伝統文化

今日は日本人たちが口に打つことが擦れるように誇る日本刀に関する話です.
日本刀の製作過程の説明を参考して見ましょう.
今日は′日本人たちが口に唾液が損なわ誇る日本刀の話です。
日本刀の製作過程の


일본인 특별교육 - 製鐵 4 (한글판)

오늘은 일본인들이 입에 침이 닳도록 자랑하는 일본도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일본도의 제작과정의 설명을 참고해 봅시다.
今日は、日本人たちが口に唾液が損なわ誇る日本刀の話です。
日本刀の製作過程の説明を参照してみましょう。

 

和鋼玉鋼を加熱し煎餅状に打ち延ばし(厚み3~6mm)、水焼入れした後、小割選別(割れにくい少し含有炭素量の少ない鋼部は芯鉄などに使う)します。鍛錬途中に素材はどんどんとやせていきます。日本刀1振りを作るのに最初に準備する原料、玉鋼は完成品の約10倍、仕上がり重量1kの刀ではおよそ10Kg 程度の上質玉鋼が必要となります。
和鋼인 玉鋼을 가열 전병 모양으로 치고 길게 (두께 3 ~ 6mm), 열처리 후 小割選別(부러지기 어려운  탄소량이 적은 鋼部는 심철 등에 사용)합니다. 단련 도중에 소재는 계속적으로 강해져 가늘게 됩니다. 일본도 1개를 만들기 위하여 먼저 준비 재료, 玉鋼은 완제품의 약 10 배, 마무리 무게 1k의 칼로 약 10Kg 정도의上質玉鋼이 필요합니다.

 

玉鋼の同質鋼板を約1300℃程度に加熱(沸かし)大槌(先手)で打って鍛接し、鏨(タガネ)で切れ目を入れて折り返し、また沸かしをかけて鍛接する、1連の動作を繰り返し約10~20回ほど折り返し鍛錬を行う。このときタガネによる折り返しを縦横、交互に折り返す鍛錬法を十文字鍛えといいます。
동질강판을 약 1300 ℃ 정도 가열하여 해머로 치고 鍛接하고 鏨(정)으로 쳐서 눈금을 넣어 판을 접고, 또한 가열하여 鍛接하는  일련의 동작을 반복 약 10 ~ 20 회 정도 단련을 실시한다. 이 때 鏨(쇠붙이를 자르거나 깎거나 하는 데 쓰는 정. 강철제의 끌.)를 사용하여 종횡으로 번갈아 가며 접는다. 번갈아 접는 단련법을 十字단련이라고 합니다.

 

2^20 = 2^10*2^10 = 1024*1024
20回折ると・・・・1048576層
鋼板을 20회 접어서 단련하면 결국 1048576매의 강판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鋼板を 20回折り返し鍛錬すると、最終的に1,048,576枚の鋼板で構成されている。

 

이렇게 자랑하는 일본도의 진실을 밝혀 보자.
これを誇る日本刀の真実を明らかに見てみよう。

 

古代刀の鉄の神秘
七支刀は茎側から三分の一の処で折損している。全体に錆で覆われていながら未だ鉄の性質を失っていなかった。永禄11年 (1568年)、信長が大和を攻略した際に多くの宝物と共に七支刀も持ち去られ、後にへし折られて石上神社に返還された。社領が没収されて社人のいない神宮の宝物は、密かに神宮の御禁足地に埋蔵された。七支刀も破損したまま土中に埋められた。ところが、信長方になった筒井順慶に依って天正8年(1580 年)に社領が安堵され、七支刀は掘り起こされて再び社殿に奉祀された。
従って、七支刀は12年間土中に埋まっていた。若しこれが平安中期(11世紀)以降の日本刀だったとすれば、錆の進行が早く、その姿まで消滅したであろうが、七支刀は十数年土中に在ったにも拘わらず伝世品同様の姿で残っていた。 4~8世紀の古代刀は、千数百年以上埋蔵されていてもその形姿が失われず、研磨すれば燦然たる輝きを取り戻せる部分がある。古代刀と日本刀の耐錆力には大きな差があり、これは鉄素材の品質の相違※、即ち材料と精練方法の相違である事が知られている。戦前、既にこれと同じ主旨の事を栗原彦三郎も具体的に例を挙げて述べている。  

고대도 철의 신비
칠 지도는 가지  세 번째의 곳에서折損하고있다. 전체에 녹으로 덮여 있지만 아직 철의 본질을 잃지 않았다.永禄11年(1568 년), 노부나가가 야마토를 공략했을 때 많은 보물과 함께 칠지도도 가지고 돌아간 후에  부러져서 石上神社에 반환되었다.社領이 몰수되고 社人이 없는 신궁의 보물은 비밀리에 신궁의 御禁足地에 매장되었다. 칠지도는 손상된 상태에서 땅속에 매장되었다.하지만 노부나가로 된 筒井順慶에 의하여 天正8年(1580 년)社領이 안심하고 칠지도는 발굴하고 다시 신전에 奉祀되었다.따라서, 칠지도는 12 년간 땅 속에 묻혀 있었다. 만약 이것이 헤이안 시대 중기 (11 세기) 이후 일본도였다고 하면 부식의 진행이 빠르고 그 모습까지 소멸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칠지도는 십수년 땅속에 묻혔음에도 불구하고 伝世品同様으 로 남아 있었다.4 ~ 8 세기의 고대도는 수천 수백년 이상 매장되어있어도 伝世品同様을 잃지 않고 연마하면 찬란한 광택을 되찾을 부분이있다.고대 칼과 일본도의耐錆능력에 큰 차이가 있고, 이것은 철 소재 품질 다름 , 즉 재료와 정련 방법의 차이다 라는 것이 알려져있다.전쟁 전은 이미 이와 같은 취지 것을 栗原彦三郎도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말하고 있다.

 

小林刀匠は時代が下がると共に鋼の不純物が増えると述べた。東京帝大の俵國一博士は「日本刀の科学的研究」で古刀→新刀と時代が下がるにつれて地鉄が汚れて行く事を化学分析で証明した。古直刀は最も清浄だったので、舶載鉄も同様の傾向だったのであろう。
佐藤富太郎も、「推古朝以前の地鉄は精麗、平安末期まで精良で、御番鍛冶時代に入り鉄質は悪化した。応永時代の鉄質の悪化は鍛錬で補修された。(幕末の)文化・文政の頃の大量製産の鉄(玉鋼)はますます悪変し、従来の積み沸しや鍛錬では精良な地鉄を得ることが難しくなったので、遂に、水心子正秀の卸し鉄法や清麿の精練法が案出された」と述べ、製鉄業の革新が鉄質の悪化をもたらしたとの認識を示している。現代刀はこの悪化した玉鋼を継承してしまった。 
고바야시刀匠은 시대가 내려 갈수록 철강의 불순물이 증가 한다고 말했다.東京帝大의 俵國一博士는 "일본도의 과학적인 연구"에古刀→新刀로 시대가 내려갈수록 地鉄이 오염되어 가는 것을 화학 분석에서 증명했다.古直刀는 가장 청정하였기 때문에,舶載鉄도 같은 경향이었던 것이다.
佐藤富太郎도 "推古朝 이전의 地鉄은 精麗, 레이 헤이안 말기까지 精良에서, 御番鍛冶時代에 철 질은 악화되었다. 応永 시대 철 질 악화는 단련으로 보수되었다. (막부 말기의 ) 文化・文政 시절의 대량 제품 생산의 철은 점점 악화되어 종래의 과대급탕이나 鍛錬에서는 精良적인 地鉄를 얻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결국,水心子正秀의 부리기 철법이나 清麿의 정련법이 고안되었다 "며 제철 산업의 혁신이 철의 질을 악화시켰다는 인식을 보여주고있다. 現代刀는 이 악화된 玉鋼을 상속했다.

 

古刀에 사용되었던 朝鮮古斧에 대해서 알아 봅시다.
古刀に使用されていた朝鲜古斧について調べてみましょう。

朝鮮古斧から読み取れるもの
1.皮金は極めて薄く、平均炭素含有量は心金の0.2%に比して0.3%と大した差がない。軟鋼の部類である。心金部と同一材を板状に鍛延して皮金が造られた。高炭素の部分が小さく点状に散らばっている。心金と同材を使って若干平均炭素量が高いのは薄板なので鍛造時に硬・軟鋼が良く練れたのか、或は赤熱鍛延の際に吸炭したとも考えられる。心金と同程度の皮金の硬度は、皮金の意味を推論する参考になる。
2.心金は低炭素部(C※0.1~0.2%のフェライト)の中に高炭素部(C0.7~0.8%のフェライトとパーライトの混合組織)が島状に散在する。これは数㎝塊の硬鋼と片状の軟鋼を混合し、加熱・鍛打を数回繰り返して鍛造成形したものである。スケールから見て、混合の折返しは1~2回程度のようだ。混合には鉄塊や鉄鋌を使わずに小さな鉄片や鉄粒が使われている。その理由は鍛冶で硬・軟の鋼材を混合し易かった為であろう。この硬・軟鋼の混合は重要な意味を持つ。                                                                      한국 고대 도끼에서 읽을 수있는 것
1. 皮金은 매우 얇고 평균 탄소 함량이 心金 0.2 %에 비해 0.3 %로 대단한 차이가 없다. 연강 부류이다.心金部와 동일한 재료를 판상으로鍛延하여 皮金이 만들어 졌다. 고탄소 부분이 작은 점 모양으로 흩어져있다.心金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약간 평균 탄소량이 높은 것은 박판이므로 단조 때硬・軟鋼이 좋게 늘어 났든지, 혹은 赤熱鍛延시에 吸炭했다고 수도있다.心金과 같은 정도의 皮金 경도는 皮金의 의미를 추론하는데 참고가 된다.
2. 心金은 저탄소부 (C  0.1 ~ 0.2 %의 페라이트) 안에 고탄소부 (C 0.7 ~ 0.8 %의 페라이트와 펄라이트 혼합 조직)가 島状으로 산재한다.. 이것은 몇 ㎝ 덩어리의 경강과 판상의 연강을 섞고 가열 鍛打를 여러 번 반복해서 단조 성형한 것이다.규모에서 볼 때, 혼합 구부림은 1 ~ 2 회 정도 같다. 혼합에는  철 덩어리와 철정을 사용하지 않고 작은 鉄片이나 鉄粒이 사용되고있다. 그 이유는 단야에서 硬・軟의 강재를 혼합하기 쉬웠기 때문이다. 이 硬・軟鋼의 혼합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即ち、既に硬・軟鋼の各々の得失を知っていて、刃物の強度と粘性を両立させる意図で複合材の心金を造っていた。従って、この心金は本体と言うべきであり、不均質鋼一枚鍛えの日本古刀の原点をここに見る。

즉, 이미 硬・軟鋼의 각 득실을 알고 있어서, 칼날의 강도와 점성을 양립시킬 의도로 복합재의 心金을 만들고 있었다. 따라서,이 心金은 본체라고 말해야 하고 不均質鋼一枚 단조의 일본古刀의 기원을 여기에서 본다.

考古学や冶金の研究者が、古代刀剣の皮・心金を、新刀以降の日本刀の概念で一律に解説しているが、固定観念という外はない。朝鮮古斧や、同様の心部構造と軟鋼皮金で造られた出土大刀類がその誤りを証明していると言えよう。
고 고학과 야금 연구원이 고대 도검의 皮・心金을,新刀이후 일본도의 개념으로 일률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고정 관념이라고 밖에 말할 수 없다.한국 고대 도끼와 같은 心部構造와 軟鋼皮金로 만들어진 出土大刀류가 잘못을 증명하고 있다고 말할 수있다.

 

 

国産直刀の「剣」の時代を経て、関東以北で舞草刀が生まれ、奥羽戦争の経験から平安中期に湾曲した刀身の「太刀」が出現する。鎌倉時代の太刀黄金期を経て、室町時代の戦法変化で太刀は「打ち刀」に移行した。対明貿易で支那鉄が盛んに流入していた。室町時代後期※、千草・出羽(いづわ)の商業鋼が生まれる。同じ頃に南蛮鉄の輸入が始まった。
국산 직도의 "칼"의 시대를 거쳐 관동 이북에서 舞草刀가 태어나 奥羽戦争의 경험에서 헤이안 중기에 굽은 칼의 몸체의 "太刀"가 출현한다.가마 쿠라 시대의 太刀 황금기를 거쳐 무로마치 시대의 전법 변화에 다치는 "장식품"으로 전환했다. 대명 무역에서 지나철이 활발하게 유입되고 있었다.무로마치 시대 후기  千草・出羽의 상업강이 태어났다. 같은시기에 남방 철 수입이 시작되었다.

 

商業鋼の出現で各地の自給零細鑪は衰退に向かい、これが古刀終焉(しゅうえん)の一因ともなった。慶長(江戸開幕前)に入り、刀匠堀川國広がこの新鋼材を使い、心鉄を包み込む新たに工夫した刀を造った。この期を境に、地鉄の変化が刀質と作刀法の変革をもたらした。舶載鉄の動向が深く係わっていたと推測される。
상업 강철의 출현으로 각지의 자급영세鑪는 쇠퇴하고 이것이古刀 종말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慶長 (에도 개막전)로 들어가서 刀匠 堀川國広이 새로운 강재를 쓰고 心鉄을 감싸는 새롭게 연구한 刀를 만들었다. 이 시기를 경계로, 地鉄의 변화가  刀質과 작도법의 변화를 가져왔다.舶載철 동향이 깊게 관련되고 있었다고 추측된다.

 

以降の刀は刀質(地鉄)が異なる為に新刀と呼ばれる。ここで古刀地鉄の製法の伝承が途絶えた。江戸後期、天秤鞴(てんびんふいご)の採用で鉄の大量生産が可能となった。銑、鉄、鋼(玉鋼)が分別供給されるようになり、新々刀の時代に入る。この頃、寛永の鎖国に依って遮断された舶載鉄の在庫が無くなり、鉄器類の地鉄は国産鉄が主流となった。
이후의 칼은 도질 (地鉄)이 다르기 때문에 新刀라고 불린다. 여기서古刀地鉄의 제조법의 전승이 그쳤습니다.에도 후기, 天秤鞴(천칭 풀무)의 채용으로 철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 졌다.銑, 철, 강철이 분리 공급되도록 하고, 新新刀 시대에 들어간다.그 무렵 寛永의 쇄국에 의해서 차단된 舶載철 재고가 없어져, 철기류의 지철은 국산철이 주류였다.

 

現在解っている和鋼製練は江戸・元禄の「永代鑪(たたら)」のみで、古代~中世の鑪と地鉄は未だ解明されていない。明治以降、「太刀」と「刀」をまとめて「日本刀」と呼ぶようになった。
현재 알고 있는 和鋼製練은 에도 겐로쿠의 "永代鑪(たたら)"뿐으로 고대 ~ 중세의 鑪와 地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메이지 이후, "太刀"과 "刀"를 함께 "일본도"라고 부르게되었다.

 

慶長以前の古刀は、日本刀定義の上で極めて重要な鍵を握るが、地鉄と作刀法は依然多くの謎に包まれている。日本刀の地鉄は、時代や国内外の産地に依って異なり、作刀法も普遍ではなかった。今に云う「古式鍛錬」とは、記述に残る新々刀の作刀法の一つで、現代刀はこれを継承した。これらは古刀の地鉄や刀身構造と異なる。
刀剣界の日本刀認識は新々刀を論拠としているが、これは期間・時代配置から見ても伝統的日本刀などと呼べるものではない。

게이초 이전 古刀는 일본도 정의에서 중요한 열쇠를 쥐고 있지만, 地鉄과 작도법은 여전히 많은 신비에 싸여있다.일본도의 地鉄은 시대나 국내외 산지에 따라 다르고 작도법도 보편적인 것은 아니었다.지금 전해지는 「古式鍛錬」은 기술되어 남아 있는新新刀의 작도법의 하나로, 현대도는 이것을 계승했다. 이들은古刀 지철과 칼의 몸체 구조와 다르다.도검계의 일본도 인식은 新新刀 칼을 논거하고 있지만, 이것은 기간 시대 배치에서 보더라도 전통日本刀등으로 부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日本刀は折返し鍛錬するから強靱になると言われ続けて来た。その為に鍛錬の必要がない地鉄を使った素延べ刀は徹底的に罵倒された。そこで、日本刀の造刀三大妄想(玉鋼、心鉄構造、折返し鍛錬)の一角を担う折返し鍛錬と強度の関係を明らかにしておく必要がある。
일 본도는 반복적으로 접어서 단련하기 때문에 강인하게 된다고 계속해서 말해왔다. 그 때문에 단련 필요가 없는 地鉄을 단순히 늘여서 만든 칼은 철저하게 매도되었다. 그래서 일본도의 제작 삼대망상(玉鋼, 心鉄構造, Folded 단련)의 일각을 담당하는 Folded 단련과 강도의 관계를 분명히 해 둘 필요가있다.

무려 20번의 folded 단련을 실시하면 칼의 취성은 얼마나 증가하는 것입니까?
無慮 20回 folded鍛練を実施すると、剣の脆性は、どのように増加するのでしょうか?
20回折ると・・・・1048576層

 

武器としての価値
日本刀の本質である武器性能、利鈍の実態が重視され、神話・伝説・伝聞は通用しない。実戦刀に求められる価値観である。この延長線上に、特殊綱の各種刀身や兵器としての下士官刀があった。現代、日本刀を武器として使うことはないから、試斬、真剣道、居合いの武道家に支持されている。刀剣の原点は云うまでもなく「武器」である。古代、この武器性能への畏敬の思いが祭祀の神器となった。この価値観では、刀身の見てくれの美(地肌・刃文)、神話・伝説・伝聞等の虚飾は通用しない。江戸・泰平の時代から日本刀は実戦で使用されなくなった(仇討ち以外はご法度)が、刀の利鈍位列が流布された。しかし、その真偽の検証は全く行われていない。しかも、これらは実戦での結果ではなく、罪人の死体を試斬した結果に依る。従って、実戦での優劣の実態を示すとは限らない。江戸初期の寛永11年(1634年)、鍵屋の辻の仇討ちで荒木又右衛門の伊賀守金道が相手の中間(ちゅうげん=使用人)の木刀に叩かれて折れ飛んだ。来金道家は日本刀鍛冶の名門である。又右衛門の刀が来の何代目か不明だが、仇討ちの場面で木刀で折られたという不名誉が鍛冶惣匠来金道の権威を虚構としてしまった。権威の実態とは大凡このようなものだった。刀は戦うと必ず折れるか曲がる。折れた刀の話しはこの他にも沢山ある。折れず曲がらずとは虚構であって、そんな刀は存在しない。
무기로서의 가치
일 본도의 본질이다 무기 성능,利鈍의 실태를 중시하고 신화 전설 소문은 통하지 않는다. 실전도에 요구되는 가치이다. 이 연장선상에 특수강의 각종 칼의 몸체와 下士官刀가 있었다. 현대, 일본도를 무기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試斬, 真剣道,居合い(앉은 자세에서 잽싸게 칼을 뽑아 적을 치는 무술)의 武道家에 지원된다. 도검의 원점은 전해지는 것도 없이 "무기"이다. 고대,이 무기 성능에 대한 외경의 생각이 제사의 신기로 됐다. 이 가치는 칼의 몸체의 아름다움 (地肌・刃文), 신화 전설 소문 등의 허식은 통하지 않는다. 에도 태평 시대부터 일본도는 실전에서 사용되지 않아서 利鈍位列이 유포되었다. 하지만 그 사실 검증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게다가 이들은 실전에서의 결과가 아니라 죄인의 시체를 試斬한 결과에 따른. 그래서 실전에서 우열의 실태를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에도 초기의寛永 11 년 (1634 년), 鍵屋의 근처의 원수갚음 공격에 荒木又右衛門의 伊賀守金道가 상대의 목검에 칼이 부러져 날았다. 来金道家는 일본刀鍛冶의 명문이다.,원수 갚음의 장면에서 목검에게 접힌라는 불명예가 대장장이 惣匠来金道의 권위를 허구로 했다. 권위의 실태는 보통 이런 것이었다. 칼은 싸울 때마다 반드시 부러지든가 휘어진다. 부러진 도의 이야기는 이 외에도 많이 있다. 부러지지도 휘어지지도 않는 것은 허구이고, 그런 칼은 존재하지도 않는다.
 
  貴重な資料として、上海事変と北支那の実戦で使われた日本刀の記録がある。成瀬関次氏は実戦検証に基づき「私は、戦場の体験から、美術骨董品の領域にいる鑑識家達を一切信じない。江戸期の鑑定・鑑識は極めて作為的・政略的である」と断定している。この実戦検証から、優れた刀の条件が示唆された。最も重要な点は、「粘硬な刀身」という事である。戦える刀は、硬い刀身と鋭い刃を意味しない。古刀のようなしなやかな刀身で軟らかく斬ることができる刀を指す※。硬い量産鋼の新刀や更に硬い玉鋼で作られた新々刀は実戦に於いて脆さを露呈した。鋼単体として進化した和鋼が優れた刀材とはならない。高品質な玉鋼だから刀の性能も良いというのは全くの幻想である。硬い玉鋼は逆に刀身性能を後退させた。美術刀剣界が流布した情報が虚構であった事がこの実戦検証で明らかになった。地刃の美観と刀身性能には何の関連も無かった。
귀중한 자료로서, 상하이 사변과 北支那의 실전에서 사용된 일본도의 기록이있다. 成瀬関次氏씨는 실전 검증을 바탕으로 "나는 전장의 경험에서 미술 골동품 영역에 있는 감정가들을 전혀 믿지 않는다. 에도시대의 감정 감식은 매우 작위적 정략적이다"라고 단정 하고있다. 이 실전 검증에서 탁월한도 조건을 제안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점도있는 도신"이라는 것이다. 실전용 도는 딱딱한 칼의 몸체와 날카로운 칼날을 의미하지 않는다.古刀같은 유연한 칼의 몸체에 부드럽게 휠 수있는 칼을 가리킨다.. 딱딱한 양산 강철의新刀와 더욱 단단한  玉鋼으로 만들어진 新新刀는 실전에서 취성을 노출했다. 鋼単体로서 진화한 和鋼이 우수한 도재가 아니다. 高品質인 玉鋼이기 때문에 성능도 좋다는 것은 참으로 환상이다. 玉鋼은 반대로 刀身性能을 후퇴시켰다. 美術刀剣界가 유포한 정보는 허구였던 것이이 실전 검증에서 밝혀졌다. 地刃의 미관과 刀身性能은 아무런 관계도 없었다.

 

 

時     代 C Mn Ti Cu  備  考 (一部筆者の見解を含む)
五重塔 ①再建時(708~714年頃) 0.30 0.092 0.025 0.02 高炭素鋼の中心を低炭素鋼が取り囲む。細長い鉄滓が介在。半島岩鉄鉱?
〃 ②中世(古刀全盛期) 0.23 0.070 0.036 0.03 鉄滓少し、軟鋼組織は微細均質。高融点鉄滓の大きな巣。半島岩鉄鉱?
〃 ③近世(慶長)(新刀期)  0.60 0.056 0.015 tr 南蛮鉄と砂鉄素材の混在? 鉄滓の介在最多、鍛錬の手抜きが認められる
〃 ④近世(元禄)  0.25 0.230 - tr 鉄鉱石系、南蛮鉄?
金  堂 ⑤再建時(708~714年頃) 0.30 0.084 - 0.06 鉄鉱石系の特長
〃 ⑥中世(古刀全盛期)  0.45 0.037 - 0.01 鉄鉱石系の特長、硬鋼組織は均質
〃 ⑦近世(慶長)(新刀期)  0.10 0.065 0.006 0.29 含銅磁鉄鉱、炒鋼? 灌鋼?

製鉄技術が低い古刀期までは塊錬鉄~銑鉄が得られた。刀匠達は、この母材を卸し(卸し鉄)、焼にも工夫を凝らして古刀を作った。
江戸時代、製鉄技術が進み、刀匠達の情報の交換が進んだが、刀のレベルはどうしても古刀に及ばなかった。刀身の肌は見事だと指摘される。古刀に比べて、新刀→新々刀と地鉄は硬くなり、地肌は無機質で単調になった。新刀以降、同じ鋼材(量産鋼)を使い同じ作刀法で刀を造るようになった。刀匠の違いと刃文の付け方が違うだけで、刀の個性は失われた。量産(玉)鋼が、変化に富んでいた日本刀の奥深さと地肌の美を退化させてしまった。 
제철 기술이 낮은 古刀期 까지는 덩어리 연철 ~ 무쇠를 얻을 수 있었다.刀匠들은 이 모재를 벼리고, 달구어 연구를 거듭해古刀을 만들었다.
에 도 시대의 제철 기술이 진전되어 刀匠들의 정보 교환이 진행되고 있지만,도 수준은 古刀에 미치지 못했다. 칼의 몸체의 피부는 훌륭하다고 지적된다.古刀에 비해新刀→ 신신도와 地鉄은 견고하고 地肌은 무기질로 단조되었다. 新刀이후 동일한 강재 (양산 Steel)을 사용하여 동일한 작도 법으로 도를 만들게 되었다.刀匠의 차이와 잎 문장을 지정하는 방법이 다를뿐, 도검의 개성을 잃게되었다. 양산 (구슬) 강철이, 변화가 풍부한 있던 일본도의 깊이와地肌아름다움을 타락시켜 버렸다.
 

これらの量産鋼が、武器性能と刀身美の向上に寄与して古名刀に近づけたのであろうか? ・・・・現実は寧ろ逆に劣化した。研師の方、武道家の方々の証言や実戦での検証から、古刀に比べて刀身の性能と美は明らかに後退している事が実証されている。「鉄と人は時代が下がる程悪くなる」とは真理である。鋼として進化した玉鋼は皮肉にも刀材としては退化した。刀は未だに古刀のレベルに及ばない。玉鋼神話がそれを阻んでいる。新刀以降の日本刀史は「日本刀衰退史」とも言えるであろう。
이 양산강이, 무기 성능과 칼의 몸체 아름다움 향상에 기여하고 古名刀에 접근하는 것이냐? * * * * 현실은 전혀 반대로 저하했다.研師나, 武道家 분들의 증언과 실전의 검증에서 古刀에 비해 칼의 몸체의 성능과 아름다움은 분명 후퇴하고있다는 것이 입증되고 있다."철과 사람은 시대가 내려갈만큼 나빠진다"는 진리이다. 강철로 진화한 玉鋼은 가죽과 살로도 재료로 퇴화했다.칼은 아직도古刀수준에 못 미친다. 玉鋼 신화가 그것을 막고있다.新刀이후日本刀역사는 "일본도 퇴색 역사"라고 말할 것이다.  



TOTAL: 8851

番号 タイトル ライター 参照 推薦
1231
No Image
韓国の美-家具 4 Marich 2009-10-22 2756 0
1230
No Image
韓国の米 - 世帯 4(ハングル版) Marich 2009-10-22 3773 0
1229
No Image
19世紀 大韓国民  japland 2009-10-22 1093 0
1228
No Image
GHQに抵抗した高校 gokihoi9 2009-10-21 1603 0
1227
No Image
日本の侍と鎧5 松平忠明 2009-10-21 2471 0
1226
No Image
日本の箪笥 tairan 2009-10-21 1825 0
1225
No Image
日本人に望む 家具 Marich 2009-10-21 1319 0
1224
No Image
小屋組【numlkの異常な性癖(レス】 tairan 2009-10-22 1938 0
1223
No Image
nekama ジョンの嘘 発覚過程wwww kiwimake 2009-10-21 1827 0
1222
No Image
韓国の熱血先生を紹介します hideki_kangeki 2009-10-21 2167 0
1221
No Image
韓国語は世界で一番優秀な言語! hideki_kangeki 2009-10-21 1543 0
1220
No Image
韓国の 美 - 家具3 Marich 2009-10-21 5148 0
1219
No Image
屋根に関する質問 栄養市民 2009-10-20 1872 0
1218
No Image
↓WSJとワシントンポストを区別でき....... rainyseason  2009-10-20 753 0
1217
No Image
韓国の美-家具2 Marich 2009-10-20 2266 0
1216
No Image
韓国の米 - 世帯2(ハングル版) Marich 2009-10-20 3735 0
1215
No Image
ワシントンポスト紙 east sea/ japan sea 2009-10-20 2144 0
1214
No Image
19世紀大韓国民 rainyseason  2009-10-20 598 0
1213
No Image
日本の屋根の3点セット 2009-10-19 3336 0
1212
No Image
日本人教育資料 - 和箪 Marich 2009-10-19 241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