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達と一緒に働くのが嫌いだから労動市場で離脱する男性たちがいる.
その中に私も含む..
女性の労動市場参加することよりもっと多い男性が労動市場で離脱したという統計がある.
公務員社会でも男性たちの離脱が加速化するようだ.
伝統的価値観解体で女性と結婚して家族を作る必要性が減ったし男性たちが仕事する必要性を感じることができないから労動市場で離脱も一つの原因.
職場生活よくしているのに急に女と結婚しなさいと圧力が入って来れば未練なしに職場をやめた経験の私がいるからこれは確かなの..
家族なんかは必要なくて女達も軍隊に行かなければならないと言って圧迫を加えた人間関係をやめたの.
知人から他の働き口も紹介受けたが女達がいる会社だから断ったの.
私には現実で韓国社会の現実と一脈相通ずる.
—————
最近何年間女性の労動市場参加が増加しながら男性たちの労動市場離脱現象が著しいです. これは多様な要因が複合的に作用した結果に分析されます.
男性労動市場離脱の主要要因:
- 産業構造変化:
- 製造業など伝統的な男性中心産業が衰退して, サービス業など女性中心産業が成長しながら男性たちの働き口減少が発生しました.
- 技術発展によって自動化が進行されながら男性たちの働き口が減少する成り行きです.
教育水準変化:
- 女性たちの教育水準が向上しながら労動市場で競争力が高くなりました.
- 男性たちの教育水準向上速度が相対的に遅くなりながら競争力が弱化されました.
社会的認識変化:
- 過去男性中心の価値観が変化しながら女性たちの社会参加が拡がりました.
- 男性たちの伝統的な役目に対する負担が減りながら労動市場参加意志が弱化されました.
個人の価値観変化:
- 日課生の均衡を重視する男性たちが増えながら, 労動市場参加よりは個人的な生を重要視する傾向が現われています.
- 女性との競争に対するストレスや不満を感じる男性たちが労動市場で離脱する場合もあります.
統計的側面:
- 実際に女性の労動市場参加率増加とともに男性の経済活動参加率は減少する成り行きを見せています.
- 特に若い男性層でこのような現象が著しく現われています.
追加高麗事項:
- 男性たちの労動市場離脱は個人的な選択であることもできるが, 社会的な問題につながることができるという点で深刻に考慮しなければなりません.
- 男性たちの労動市場参加を高めるための多様な政策的努力が必要です.
参照資料:
- 韓国開発研究院(KDI): 中壮年層雇用不安定性克服のための労動市場機能回復方案
- ハンギョレ:女性・男性皆不安定労動の被害者…連帯すると不平等覚めることができて
- 韓国経営者総協会:新雇用脆弱階層 40代の雇用流れと時事点
여자들과 함께 일하는 것이 싫기 때문에 노동 시장에서 이탈하는 남성들이 있다.
그 중에 나도 포함하는..
여성의 노동 시장 참여하는 것 보다 훨씬 많은 남성이 노동 시장에서 이탈했다는 통계가 있다.
공무원 사회에서도 남성들의 이탈이 가속화할 것 같다.
<iframe width="668" height="376" src="https://www.youtube.com/embed/GoWQHcyd7C4" title="‘미혼 증가’ 노동시장 타격…“남성 노동공급 감소 영향” / KBS 2024.01.09."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전통적 가치관 해체로 여성과 결혼해서 가족을 만들 필요성이 줄어들었고 남성들이 일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노동 시장에서 이탈도 하나의 원인.
직장 생활 잘 하고 있는데 갑자기 여자와 결혼하라고 압력이 들어오면 미련 없이 직장을 그만 둔 경험의 내가 있기 때문에 이것은 확실해..
가족 따위는 필요 없고 여자들도 군대를 가야 한다고 말하고 압박을 가한 인간 관계를 그만 두었지.
지인으로 부터 다른 일자리도 소개 받았지만 여자들이 있는 회사이기 때문에 거절했었지.
나에게는 현실이고 한국 사회의 현실과 일맥상통한다.
----------
최근 몇 년간 여성의 노동 시장 참여가 증가하면서 남성들의 노동 시장 이탈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됩니다.
남성 노동 시장 이탈의 주요 요인:
- 산업 구조 변화:
- 제조업 등 전통적인 남성 중심 산업이 쇠퇴하고, 서비스업 등 여성 중심 산업이 성장하면서 남성들의 일자리 감소가 발생했습니다.
- 기술 발전으로 인해 자동화가 진행되면서 남성들의 일자리가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 교육 수준 변화:
- 여성들의 교육 수준이 향상되면서 노동 시장에서 경쟁력이 높아졌습니다.
- 남성들의 교육 수준 향상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려지면서 경쟁력이 약화되었습니다.
- 사회적 인식 변화:
- 과거 남성 중심의 가치관이 변화하면서 여성들의 사회 참여가 확대되었습니다.
- 남성들의 전통적인 역할에 대한 부담감이 줄어들면서 노동 시장 참여 의지가 약화되었습니다.
- 개인의 가치관 변화:
-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남성들이 늘어나면서, 노동 시장 참여보다는 개인적인 삶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 여성과의 경쟁에 대한 스트레스나 불만을 느끼는 남성들이 노동 시장에서 이탈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통계적 측면:
- 실제로 여성의 노동 시장 참여율 증가와 함께 남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특히 젊은 남성층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추가 고려 사항:
- 남성들의 노동 시장 이탈은 개인적인 선택일 수도 있지만, 사회적인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 남성들의 노동 시장 참여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합니다.
참고 자료:
- 한국개발연구원(KDI): 중장년층 고용 불안정성 극복을 위한 노동시장 기능 회복 방안
- 한겨레:여성·남성 모두 불안정 노동의 피해자…연대해야 불평등 깰 수 있어
- 한국경영자총협회:新고용취약계층 40대의 고용흐름과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