光州

1.형용사란?

활용어미가 「い」로 끝나고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낸다



2.형용사의 활용



(1)미연형

い →  かろう  (∼겠지  ∼일 것이다)







  美しい  →  美しかろう (아름답겠지)

  よい  →  よかろう(좋을 것이다)

  寒い  →  寒かろう(춥겠지)



(2)연용형

  ①과거 완료를 나타내는 조동사 「た」에 이어진다.

い →  かった







  美しい  →  美しかった (아름다웠다)

  よい  →  よかった(좋았다)

  寒い  →  寒かった(춥웠다)



②접속조사 「たり」(∼하기도 하고)에 이어진다.

い → かったり







  美しい  →  美しかったり (아름답기도 하고)

  よい  →  よかったり(좋기도 하고)

  寒い  →  寒かったり(춥기도 하고)



③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ない」에 이어진다

い → く+ ない







  美しい  →  美しくない (아름답지 않다)

  よい  →  よくない(좋지 않다)

  寒い  →  寒くない(춥지 않다)



④접속조사 「て」(∼해서,∼하고)와  「ても」(∼해도)에 이어진다  い →  く+ て, ても







  美しい  →  美しくて (아름답고, 아름다워서)  美しくても (아름다워도)

  よい  →  よくて(좋고, 좋아서)  よくても(좋아도)

  寒い  →  寒くて(춥고, 추워서)  寒くても(춥워도)



⑤동사에 이어져 연용수식어로 쓰인다.

  い → く + 동사









  美しい  →  美しくなる (아름답게 되다, 아름다워지다)

  よい  →  よくなる(좋게 되다, 좋아지다)

  寒い  →  寒くなる(춥게 되다, 추워지다)



⑥중지법으로 사용된다 (∼하고)

  い  →  く(て)







  この 花は 美しく(て),においも いい (이 꽃은 아름답고 향기도 좋다)

  頭も よく(て),性格も いい  (머리도 좋고 성격도 좋다)

  冬は 寒く(て),夏は 署い  (겨울은 춥고 여름은 덥다)



(3)종지형 : 기본형



(4)연체형

  기본형 + 체언 및 조동사, 조사에 이어진다.



  ① 체언(명사)에 이어진다 

  美しい  →  美しい 人 (아름다운 사람)

  よい  →  よい  時 (좋은 때)

  寒い  →  寒い  所 (추운 곳)



  ②「ようだ」(∼것 같다),  「ので」(∼ 때문에), 「のに」(∼인데), 「の」(∼것),

    「ばかり」(∼만,∼쯤),  「ほど」(정도,만큼)등에도 이어진다



  美しいようだ  (아름다운 것 같다)

  美しいのに  (아름다운데)

  美しいので  (아름답기 때문에)

  美しいばかり  (아름다울 뿐)



(5)가정형

い  →  ければ







  美しい  →  美しければ (아름다우면)

  よい  →  よければ (좋으면)

  寒い  →  寒ければ (추우면)





3. 보조형용사



  보조형용사는 ない 하나 뿐으로 ない가 본래의 의미를 잃고 보조동사 ある의

  부정으로 사용된다

 

  私は お金が ない        형용사

  會った ことも ない        형용사

  それを 見るのは よくない    보조형용사

  彼は 學生では ない        보조형용사



4. 형용사 ない와 조동사 ない의 구별방법

  ① ない앞에 조사 は 또는 も를 넣어서 말이 되는 것은 형용사이고,

    말이 되지않는 것은 조동사이다.

 

    この 花は 美しくない

    → この 花は 美しくは ない(○)

    → この 花は 美しくも ない(○)

 

    彼は 本を ちっとも 讀まない

    → 彼は 本を ちっとも 讀まは ない(×)

    → 彼は 本を ちっとも 讀まも ない(×)



② ない대신 부정의 조동사 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조동사이고,

    사용할 수 없는 것은 형용사이다

 

    この 花は 美しくない

    この 花は 美しくぬ(×)

              彼は 本を ちっとも 讀まない

              彼は 本を ちっとも 讀まぬ(○)



5. 복합형용사

 

  ①형용사의 어간 + 형용사

  うすくらい (좀 어둡다. 어둑어둑하다)

  おもくるしい (괴롭다, 답답하다)

  ふるくさい (심히 낡다, 켸계묻다)

  ほそながい (가늘고 길다)



  ②같은 형용사의 어간 + しい

  おもおもしい (엄숙하고 무게있다)

  かるがるしい (경솔하다)    わかわかしい (새파랗게 젊다)



  ③동사 + 형용사

  みにくい (보기 흉하다)

  ありがたい (감사하다, 고맙다)



  ④명사 + 형용사

  こころくるしい (미안해 마음이 괴롭다)

  みみあたらしい (금시 초문이다)



  ⑤접두어가 붙는 것

  まっしろい (새 하얗다)

  たやすい (쉽다, 용이하다)

  ものさびしい (어쩐지 쓸쓸하다)



  ⑥접미어가 붙는 것

  おんならしい (여자답다)

  おとこっぽい (어린아이 같다)



6. 형용사 어간의 용법



(1)감동사와 같이, 또는 단독으로 문이 되는 것

  おおさむ (아 추워)

  ああいた (아 아파)

  あつ (더워)



(2)어간에 さ가 붙는 것 (さ는 구체적인 정도를 나타낸다)

  あつい → あつさ (더위)

  さむい  → さむさ (추위)

  たかい → たかさ (높이)

  おもい → おもさ (무게)

  すばらしい → すばらしさ (훌륭함)

  ふかい → ふかさ (깊이)



(3)어간에 み가 붙는 것 (み는 감각적인 정도를 나타낸다)

  おもい → おもみ (무게)

  ふかい → ふかみ (깊이)



(4)어간에 け가 붙는 것

  さむい  → さむけ (한기)






[공부자료] 형 용 사

1.형용사란?
활용어미가 「い」로 끝나고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낸다

2.형용사의 활용

(1)미연형
い → かろう (∼겠지 ∼일 것이다)



美しい → 美しかろう (아름답겠지)
よい → よかろう(좋을 것이다)
寒い → 寒かろう(춥겠지)

(2)연용형
①과거 완료를 나타내는 조동사 「た」에 이어진다.
い → かった



美しい → 美しかった (아름다웠다)
よい → よかった(좋았다)
寒い → 寒かった(춥웠다)

②접속조사 「たり」(∼하기도 하고)에 이어진다.
い → かったり



美しい → 美しかったり (아름답기도 하고)
よい → よかったり(좋기도 하고)
寒い → 寒かったり(춥기도 하고)

③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ない」에 이어진다
い → く+ ない



美しい → 美しくない (아름답지 않다)
よい → よくない(좋지 않다)
寒い → 寒くない(춥지 않다)

④접속조사 「て」(∼해서,∼하고)와 「ても」(∼해도)에 이어진다 い → く+ て, ても



美しい → 美しくて (아름답고, 아름다워서) 美しくても (아름다워도)
よい → よくて(좋고, 좋아서) よくても(좋아도)
寒い → 寒くて(춥고, 추워서) 寒くても(춥워도)

⑤동사에 이어져 연용수식어로 쓰인다.
い → く + 동사




美しい → 美しくなる (아름답게 되다, 아름다워지다)
よい → よくなる(좋게 되다, 좋아지다)
寒い → 寒くなる(춥게 되다, 추워지다)

⑥중지법으로 사용된다 (∼하고)
い → く(て)



この 花は 美しく(て),においも いい (이 꽃은 아름답고 향기도 좋다)
頭も よく(て),性格も いい (머리도 좋고 성격도 좋다)
冬は 寒く(て),夏は 署い (겨울은 춥고 여름은 덥다)

(3)종지형 : 기본형

(4)연체형
기본형 + 체언 및 조동사, 조사에 이어진다.

① 체언(명사)에 이어진다
美しい → 美しい 人 (아름다운 사람)
よい → よい 時 (좋은 때)
寒い → 寒い 所 (추운 곳)

②「ようだ」(∼것 같다), 「ので」(∼ 때문에), 「のに」(∼인데), 「の」(∼것),
「ばかり」(∼만,∼쯤), 「ほど」(정도,만큼)등에도 이어진다

美しいようだ (아름다운 것 같다)
美しいのに (아름다운데)
美しいので (아름답기 때문에)
美しいばかり (아름다울 뿐)

(5)가정형
い → ければ



美しい → 美しければ (아름다우면)
よい → よければ (좋으면)
寒い → 寒ければ (추우면)


3. 보조형용사

보조형용사는 ない 하나 뿐으로 ない가 본래의 의미를 잃고 보조동사 ある의
부정으로 사용된다

私は お金が ない 형용사
會った ことも ない 형용사
それを 見るのは よくない 보조형용사
彼は 學生では ない 보조형용사

4. 형용사 ない와 조동사 ない의 구별방법
① ない앞에 조사 は 또는 も를 넣어서 말이 되는 것은 형용사이고,
말이 되지않는 것은 조동사이다.

この 花は 美しくない
→ この 花は 美しくは ない(○)
→ この 花は 美しくも ない(○)

彼は 本を ちっとも 讀まない
→ 彼は 本を ちっとも 讀まは ない(×)
→ 彼は 本を ちっとも 讀まも ない(×)

② ない대신 부정의 조동사 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조동사이고,
사용할 수 없는 것은 형용사이다

この 花は 美しくない
この 花は 美しくぬ(×)
彼は 本を ちっとも 讀まない
彼は 本を ちっとも 讀まぬ(○)

5. 복합형용사

①형용사의 어간 + 형용사
うすくらい (좀 어둡다. 어둑어둑하다)
おもくるしい (괴롭다, 답답하다)
ふるくさい (심히 낡다, 켸계묻다)
ほそながい (가늘고 길다)

②같은 형용사의 어간 + しい
おもおもしい (엄숙하고 무게있다)
かるがるしい (경솔하다) わかわかしい (새파랗게 젊다)

③동사 + 형용사
みにくい (보기 흉하다)
ありがたい (감사하다, 고맙다)

④명사 + 형용사
こころくるしい (미안해 마음이 괴롭다)
みみあたらしい (금시 초문이다)

⑤접두어가 붙는 것
まっしろい (새 하얗다)
たやすい (쉽다, 용이하다)
ものさびしい (어쩐지 쓸쓸하다)

⑥접미어가 붙는 것
おんならしい (여자답다)
おとこっぽい (어린아이 같다)

6. 형용사 어간의 용법

(1)감동사와 같이, 또는 단독으로 문이 되는 것
おおさむ (아 추워)
ああいた (아 아파)
あつ (더워)

(2)어간에 さ가 붙는 것 (さ는 구체적인 정도를 나타낸다)
あつい → あつさ (더위)
さむい → さむさ (추위)
たかい → たかさ (높이)
おもい → おもさ (무게)
すばらしい → すばらしさ (훌륭함)
ふかい → ふかさ (깊이)

(3)어간에 み가 붙는 것 (み는 감각적인 정도를 나타낸다)
おもい → おもみ (무게)
ふかい → ふかみ (깊이)

(4)어간에 け가 붙는 것
さむい → さむけ (한기)




TOTAL: 4422

番号 タイトル ライター 参照 推薦
122 [공부자료] [회ᕮ....... 2000-01-28 277 0
121 [공부자료] 일본....... 2000-01-28 278 0
120 [공부자료] 명사....... 2000-01-28 251 0
119 [공부자료] 형용....... 2000-01-28 358 0
118 [공부자료] 형 Ꮭ....... 2000-01-28 258 0
117 [공부자료] 使役....... 2000-01-28 263 0
116 [공부자료] 受身....... 2000-01-28 552 0
115 [공부자료] 가능....... 2000-01-28 258 0
114 [공부자료] 일본....... 2000-01-28 296 0
113 [시험자료] 나의....... 2000-01-28 739 0
112 [시험자료] 나의....... 2000-01-28 650 0
111 [시험자료] 나의....... 2000-01-28 263 0
110 [시험자료] 나의....... 2000-01-28 787 0
109 [공부자료] [일Ꮕ....... 2000-01-28 649 0
108 [공부자료] [일Ꮕ....... 2000-01-28 357 0
107 [순위정보] 현재....... 2000-01-28 287 0
106 [잡담잡담][사과....... 2000-01-28 599 0
105 [질문질문] 정팅....... 2000-01-28 333 0
104 [답변] 2000-01-28 269 0
103 [잡담잡담] 푸하....... 2000-01-28 29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