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メディア「オマーン戦で怪我人が出たり、引き分けで終わったのは芝のせいだ!」……出た出た
1-1の引き分けに終わったオマーンとの2026年北中米W杯アジア3次予選第7戦で、イ·ガンインとペク·スンホが負傷することになった原因として「芝生不良」が挙げられ、また別の論難が起きている。 韓国より一枚下に分類される弱体オマーンを相手にホームゲームで勝利を収めることができなかったことに対する「競技力低調」批判とは別に、国家代表Aマッチを行うにはあまりにもめちゃくちゃだった芝状態が浮上している。 (中略)
ペク・スンホとイ・ガンインの負傷要因の一つに挙げられるのはグラウンド状態だ。 国際Aマッチが行われたソウルW杯競技場の芝生が昨年から深刻に毀損され、今回のオマーン戦は高陽総合運動場で開かれたにもかかわらず、再び芝生の状態が問題だったわけだ。 実際、この競技場のグラウンドでは、試合途中に芝生が持ち上げられてひっくり返ったり、踏み足が押される姿がたびたび捉えられた。 芝生が掘られているところもところどころ目についた。
ハムストリング負傷で早く交代されたペク・スンホは試合後のインタビューで「前半中盤頃、ハムストリング側に(痛みが)少し感じられ、走っているうちにさらに上がってくる感じがした」として「少しずつ筋肉に無理が来はじめていた」と話した。 原因については「芝かどうかはよく分からない」と即答を避けながらも、「芝が浮いて、運動する時に硬かった。 韓国で一番良い運動場だと聞いたが、いろいろと残念だ」と付け加えた。 不十分だった芝生の状態が負傷を誘発した可能性を排除しなかったのだ。
ラシド・ジャベール オマーン代表監督も芝生の状態を指摘した。 彼は「芝が柔らかすぎた。 それでボールがよく飛んだ。 スタッドが芝生によく埋められた」とし「他の(競技場の)芝生とは違った」と話した。
(引用ここまで)
以前、ソウルのワールドカップ競技場の芝がひどいとの話題が出てました。
AFCすら「このスタジアムで試合やるの? やめたほうがいいんじゃない?」くらいに勧告するってレベルでした。
ソン・フンミン「ホームのスタジアムは芝の状態がよくなかった」→韓国代表サポ「そうだ、パレスチナとスコアレスドローになるわけがない。芝のせいだ。コンサートをやるから状態が悪くなるんだ!」……強豪ならどんな状況でもパレスチナ代表と0-0にはならんくない?(楽韓Web過去エントリ)
とはいえ、「強豪国」ならホームでスコアレスドローにはならんやろって話なんですけどね。
キミらの競技力がワールドカップ最終予選でホーム、アウェイのどちらでもFIFAランキング101位のパレスチナと引き分けるレベルってことでしかない。
そりゃ80位のオマーンとだって引き分けるでしょ。
で、今回も「芝のせいだ」と言い出していると。
確かに養生はだいぶひどい模様。
(画像引用元・冒頭記事より画面キャプチャ)
ソン・フンミンがパスしようとしたら軸足がこんなに埋まるほどのレベル。
試合当日に他で生えてた芝生を敷いたのかって感じですね。
ちなみに試合会場はソウルワールドカップ競技場ではなく、ソウル近郊の高陽スタジアム。「芝の養生が悪いワールドカップ競技場を避けて、具合のよい高陽スタジアムにしよう」って話だったのですが。
それでもこれ。
まあ、そういう部分も含めての「サッカー競技力」なんですよ。
韓国のレベルがそこまででしかないって話です。
한국 미디어 「오만전에서 부상자가 나오거나 무승부로 끝난 것은 잔디의 탓이다!」
나온 나왔다
1-1의 무승부에 끝난 오만과의 2026년 북중미 월드컵배 아시아 3차 예선 제 7전에서, 이·암 인과 페크·슨호가 부상하게 된 원인으로서 「잔디 불량」을 들 수 있어 또 다른 논란이 일어나고 있다. 한국에서(보다) 한 장하로 분류되는 약체 오만을 상대에게 홈 게임에서 승리를 거둘 수 없었던 것에 대한 「경기력 저조」비판과는 별도로, 국가 대표 A매치를 실시하려면 너무 엄청이었던 잔디 상태가 부상하고 있다. (중략)
페크·슨호와 이·암 인의 부상 요인의 하나로 거론되는 것은 그라운드 상태다. 국제 A매치를 한 서울 월드컵배 경기장의 잔디가 작년부터 심각하게 훼손되어 이번 오만전은 고양 종합 운동장에서 열렸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잔디 상태가 문제였던 (뜻)이유다.실제, 이 경기장의 그라운드에서는, 시합 도중에 잔디를 들어 올릴 수 있어 뒤집히거나 재매입다리가 밀리는 모습을 가끔 파악할 수 있었다. 잔디가 파지고 있는 곳(중) 아래 무렵 어디눈에 띄었다.
햄 스트링 부상으로 빨리 교대된 페크·슨호는 시합 후의 인터뷰로 「전반 중반무렵, 햄 스트링 측에(아픔이) 조금 느껴져 달리고 있는 사이에 한층 더 올라 오는 느낌이 들었다」라고 해 「조금씩 근육에 무리가 오기 시작하고 있었다」라고 이야기했다. 원인에 대해서는 「잔디인지 어떤지는 잘 모른다」라고 즉답을 피하면서도, 「잔디가 뜨고, 운동할 때에 딱딱했다. 한국에서 제일 좋은 운동장이라고 (들)물었지만, 여러가지 유감이다」라고 덧붙였다. 불충분했던 잔디 상태가 부상을 유발한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던 것이다.
라시드·쟈베이르오만 대표 감독도 잔디 상태를 지적했다. 그는 「잔디가 너무 부드러웠다. 그래서 볼이 잘 날았다. 스터드가 잔디에 잘 묻혔다」라고 해 「다른(경기장의) 잔디와는 달랐다」라고 이야기했다.
(인용 여기까지)
AFC조차 「이 스타디움에서 시합 하는 거야? 그만두는 편이 좋지 않아?」 정도에 권고한다 라는 레벨이었습니다.
손·훈민 「홈의 스타디움은 잔디 상태가 좋지 않았다」→한국 대표 사포 「그렇다, 팔레스타인과 스코아레스드로가 될 리가 없다.잔디의 탓이다.콘서트를 하기 때문에 상태가 나빠진다!」 강호라면 어떤 상황이라도 팔레스타인 대표와0-0에는 되지 않는 구 없어?(락한Web 과거 엔트리)
그렇다고는 해도, 「강호국」이라면 홈에서 스코아레스드로에는이라면 는 이야기입니다만.
너등의 경기력이 월드컵 최종 예선으로 홈, 어웨이의 어디라도 FIFA 랭킹 101위의 팔레스타인과 갈라 놓는 레벨은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렇다면 80위의 오만과라도 갈라 놓겠죠.
그리고, 이번도 「잔디의 탓이다」라고 하기 시작하고 있으면.
확실히 요양은 많이 심한 모양.

(화상 인용원·모두 기사보다 화면 capther)
손·훈민이 패스하려고 하면 축이 이렇게 메워질 정도의 레벨.
시합 당일에 외로 나고 있었던 잔디를 깔았는지라는 느낌이군요.
덧붙여서 시합 회장은 서울 월드컵 경기장이 아니고, 서울 근교의 고양 스타디움.「잔디의 요양이 나쁜 월드컵 경기장을 피하고, 상태가 좋은 고양 스타디움으로 하자」라는 이야기였습니다만.
그런데도 이것.
뭐, 그러한 부분도 포함한 「축구 경기력」이랍니다.
한국의 레벨이 거기까지에 지나지 않는다는 이야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