
 
성격 및 의의
 
광주민주화운동의 성격은 항쟁의 배경을 이루는 한국 사회의 갈등구조 속에서 제기된 운동의 주체·방식에서 찾을 수 있다. 광주민주화운동은 유신체제의 대외의존적이자 성장일변도인 경제정책과 이를 위한 경직된 정치구조 속에서 누적되어온 시민의 불만이 10·26사태 이후 일련의 과정을 거쳐 증폭되어오다가 5·17비상계엄 전국확대 조치를 계기로 폭발한 것이다. 따라서 시민항쟁의 목표는 민주주의와 생존권확보로 집약되었고 특히 민주주의 문제가 중심목표로 제기되었다.

 
한편 이 기간에 미국이 보여준 일련의 태도, 특히 집권세력의 진압을 정당화해준 사례와 군대동원 방조는 이후 미국에 대한 국민들의 의식을 새롭게 하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게다가 광주민주화운동은 집권세력에 대항하여 최초로 무장항쟁을 전개한 사건이라는 중요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 결과 광주민주화운동은 1980년대 이후 급격하게 고양된 반독재민주화운동의 실질적인 출발점이자 준거점이 되었다. 전두환정권의 정통성을 부정한 1987년의 6월항쟁 역시 근본적으로는 광주민주화운동의 정신을 계승한 것이다.
 
광주민주화운동의 이러한 원동력은 결국 제6공화국 노태우정권으로 하여금 광주청문회를 열도록 했으며 그 과정에서 1980년의 광주사태가 광주민주화운동으로 자리매김되었다. 게다가 노태우정권 하에서 유보되었던 광주학살자 처벌문제는 1993년 이후 김영삼정부가 역사바로세우기 차원에서 광주민주화운동을 재조사하면서 12·12사태와 광주학살의 주역들이 국민적 심판을 받았으며, 전두환·노태우 두 전 대통령은 수감되었다. 또한 5·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1995. 12. 21)·광주민주화운동 관련자 보상 등에 관한 법률(1997. 12. 17) 등이 제정되어 광주민주화운동 유공자에게 보상금을 지급하는 한편 광주민주화운동을 진압한 공로자에 대한 서훈을 취소했으며 그 자격을 박탈했다.


光州話 (百科事典)

둜뒊
 
1979봏 10갋26럷뫴궳뻪맫(뻪맫) 묈뱷쀌궕댠랤궠귢궲댸륷뫬맕궕뺯됹궠귢궶궕귞듰뜎궼뼬롥돸궸뛀궚궫맠렊밒똽빾궻렄딖궸볺궯궫. 댸륷뫬맕궻럡궼딖듩귩믅궣궲}댊궠귢궲뿀궫긢긾긏깋긘[궴맯뫔뙛궸뫮궥귡봎]궼딓뫔궻뢜뙛맖쀍귩떧댭궢궶궕귞}똽궸긲@긞긏긢긤긄긆긊긞긙궬궚, 12갋12럷뫴귩궖궯궔궚궳뙛쀍궻둱륲귩뤆닾궢궫멣뱇듂뺎댝럌쀟뒸궕뭷륲궸궶궯궫 륷똓븫맖쀍궼쎚됂(쎚됂) 됡뱊맠{귩뾎뼹뼰렳궥귡귝궎궸궢궲뜎뼬궕뾴땫궥귡긢긾긏깋긘[궴궞궻궫귕뼻둴궶맠렊볷믴믯렑귩땻붬궢궶궕귞뙛쀍딈붦귩뭱궢궲궋궫. 궞귢궸뫮궥귡뜎뼬궻믭뛕궼둾맯^벍귩뭷륲궸뫝뾩궸뢯궠귢궲궋귡뱑뭷궔궶귕럷뫴궸묆궠귢귡쁉벍롌맯뫔뙛궻뽦묋궸귏궳둮랼궢궫.
 
벫궸 1980봏 5뙉 15볷긂깑뎩긢긾궶궵둾맯^벍궕멣뜎밒궸둮랼궢궶궕귞륷똓븫맖쀍귩떧댭궥귡궴륷똓븫맖쀍궼 1980봏 5뙉 17볷 "뷄륂둀뙲멣뜎둮묈[뭫"귩뵯궢궫. 뢜뙛맖쀍궼붯귞궻몒귩렳뙸궠궧귡궫귕궸롨뛎궘빃뢯궠귢귡뜎뼬궻믭뛕궸똓럷밒궸뫮돒궢궶궕귞뼬롥궇궋궠궰궸뫮궥귡묈묈밒궶묁뺕궴뱤뜓귩럑귕궫. 궢궔궢궞귢귞궻댰}궼뚹뢆뭤덃귩뭷륲궸궢궫럖뼬궫궭궻믭뛕궸귆궰궔궯궫. 럖뼬궫궭궼뢜뙛맖쀍궸귝궯궲뱆궸봽뱊(봪|)궠귢궫귏귏뚄뿧궢궫궻뭷궳똓덀럄봂궳닽뀆흖N댊궴땣랤궸뫮돒궥귡궫귕궻렔뎢밒븧룶귩롦귟뫓궑궲댥뚣 10볷듩궻벉궋귩밯둎궢궲뛱궯궫. 궢궔궢똓덀묈묈밒궶쀍N댊궳뼬롥돸^벍궼렪봲궳뢎귦궯궲궢귏궯궫.
 
궖궯궔궚땩귂봶똧
 
륷똓븫궴멣뱇듂맠뙛궼뚹뢆뼬롥돸^벍궕 "긌갋긢긙깄깛(뗠묈뭷)궻봶뚣띿"궴 "똶됪밒궶븧룶덇쓣"궸귝궯궲륢뵯궠귢궫궴롥뮗궢궫. 궢궔궢댥뚣궻뮧뜽됡믴궳뙸귦귢궫귝궎궸궞궻롥뮗궼럷렳궴맫뵿뫮궠귢귡궻궬. 귔궢귣륷똓븫맖쀍귩뭷륲궸궢궫뢜뙛맖쀍궕 5갋17뷄륂둀뙲멣뜎둮묈[뭫귩믅궣궲뜎뼬귩}댊궢귝궎궴궥귡륉떟궳맟귟뿧궯궫똓묂궻뼰쀍N댊궕둾맯궴럖뼬궻{귟귩뾘뵯궢궫궢, N댊궻떗뱪궕뛼궘궶귡궸귝궯궲렔멢궸럖뼬밒믭뛕궳뵯밯궢궫궻궬. 뚹뢆뼬롥돸^벍궻뵯맯궼뱰렄궻돺롰쀞쀰럍밒륆뙊귩궩궻봶똧궸궢궲궋귡. 먩궸뜎뼬궻믭뛕궕궳궖귡귝궎궸궢궫궎궭궻롊됵궻멣뫬밒궶뒎뱻몾궸딳덓궥귡. 궞궻귝궎궶롊됵밒갋똮띙밒봶똧궼댸륷뫬맕귩뺯됹궠궧궫봶똧궴뱳궢궋. 귏궫 뚹뢆궴궋궎벫믦궻뭤덃궳럖뼬밒믭뛕궕뵚뵯궥귡귝궎궸궫궋궲궋 뭤덃뽦묋귩벏렄궸봶똧궳뺱궋궲궋귡.

 
5갋16똓럷맠빾궳뱋뤾궢궫 뻪맫넁뱷쀌궼똮띙맟뮮궴궋궎뽞뷭귩맟궥궫귕궸뫮둖댨뫔밒럱{롥`돸궻벞귩뺖궖럑귕궫. 궩궻뙅됈뻪맫넁뱷쀌궼몜뱰궶릣궻뛊떾돸귩맟궢뢯궢궫덇뺴뫝궘궻뺴뽋궳[뜌궶뽦묋귩띊궢궫. 벫궸똮띙궻뫮둖댨뫔귖[돸궴럀떾븫뽩듩븉뗉뛲궻뙅됈_떾븫뽩궕뛯봯돸궠귢궲뿣_뙸뤭궕뙸귦귢궫궢궞귢궼_뫚뽦묋궴뱒럖뽦묋귩벏렄궸귖궫귞궢궫. 궞궻됡믴궳뜎됄궕롥벑궥귡뛊떾돸롥궻똮띙맟뮮맠랉궼긢긾긏깋긘[궴뜎뼬맯뫔뙛뽦묋귩벏렄궸롣딳궠궧궫. 궞궻귝궎궶뜎됄{랉궕롊됵밒뒎뱻궸뢯궠귢귡궴뻪맫넁뱷쀌궼댸륷뫬맕귩믅궣궲뒎뱻귩}댊궢귝궎궴궢궫. 궢궔궢뒎뱻궼귖궯궴[궘궶궯궫.
 
궕륉떟궳 1970봏묆궻뼎궻맊둉밒떚뛓궼뾃뢯롥벑^궻됦궕뜎궻똮띙귩[뜌궶딅@떿뽋궸믁궋궞귪궬궢, 궩궻뙅됈뜎뼬궻븉뼖궕몵묈궠귢궫. 궩궻뤵궸뻪맫넁뱷쀌궻댸륷벲띥궸믭뛕궢궲뿀궫둾맯갋@떝릐갋뭢렞릐궻뼬롥돸^벍귖먥궑궦댸륷뫬맕귩떧댭궢궫. 뽰}릛뎑귖댸륷뫬맕궸뫮뛕, 뵿벲띗딒덐귩떗돸궢궲궋궫궢 1979봏 "긌갋깉깛긖륷뼬}몟띥룣뼹봥벍"귩궖궯궔궚궳맕뱗뙒맠렊쀌덃궼뮧먢쀍귩몉렪궢궫. 댸륷뫬맕궻궞궻귝궎궶볙밒뽦묋_궼덇쁀궻뜎뼬궻믭뛕귩믅궣궲몵븴궠귢궲뿀궲궋귡뱑뭷 1979봏 10뙉 16볷븲봭럷뫴(뒛봭럷뫴)궸뢯궠귢궫. 궞궻귝궎궶딅@륉떟궼뢜뙛맖쀍볙븫궻뒎뱻귩[돸궠궧궫궢, 뙅떿 10갋26럷뫴궳뙸귦귢궫. 궞궻귝궎궶덇쁀궻럷뫴궕뚹뢆뼬롥돸^벍궻봶똧궸궶귡. 궩귢궸궞궻^벍궕뚹뢆갋멣볦뭤덃귩뭷륲궸밯둎궠귢궫궞궴궼뻪맫냲뢜뙛딖듩궸[궘궶궯궲뿀궫뚋볦궻맠렊밒갋똮띙밒뜼빶, 뛟뚞_뼬먰몚갋뚹뢆둾맯^벍궶궵뚹뢆귩뭷륲궸궢궫뚋볦뭤덃궻쀰럍밒똮뙮, 댸륷뫬맕궸귝궯궲렃뫏밒궸뵕둙귩롷궚궶궕귞귖뵿벲띗^벍귩뫏궋궲뿀궫긌갋긢긙깄깛궴궋궎깏[_[궻뫔띪궶궵뚹뢆귩듵귕궫뚋볦뭤덃궻렃궰벫롪맜궕볙띪궢궲궋귡. 벫궸긌갋긢긙깄깛궻뛖뫆궼뚋볦묈뢔궻륃룒귩륷똓븫궸뫮궥귡뵿뫮궸뙅뢜궠궧귡뗰뫬밒궶륢}맕궴띿뾭궢궫.
 
밯둎됡믴
 
뚹뢆뼬롥돸^벍궻밯둎됡믴궼뚙궰떿뽋궸럅빁궚궠귢귡.
 
묉1떿뽋궼 5뙉 18볷둾맯긢긾궸귝귡뛕몚궻뵯[딖궬. 땨뛝쀌궕돷귣궠귢귡뤾뜃뛝뽩궻멟궳뢜뙅궥귡궴궋궎렖룕뙂댰궸귝궯궲둾맯궫궭궼 18볷멣볦묈둾뛝맫뽩궻멟궸뢜뙅궢궫. 궢궔궢뗴뾃븫묂궻쀍떗궋멽~궳둾맯궫궭궼뚹뢆뎩궸띋뢜뙅궢궲긢긾귩밯둎궢궫. 긢긾묂쀱궕룞룞궸몵궥궴둀뙲똍궕귏궫긢긾N댊궸뢯궫궢, 뗴뾃븫묂궻N댊궳븠룤롌궕뫏뢯궢궫. 둀뙲똍궻뼰쀍N댊궼룊볷궻긢긾귩됶랼궠궧궫궕귔궢귣럖뼬갋둾맯궫궭궻{귟귩롣딳궠궧궲긢긾귩뛕몚궳뵯밯궠궧귡궖궯궔궚궸궶궯궫.
 
묉2떿뽋궼둾맯긢긾궸럖뼬궕쀍귩뜃귦궧궶궕귞덇쓣궻`뫴궳뵯밯궢럑귕궫 19볷궔귞럑귏궯궫. 뗴뾃븫묂궻붩뛱궸{궯궫둾맯갋럖뼬궫궭궕똓똸(똓똸)궴뛘뻞먰귩딳궞궢궲궔귞긢긾궼룞룞궸똽돸궠귢궲뛱궯궫. 궞궻렄딖궸둀뙲똍궼뒼멄벞쁇갋롥뾴{먠궶궵귩둴뺎궢궲긢긾묂귩궔궞귒궶궕귞묆뭫궢궫궢, 궞귢궸귝궯궲럖뼬궫궭궼됌뎷븈갋먐궶궵궳룊륲롌밒궶릣궻렔뎢밒븧룶귩럑귕궫.
 
묉3떿뽋궼뱒럖븂뼬갋쁉벍롌궶궵궕먑뗂밒궸랷돿궢궶궕귞벉궋궻먩벆궸뢯궫 20볷궔귞럑귏궯궲븧룶뛕몚궳뵯밯궢궫. 궞궻됡믴궳륷빓롊갋뺳몭떿갋먆뼮룓갋뚴붥궶궵뚺떎@듫궕뢕똼롷궚궫. 벫궸둀뙲똍궻뵯뺺궳룤롌궕뫏뢯궢궶궕귞묭롦궢궫룷뢤궶궵궻븧룶긢긾궕밯둎궠귢궫. 궞궻렄_궳긢긾묂묆궴벞뭢럷(벞뭢럷) 궻듩궸뚴뤒궕둎궔귢궫궕뙂쀴궠귢궫궢, 뫏궘둀뙲똍궻뵯뺺궳룤롌궕}몵궢궫.
 
묉4떿뽋궼긇[긮깛룷뢤궳븧몧궢궫긢긾묂궕럖둢먰궸벺볺궢궲뛕몚궕멣뾽볦벞뙒궳둮랼궢궶궕귞_뼬궫궭궻랷돿궕럑귏궯궫 21볷뚞뚣궔귞럑귏궯궫.뛕몚럚벑븫귩맟궢궫긢긾묂궼뚄뿧귩뤸귟뎭궑귡궫귕궸뽜뎋갋쀬듼갋룶맦갋뾽뢆궶궵궳릋뢯궢궫궢, 22볷뚞멟궻몟뛘맖궳뱪뮢궴벞똸궳뗴뾃븫묂귩믁궋뢯궢궲뚹뢆럖볙귩뤆닾궢궫.
 
묉5떿뽋궼 22볷궔귞둀뙲똍궸귝궯궲뚹뢆궕귏궫먫쀌궠귢귡 27볷귏궳궻렄딖궬. 뚹뢆귩뤆닾궢궫긢긾묂궼렊댝둴뺎궶궵렔렊뒋벍귩릩뛱궢궫궢, 23볷궔귞뻽볷{긘~깛긐긅깑긎긢긲긃귩둎궋궲벉궋뽞뷭귩띋둴봃궢궫. 궢궔궢궞궻렄맟궠귢궫뢁뢉뫮랉댬덒됵궕뚹뢆럖뼬궻뾴땫귩롦귟뢜귕귡귝귟궼뙱륉븳땶궴럷뫴됷븳궸궬궚쀍귩뭾궙궞궴궳뢁뢉뫮랉댬덒됵궴뚹뢆럖뼬궻듩궸빁쀴궕롣딳궠귢궫. 궞궞궸럖뼬궫궭궼{긘~깛긐긅깑긎긢긲긃귩믅궣궲뢁뢉뫮랉댬덒됵귩땴뭙궢궲 25볷륷궢궋벉궋럚벑븫귩맟궢궫. 벏렄궸둀뙲똍궻뼰쀍N댊궸뷈궑궲럖뼬똍귩뫬똭밒궸멺륞궢궫. 궢궔궢 27볷뽭뼻궚 0렄귩딖궢궲둖둺벞쁇귩븬띂궢궲^깛긏궶궵궳븧몧궢궫둀뙲똍궻묈묈밒궶N댊띿먰궳 10볷듩궻 5갋18뚹뢆뼬롥돸^벍궼딎뫝궻룤롌귩뢯궢궶궕귞덇먛귟궰궋궫.
 
맜둰땩귂댰`
 
뚹뢆뼬롥돸^벍궻맜둰궼뛕몚궻봶똧귩맟궥듰뜎롊됵궻뒎뱻몾궻뭷궳궢뿧궲귞귢궫^벍궻롥뫬갋뺴렜궳{궥궞궴궕궳궖귡. 뚹뢆뼬롥돸^벍궼댸륷뫬맕궻뫮둖댨뫔밒궴벏렄궸맟뮮덇뺃|궳궇귡똮띙맠랉됛궞궻궫귕뛡뮳궠귢궫맠렊몾궻뭷궔귞쀝먑궢궲뿀궫럖뼬궻븉뼖궕 10갋26럷뫴댥뚣덇쁀궻됡믴귩똮궯궲몵븴궠귢궲뿀궲궋귡뱑뭷 5갋17뷄륂둀뙲멣뜎둮묈[뭫귩궖궯궔궚궳뵚뵯궢궫궻궬. 궢궫궕궯궲럖뼬뛕몚궻뽞뷭궼긢긾긏깋긘[궴맯뫔뙛둴뺎궸뢜뽵궠귢궫궢벫궸긢긾긏깋긘[뽦묋궕뭷륲뽞뷭궳궢뿧궲귞귢궫.

 
덇뺴궞궻딖듩궸귺긽깏긇궕뙥궧궲궘귢궫덇쁀궻뫴뱗, 벫궸뢜뙛맖쀍궻N댊귩맫뱰돸궢궲궘귢궫럷쀡궴똓묂벍덒뻋룙궼댥뚣귺긽깏긇궸뫮궥귡뜎뼬궻댰렞귩륷궢궘궥귡덇궰궻궖궯궔궚궸궶궯궫. 궩귢궸뚹뢆뼬롥돸^벍궼뢜뙛맖쀍궸뫮뛕궢궲띍룊궳븧룶뛕몚귩밯둎궢궫럷뙊궬궴궋궎뢣뾴궶벫뮙귩렃궯궲궋귡. 궩궻뙅됈뚹뢆뼬롥돸^벍궼 1980봏묆댥뚣}똽궸뛼뾤궠귢궫뵿벲띗뼬롥돸^벍궻렳렲밒궶뢯뵯_궴벏렄궸땼밲궸궶궯궫. 멣뱇듂맠뙛궻`뱷맜귩붬믦궢궫 1987봏궻 6뙉궻뛕몚귖뜧{밒궸궼뚹뢆뼬롥돸^벍궻맱_귩롷궚똯궋궬궻궬.
 
뚹뢆뼬롥돸^벍궻궞궻귝궎궶뙱벍쀍궼뙅떿묉6떎쁝뜎쁖뫴뾈륃뙒궸궴궯궲뚹뢆뮢빓됵귩둎궘귝궎궸궢궫궢궩궻됡믴궳 1980봏궻뚹뢆럷뫴궕뚹뢆뼬롥돸^벍궸댧뭫궱궚궠귢궫. 궩귢궸긩갋긡긂맠뙛돷궳뿯뺎궠귢궫뚹뢆땣랤롌룉뵳뽦묋궼 1993봏댥뚣긌갋깉깛긖맠{궕깉긞긏긖긫깓긜긂긎렅뙰궳뚹뢆뼬롥돸^벍귩띋뮧뜽궢궶궕귞 12갋12럷뫴궴뚹뢆땣랤궻롥뽴궫궭궕뜎뼬밒륱뵽귩롷궚궫궢, 멣뱇듂갋긩갋긡긂볫궰궻멟묈뱷쀌궼뢁듒궠귢궫. 귏궫 5갋18뼬롥돸^벍궶궵궸듫궥귡벫빶@(1995. 12. 21)갋뚹뢆뼬롥돸^벍듫쁀롌뺚룥궶궵궸듫궥귡@뿥(1997. 12. 17) 궶궵궕맕믦궠귢궲뚹뢆뼬롥돸^벍뾎뚻롌궸뺚룥뗠귩럛땵궥귡덇뺴뚹뢆뼬롥돸^벍귩돓궑궫뚻쁉롌궸뫮궥귡룕똏귩롦귟뤑궢궫궢궩궻럱둰귩뵇묭궢궫.


TOTAL: 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게시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