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事/経済 PositiveNegativeFreeStyleArguments

日本はこれから後進国だと

認める勇気を持とう

2019年 08月 27日(火)15時 15分



彼の発言は異例的(写真は 2018年 11月)Kim Kyung-Hoon/REUTERS



<日本は “かつてから豊かだった”ではなく, 元々貧しかったのだ. 実は日本の労動生産性の順位は去る 50年間ほとんど変わらなかった. 昔から傑出した技術大国だったという自らの “錯覚”に見合わせることができなかったら, 日本経済はトンネルを抜けることができない.>




”日本は AI後進国” “衰退産業にぶら下げられている” “戦略は先輩が作ったこと二番煎じだけ”. ソフトバンクグループの孫正義社長による峻厳な発言が話題になっている. 多くの人がぼんやり感じる内容だが公式席上では愼重に言葉を選んで来た彼の性格を勘案する時一連の発言は異例的なので事態が深刻であることを見せてくれる.




実際に日本は多くの面で

先進国で脱落したし,

ここでまた上位を狙うことは

よほど難しい状況だ.

私たちには日本は

これから後進国になったことを認める

勇気が必要するかも知れない.




数字で見れば日本は今さんたんな状況


最近日本社会が急速に貧乏になっているという事実は多くの人が自覚しているが, 一連の状況は皆数字に反映されている.




日本の労動生産性は先進国たちが最下位(日本生産性本部)で, 世界競争力順位は 30位で 1997年以後最低を記録した(IMD). 平均賃金は OECD会員 35ヶ国の中で 18位に経たない, 相対的貧困率は 38ヶ国の中で 27位, 教育に対する功績支出の GDP対比 43ヶ国の中で 40位, 年金所得代替率は 50ヶ国の中で 41位, 障害者の功績支出の GDP祈る 37ヶ国の中で 32位, 失業に対する功績支出の GDP対比 34ヶ国の中で 31位(皆 OECD)などここ書かという位にひどく都合だ.




日本は過去豊かな国だったが,

近来は競争力の私するが

人口減少によって

経済力が低下していると言うことが

一般的なイメージかも知れない

しかし現実は違う.




ただいま

日本の労動生産性は

先進国の中で最下位だと言ったが

事実はこの順位は 50年間

ほとんど変わらなかった.

日本経済家バブル化された

1980年代は

各国と生産性の差が

ちょっと減ったが基本的な状況で

変化がなくてずいぶん前から

日本の生産性は低い.

一人当たり GDP(国内総生産)が

世界 2位に良かった事もあるものの

それはただ一瞬にして過ぎない.




日本が輸出対局という言葉も過大評価された側面がある.




2017年の世界輸出で占める日本のシェアは 3.8%しかなくて 1位中国(10.6%), 2位のアメリカ(10.2%), 3位のドイツ(7.7%)と比べるとかなり小さい. 中国はもう世界の工場だから輸出シェアが大きいことは当たり前だろうか分からなくても実はアメリカも輸出強国なのを分かる. 驚くべきなことはドイツで GDPの大きさが日本より 2割小さいにもかかわらず輸出の絶対量が日本の 2倍以上もある.




日本は

”かつてから豊かだった”ではない


ドイツは過去 40年間輸出の世界シェアをほとんど同じな水準で維持するが日本はそうではない. 1960年代の日本輸出シェアは非常に低くてまだ” 安いのがビジトック”のイメージを持っていた. 1970年代でシェアの上昇が始まりながら 1980年代はひとときドイツに迫ったがその後は一貫されるようにシェアを落としている.




生産性や輸出シェアの数字を検証すれば, 一つの特徴が浮び上がる.




日本は 1960年代までは敗戦の影響を濃く残したし, 社会は本当に貧しかった. しかしオイルショックを経って, 70年代後半から日本は徐徐によくなって,

バブル時期にはひととき欧米各国に

近くなることのように見えたが,

それが日本のピークだった.


 


日本は “昔よく暮らしたが

今貧乏になった”ではなく

日本は元々貧しかったし

80年代に豊かになったりしたが

”また貧しい時代で

帰っている”というのが正しい

認識だと言っても良いだろう.




筆者は

わざわざ日本を

捐下したいのではないが,

状況を間違って認識すれば

処方せんも違って来る.

日本は昔から貧しかったという

冷厳な現実を直視して

正面から代置するのが

本当国を愛する心


と筆者は思う.




書き起こしでも紹介したとおり, 手さんは, 最近の日本企業に対して “戦略は先輩が作ったこと二番煎じだけ”と指摘しているのだが, 以前の日本企業は他ののだろう. これに対してもそうだとは言い切ることができない部分がある.




日本企業の真正な強点は何か?


パナソニックだと言う会社は, 早くMatsushita電気産業だと言う会社名だったが,

昭和時代には, 自主

”マネシタ( 真似った) 電気”と

やじを受けた.

トヨタも今には,

レックソスと言う

ブランド商品を出すことができるようになったが,

アメリカジェネラルモータースの自動車を

参照で製品の開発を

続いて来たことは有名な話だ.




パナソニックだけではなく

日本企業のかなり多い数は

欧米企業がヒット商品を出せば

ゴッバで真似って(このごろ言葉にすれば Pakuri) もっと安い価格の製品を

出すと言うのが行き付け商法

だった. マネシタ電気と言う(のは)これを皮肉った言葉だが, 単純にモノーマネ(模倣, 真似)はだめだというニュアンスで, この言葉が使われたことだけではないということに留意する必要がある.




”日本人には革新的な製品を

発明する能力はないが,

既存製品を改良する

すぐれた機能があって,

それが日本人のパワーだ”と

肯定的に受け入れる日本人は

少なくなかった.


当時低価販売に邁進する日本業社の影響で多くの欧米企業が倒産したが, 国内世論は “安くて良い品物を出す企業が勝つことは当然だ”は雰囲気だったし, 路頭で追い出された外国企業の職員たちを気配り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話や, 顧客は良い品物に対して高いお金を支払わ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などの論議はほとんどなかった.


すなわち, マネシタ電気という言葉は

100% 悪い意味ではなく賢明で

商売よくしているという

ニュアンスが盛られたし

むしろ Pakuri 商法で

利益をあげることこそ,

弱小国家が生計だと

肯定的に評価

したのだ.


しかし,

バブル時期を経って, 社会が多少,

豊かになって, 日本人は自らの

技術力を過信して,

古くから傑出した技術大国だったという

錯覚を持つようになってしまった.


が基本認識の差が現状維持の先入観を強く発揮するようになって結果的に手さんが指摘するように衰退産業にだけエネルギーを消耗する結果をもたらしている.


もう投資会社に変貌したソフトバンクに対しては自らは技術を開発しないという点で 虚業(物堅くない事業)という批判が申し立てられて来た. しかし,

モノーマネ(模倣, 真似)に代表されるように,

自分自身は革新的な開発は

しないが, アイディアと大変利ざとさ,

そして行動力で勝負するのが

日本企業の強点

なら, 実はソフトバンクと言うことは, 典型的な日本企業だと見ることもできる.


日本は後進国で転落したという

事実を謙虚に受け入れて,

これを逆利用してもっと

狡くふるまう企業が増えれば

突きあたっている路地に立ち入った

日本経済にも

光明が押し寄せることではないか.


https://www.newsweekjapan.jp/kaya/2019/08/post-78_1.php



 


★ 왈본은 걸출한 기술 대국 = 정신병 ★

일본은 지금부터 후진국이라고

인정하는 용기를 가지자

2019년 08월 27일 (화) 15시 15분



그의 발언은 이례적(사진은 2018년 11월) Kim Kyung-Hoon/REUTERS



<일본은 “일찌기로부터 풍부했다”가 아니고, 원래 궁핍했던 것이다. 실은 일본의 노동 생산성의 순위는 지난 50년간 거의 변하지 않았다. 옛부터 걸출한 기술 대국이었다고 하는 스스로의 “착각”에 보류할 수 없었으면, 일본 경제는 터널을 통과할 수 없다.>




”일본은 AI후진국” “쇠퇴 산업 무디어져들 내려지고 있다” “전략은 선배가 만든 것 재탕만”. 소프트뱅크 그룹의 손정의 사장에 의한 준엄한 발언이 화제가 되고 있다. 많은 사람이 멍하니 느끼는 내용이지만 공식석상에서는 신중하게 말을 선택해 온 그의 성격을 감안할 때 일련의 발언은 이례적이므로 사태가 심각한 것을 보여 준다.




실제로 일본은 많은 면에서

선진국에서 탈락했고,

여기서 또 상위를 노리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상황이다.

우리에게는 일본은

지금부터 후진국이 된 것을 인정하는

용기가 필요할지도 모르다.




숫자로 보면 일본은 지금 참담한 상황


최근 일본 사회가 급속히 가난이 되어 있다고 하는 사실은 많은 사람이 자각하고 있지만, 일련의 상황은 모두 숫자에 반영되고 있다.




일본의 노동 생산성은 선진국들이 최하위(일본 생산성 본부)로, 세계 경쟁력 순위는 30위로 1997년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IMD). 평균 임금은 OECD 회원 35개국 중(안)에서 18위에 지나지 않는, 상대적 빈곤율은 38개국 중(안)에서 27위, 교육에 대한 공적 지출의 GDP 대비 43개국 중(안)에서 40위, 연금 소득 대체율은 50개국 중(안)에서 41위, 장애자의 공적 지출의 GDP 비는 37개국 중(안)에서 32위, 실업에 대한 공적 지출의 GDP 대비 34개국 중(안)에서 31위(모두 OECD) 등 여기서일까하고 말하는 정도에 몹시 형편이다.




일본은 과거 풍부한 나라였지만,

근래는 경쟁력이 사리를 꾀하지만

인구 감소에 의해서

경제력이 저하되고 있다고 하는 것이

일반적인 이미지일지도 모르는

그러나 현실은 다르다.




다녀왔습니다

일본의 노동 생산성은

선진국 중(안)에서 최하위라고 말했지만

사실은 이 순위는 50년간

거의 변하지 않았다.

일본 경제가 버블화 된

1980년대는

각국과 생산성의 차이가

조금 줄어 들었지만 기본적인 상황으로

변화가 없어 대단히 전부터

일본의 생산성은 낮다.

일인당 GDP(국내 총생산)가

세계 2위에 좋았던 일도 있는 것의

그것은 너무 단지 한순 있어.




일본이 수출 대국라는 말도 과대 평가된 측면이 있다.




2017년의 세계 수출로 차지하는 일본의 쉐어는 3.8%밖에 없어서 1위 중국(10.6%), 2위의 미국(10.2%), 3위의 독일(7.7%)과 비교하면 꽤 작다. 중국은 이제(벌써) 세계의 공장이니까 수출 쉐어가 큰 것은 당연할 것일까 몰라도 실은 미국도 수출 강국인 것을 안다. 놀랄 만한(일)것은 독일에서 GDP의 크기가 일본에서(보다) 2할 작음에도 불구하고 수출의 절대량이 일본의 2배 이상도 있다.




일본은

”일찌기로부터 풍부했다”는 아니다


독일은 과거 40년간 수출의 세계 쉐어를 거의 같은 수준으로 유지하지만 일본은 그렇지 않다. 1960년대의 일본 수출 쉐어는 매우 낮아 아직”싼 것이 비지특크”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1970년대에 쉐어의 상승이 시작되면서 1980년대는 한 때 독일에 강요했지만 그 다음은 일관되도록(듯이) 쉐어를 떨어뜨리고 있다.




생산성이나 수출 쉐어의 숫자를 검증하면, 하나의 특징이 떠오른다.




일본은 1960년대까지는 패전의 영향을 진하게 남겼고, 사회는 정말로 궁핍했다. 그러나 오일 쇼크를 거쳐는, 70년대 후반부터 일본은 서서히 좋아지고,

버블 시기에는 한 때 구미 각국에

가깝게 되는 것과 같이 보였지만,

그것이 일본의 피크였다.


 


일본은 “옛날 잘 살았지만

지금 가난이 된”은 아니게

일본은 원래 궁핍했고

80년대에 풍부해지거나 했지만

”또 궁핍한 시대에

돌아간다”라고 하는 것이 올바른

인식이라고 말해도 좋을 것이다.




필자는

일부러 일본을

연 꺾고 싶은 것이 아니지만,

상황을 틀려 인식하면

처방전도 달라 온다.

일본은 옛부터 궁핍했다고 하는

냉엄한 현실을 직시 해

정면에서 대치하는 것이

사실국을 사랑하는 마음


(와)과 필자는 생각한다.




첫머리에서도 소개했던 대로, 손씨는, 최근의 일본 기업에 대해서 “전략은 선배가 만든 것 재탕만”이라고 지적하고 있지만, 이전의 일본 기업은 다른 것의일 것이다. 이것에 대해서도 그렇다고는 단언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




일본 기업의 진정한 강점은 무엇인가?


파나소닉이라고 하는 회사는, 빨리 Matsushita 전기 산업이라고 하는 회사명이었지만,

쇼와 시대에는, 자주

”마네시타(흉내) 전기”라고

나 글자를 받았다.

토요타도 곧은,

렉크소스라고 하는

브랜드 상품을 낼 수 있게 되었지만,

미국 제너럴 모터스의 자동차를

참조로 제품의 개발을

계속 되어 온 것은 유명한 이야기다.




파나소닉 만이 아니고

일본 기업의 꽤 많은 수는

구미 기업이 히트 상품을 내면

곱바로 흉내는(요즈음 말로 하면 Pakuri) 더 싼 가격의 제품을

낸다고 하는 것이 단골 상법

이었다. 마네시타 전기라고 하는(의는) 이것을 풍자한 말이지만, 단순하게 물건-흉내내(모방, 흉내내)는 안된다고 하는 뉘앙스로, 이 말이 사용된 것 만이 아니다고 하는 것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일본인에게는 혁신적인 제품을

발명하는 능력은 없지만,

기존 제품을 개량하는

뛰어난 기능이 있고,

그것이 일본인의 파워다”라고

긍정적으로 받아 들이는 일본인은

적지 않았다.


당시 저가 판매에 매진 하는 일본업사의 영향으로 많은 구미 기업이 도산했지만, 국내 여론은 “싸고 좋은 물건을 내는 기업이 이기는 것은 당연하다”는 분위기였고, 길거리에서 내쫓아진 외국 기업의 직원들을 배려해야 한다고 하는 이야기나, 고객은 좋은 물건에 대해서 비싼 돈을 지불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등의 논의는 거의 없었다.


즉, 마네시타 전기라는 말은

100% 나쁜 의미는 아니고 현명하고

장사 잘 하고 있다고 하는

뉘앙스가 번창해졌고

오히려 Pakuri 상법으로

이익을 주는 것이야말로,

약소 국가가 생계라고

긍정적으로 평가

했던 것이다.


그러나,

버블 시기를 거쳐는, 사회가 다소,

풍부해지고, 일본인은 스스로의

기술력을 과신하고,

옛부터 걸출한 기술 대국이었다고 하는

착각을 가지게 되어 버렸다.


하지만 기본 인식의 차이가 현상 유지의 선입관을 강하게 발휘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손씨가 지적하도록(듯이) 쇠퇴 산업에만 에너지를 소모하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


더이상 투자 회사에 변모한 소프트뱅크에 대해서는 스스로는 기술을 개발하지 않는다고 하는 점으로 허업(견실하지 않은 사업)이라고 하는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물건-흉내내(모방, 흉내내)로 대표되도록(듯이),

자기 자신은 혁신적인 개발은

하지 않지만, 아이디어와 대단히 이익자리와 ,

그리고 행동력으로 승부하는 것이

일본 기업의 강점

이라면, 실은 소프트뱅크라고 하는 것은, 전형적인 일본 기업이라고 볼 수도 있다.


일본은 후진국에서 전락했다고 하는

사실을 겸허하게 받아 들이고,

이것을 역이용 해 더

교활하게 행동하는 기업이 증가하면

부딪치고 있는 골목에 들어간

일본 경제에도

광명이 밀려 드는 것은 아닌가.


https://www.newsweekjapan.jp/kaya/2019/08/post-78_1.php






TOTAL: 307

番号 タイトル ライター 参照 推薦
7 ★ 曰本は傑出した技術大国 = 精神病 ....... (2) copysaru34 2020-02-01 99 0
6 ★ 曰本は傑出した技術大国 = 精神病 ....... copysaru34 2020-02-01 56 0
5 ★ 曰本は傑出した技術大国 = 精神病 ....... (1) copysaru34 2020-02-01 57 0
4 ★ 曰本は傑出した技術大国 = 精神病 ....... copysaru34 2020-01-31 199 0
3 ★★ 曰本は傑出した技術大国 = 精神....... (3) copysaru34 2020-01-31 226 0
2 韓食は、美味くて、世界中で大人気(^....... (1) copysaru34 2020-01-31 278 1
1 人類に貢献した韓国人の発明品 (13) copysaru34 2020-01-31 62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