伝統文化

朝明 連合軍 平壌城 攻撃も

 

 

朝鮮の要請と搖れの情勢に脅威を感じた明は壬辰の乱勃発2ヶ月ぶりにゾスングフンを先鋒におおよそ 3500人の 明軍を投入させる.

ここにのぼるまでは朝鮮の絶え間ない出兵要請があったが明はしばらく朝鮮が日本と手を握って自分たちを打とうと思うという疑心を晴らさなかった. 壬辰の乱勃発前まで朝鮮は人にいて軍事的に無視することができない相手だった. そんな朝鮮が一気に漢陽が陷落されて王が義州まで避難を行く具合にあったというのが信じられなかったのだ.

 こんな紆余曲折あげく搖れにある兵力を導いて来たゾスングフンは ¥”すぐに日本軍を掃いてしまう.¥”と大口をたたいてひと月や手間を取った後 平壌城を攻撃するが日本軍に完全に惨敗して搖れで逃走してしまう. 5ヶ月後, 日本軍が思ったより強さを認識した明はイヨソングを大将にして各地で精鋭兵力を募集する一方日本軍の弔銃を圧倒するポルトガル大砲などの火薬武器を装備した 5万名の軍事を投入するようになる.

イヨソングは彼の先祖が朝鮮の人という説があって全国各地に関連説話をたくさん残した人物でもある. 面白いことはこの関連説話たちの共通点が一様に ¥”イヤー輪朝鮮のどの地理を見たら中原を掌握する大きい長寿が出る形だった. イヨソングはこれを阻むために杭を打って血を上げた. グロザグ席で血が流れ出た.¥” という内容で行われるという点だ.

このような話は大部分は具体的な物証なしに説話だけ伝えて下るのに, 説話の主人公がイヨソングで他の名前に変わる場合もよくある. これは関連説話が実際事実と言うよりはイヨソングに対する当代の評価を反映してくれるということで見られる. すなわち, ¥”大きい人物が出るに値するヒョルザリを調べるほどに才がすぐれたが結果的に朝鮮に被害ばかり与えた人物.¥”という評価だ.

名君が進駐した以後当時朝鮮民衆の間では ¥”日本軍はオルレビッ, 名君は爪櫛¥”という俗謡が流行ったと伝わる. 緩いオルレビッよりは詰むチァムビッウロモリをくしけじればおこるが頭垢が全部濾過されるように行く所ごとに明軍事たちの収奪と搾取が極甚だったからだ. その上に強国だけで分かった朝鮮が自分の力を借りなければならないほどに虚弱さが謁者明指揮官たちの軽蔑も極まった.

もっと深刻だったのは余分の作戦圏が明に移ったというのだった. 明はイヨソングの 平壌攻撃が成功して日本軍を追い払った後碧蹄館戦闘では日本軍を見下した無理な進軍で数千名が戦死する惨敗に喫するようになる. 以後明は強化会談にだけ気を使うとか防御的な戦闘だけ支払っただけ積極的な戦闘意志を取り出して見せない. それに人海口は損害はそっくりそのまま朝鮮の分け前になった.

代表的な例が  2次晋州城戦闘の悲劇だったが明は強化を結ぶはずだという日本軍の言葉だけ信じたまま真珠で救援病を送らなかったし朝鮮朝廷が救援病を送ることまで邪魔をするようになる. こんな振るにすべての兵力を集結させた日本軍が孤立した晋州城を陷落させて数万人が殺傷される悲劇をもたらすようになったのだ.

 

 

日本の一部史学者たちの中には壬辰の乱を 朝日 間の戦争ではない無茶にも 明日間の戦争で見ようとするこれもある. これらは名医参戦で急激に拡散した朝鮮支配層の事大主義を念頭に置いて ¥”当時朝鮮は主体性がなかった.¥”と皮肉っているわけだ. しかしこれは日帝時代に造成された植民史観の核心で歴史的実体の接近よりは一つ事実を脹らまして全体歴史を歪曲させる日本人特有の性向が反映された書き入れ時でもある. (こんな方式の植民史観にそのまま従う人がいるからソウル大イ・ヨンフン教授がそうだ.)

しかし決定的に名君の参戦は初期にちょっと活躍が引き立っただけその後では戦闘を忌避したし当時庶民層は明軍事たちの横暴と搾取に時には倭軍の侵略よりもっと大きい苦しさを経験したのが真実だ.

 

 


도움이 되지 않은 명나라.

朝明 연합군 平壤城 공격도

 

 

조선의 요청과 요동의 정세에 위협을 느낀 명나라는 임진왜란 발발 두달만에 조승훈을 선봉으로 한 3500명의 明軍을 투입시킨다.

이에 이르기까지는 조선의 끊임없는 출병요청이 있었지만 명나라는 한동안 조선이 일본과 손을 잡고 자신들을 치려 한다는 의심을 풀지 않았다. 임진왜란 발발전까지 조선은 명에 있어서 군사적으로 무시할 수 없는 상대였다. 그런 조선이 단숨에 한양이 함락되고 왕이 의주까지 피난을 가는 지경을 당했다는 게 믿어지지가 않았던 것이다.

 이런 우여곡절 끝에 요동에 있는 병력을 이끌고 온 조승훈은 "당장에 일본군을 쓸어버리겠다."고 큰소리치며 한달이나 지체한 후 平壤城을 공격하지만 일본군에게 완전히 참패하고 요동으로 도주해 버린다. 5개월 뒤, 일본군이 생각보다 강함을 인식한 명나라는 이여송을 대장으로 삼고 각지에서 정예병력을 모집하는 한편 일본군의 조총을 압도할 포르투갈 대포 등의 화약무기를 장비한 5만명의 군사를 투입하게 된다.

이여송은 그의 선조가 조선사람이라는설이 있고 전국 각지에 관련설화를 많이 남긴 인물이기도 하다. 재미있는 것은 이 관련설화들의 공통점이 하나같이 "이여송이 조선의 어느 지리를 보니 중원을 장악할 큰 장수가 나올 형국이었다. 이여송은 이를 막기 위해 말뚝을 박아 혈을 질렀다. 그러자그 자리에서 피가 흘러나왔다." 라는 내용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이러한 얘기는 대부분은 구체적인 물증없이 설화만 전해 내려오는데, 설화의 주인공이 이여송에서 다른 이름으로 바뀌는 경우도 자주 있다. 이는 관련설화가 실제 사실이라기 보다는 이여송에 대한 당대의 평가를 반영해준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큰 인물이 나올만한 혈자리를 알아볼 정도로 재주가 뛰어났으나 결과적으로조선에 피해만 준 인물."이라는 평가이다.

명군이 진주한 이후 당시 조선민중 사이에서는 "일본군은 얼레빗, 명군은 참빗"이라는 속요가 유행했다고 전해진다. 느슨한 얼레빗보다는 촘촘한 참빗으로머리를 빗으면 이나 비듬이 모조리 걸러지듯 가는 곳마다 명나라 군사들의 수탈과 착취가 극심했기 때문이다. 더구나 강국으로만 알았던 조선이 자신의 힘을 빌려야 할 정도로 허약함을 알자 명나라 지휘관들의 업신여김도 극에 달했다.

더욱 심각했던 건 군 작전권이 명나라에 넘어갔다는 것이었다. 명나라는 이여송의 平壤공격이 성공해 일본군을 내몬 후 벽제관 전투에서는 일본군을 깔본 무리한 진군으로 수천명이 전사하는 참패를 당하게 된다. 이후 명나라는 강화회담에만 신경쓰거나 방어적인 전투만 치렀을 뿐 적극적인 전투의지를 내보이지 않는다. 그로 인해입은 손해는 고스란히 조선의 몫이 되었다.

대표적인 예가  2차 진주성 전투의 비극이었는데 명나라는 강화를 맺을 것이라는 일본군의 말만 믿은 채 진주로 구원병을 보내지도 않았고 조선 조정이 구원병을 보내는 것까지 방해를 하게 된다. 이런 틈에 모든 병력을 집결시킨 일본군이 고립된 진주성을 함락시켜 수만명이 살상당하는 비극을 초래하게 된 것이다.

 

 

일본의 일부 사학자들 중에는 임진왜란을 朝日 간의 전쟁이 아닌 엉뚱하게도 明日간의 전쟁으로 보려는 이도 있다. 이들은 명의 참전으로 급격히 확산된 조선 지배층의 사대주의를 염두에 두고 "당시 조선은 주체성이 없었다."라고 비꼬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이는 일제시대에 조성된 식민사관의 핵심이며 역사적 실체의 접근 보다는 한가지 사실을 부풀려 전체역사를 왜곡시키는 일본인 특유의 성향이 반영된 대목이기도 하다. (이런 방식의 식민사관을 그대로 따르는 사람이 있으니 서울대 이영훈 교수가 그렇다.)

하지만 결정적으로 명군의 참전은 초기에 잠깐 활약이 돋보였을 뿐 그 이후로는 전투를 기피했으며 당시 서민층은 명나라 군사들의 횡포와 착취에 때로는 왜군의 침략보다 더 큰 괴로움을 겪은 게 진실이다.

 

 



TOTAL: 8853

番号 タイトル ライター 参照 推薦
1213
No Image
日本の屋根の3点セット 2009-10-19 3336 0
1212
No Image
日本人教育資料 - 和箪 Marich 2009-10-19 2414 0
1211
No Image
19世紀 大韓国民 rainyseason  2009-10-19 817 0
1210
No Image
速報!韓国でインフルエンザの新薬....... hideki_kangeki 2009-10-19 1594 0
1209
No Image
韓国の美 - 家具 1 Marich 2009-10-19 4145 0
1208
No Image
韓国の 美 - 家具 1(ハングル版) Marich 2009-10-19 1535 0
1207
No Image
そして、薬師寺へ行った。 栄養市民 2009-10-18 1722 0
1206
No Image
日本人に質問 nipapapa 2009-10-18 1481 0
1205
No Image
gojapsの日本への嫉妬と劣等感 2009-10-18 1551 0
1204
No Image
唐招提寺に行きました。 栄養市民 2009-10-17 1280 0
1203
No Image
1909年石窟庵写真. interrang 2009-10-17 1333 0
1202
No Image
近代を支えた工業製品4 tairan 2009-10-17 1288 0
1201
No Image
日本軍蛮行被害者の正体(ポオングル)....... moon609 2009-10-17 1684 0
1200
No Image
韓国の 美 競走仏国寺の話. 2009-10-17 2684 0
1199
No Image
韓国の仏像 01 2009-10-17 976 0
1198
No Image
韓国の美 - 石窟庵 Marich 2009-10-17 2142 0
1197
No Image
1986年作 日本刀 dkool 2009-10-17 1658 0
1196
No Image
韓国の米 - 石窟庵(ハングル版) Marich 2009-10-17 3015 0
1195
No Image
写楽 5350万円 dkool 2009-10-17 1763 0
1194
No Image
巨大木造建築の成立 2009-10-16 303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