今年の成長率予測値0.9%も…心配深まる韓国経済
配信
国際金融センターによると、今年の韓国の実質国内総生産(GDP)成長率は1%を下回るという予測が出てきた。
英国のリサーチ会社キャピタルエコノミクス(CE)は最近の報告書で、韓国の今年の経済成長率予測値を従来の1.0%から0.9%に下方修正した。
CEはその間、韓国経済を悲観的に見てきた。
しかし問題は他の主要機関も韓国の成長率予測値を相次いで下方修正している点だ。
世界3大格付け機関スタンダード・アンド・プアーズ(S&P)は26日、今年の韓国の成長率を従来の2.0%から0.8ポイント引き下げた1.2%と予測した。
S&Pはアジア国家の成長率を一斉に下方修正したが、中でも韓国に対する修正幅が最も大きかった。
19日にはフィッチが韓国の成長率予測値を1.3%に引き下げた。
昨年12月には2.0%を提示していたが、先月1.7%に下方修正し、1カ月後に1.3%まで低めた。経済協力開発機構(OECD)も今年の韓国の成長率予測値を従来の2.1%から1.5%に大幅に下方修正し、ASEANプラス3マクロ経済調査事務局(AMRO)も1.9%から1.6%に引き下げた。
国際金融センターによると、グローバル投資銀行(IB)8行が提示した今年の韓国の経済成長率予測値は1月、2月とも平均1.6%だった。
米国の関税の影響を本格的に反映し始めた今月に入って下方修正が続いている。
CEが0.9%に引き下げた中、バークレイズ(1.6%→1.4%)、HSBC(1.7%→1.4%)、ゴールドマンサックス(1.8%→1.5%)なども韓国の経済見通しが良くないとみている。
韓国の成長率下方修正の理由には共通して、戒厳後に弾劾政局につながった韓国の「政治混乱」と米国の関税政策を挙げた。
韓国経済は米国などとの対外貿易に大きく依存していて、グローバル経済環境の変化に敏感に反応するということだ。
トランプ大統領は主要貿易相手国のカナダ・メキシコ・中国に対してすでに関税を課し、4月3日には相互関税と自動車関税もかけると発表した。
世界銀行によると、2023年の韓国の貿易依存度は88%(GDP基準)と、OECD加盟国平均値(59%)を大きく上回る。
HSBCは「今後、米国の関税が現実化すれば韓国の輸出が大幅に減少するおそれがある」とし「製造企業の設備投資の回復が難しくなり、建設投資の反騰も遠ざかり、消費者心理指数が長期平均を下回って消費回復も容易でないだろう」と予想した。
전달금년의 성장률 예측치 0.9%나
걱정 깊어지는 한국 경제
국제 금융 센터에 의하면, 금년의 한국의 실질 국내 총생산(GDP) 성장률은 1%를 밑돈다고 하는 예측이 나왔다.
영국의 리서치 회사 캐피탈 경제학(CE)은 최근의 보고서로, 한국의 금년의 경제 성장률 예측치를 종래의 1.0%로부터 0.9%에 하부수정했다.
CE는 그 사이, 한국 경제를 비관적으로 봐 왔다.
그러나 문제는 다른 주요 기관도 한국의 성장률 예측치를 연달아 하부수정하고 있는 점이다.
세계 3대등급 설정 기관 스탠다드 앤드 프아즈(S&P)는 26일, 금년의 한국의 성장률을 종래의 2.0%로부터 0.8포인트 인하한 1.2%라고 예측했다.
S&P는 아시아 국가의 성장률을 일제히 하부수정했지만, 안에서도 한국에 대한 수정폭이 가장 컸다.
19일에는 피치가 한국의 성장률 예측치를 1.3%로 인하했다.
작년 12월에는 2.0%를 제시하고 있었지만, 지난 달 1.7%에 하부수정해, 1개월 후에 1.3%까지 낮추었다.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금년의 한국의 성장률 예측치를 종래의 2.1%로부터 1.5%에 큰폭으로 하부수정해, ASEAN 플러스 3 마크로 경제 조사 사무국(AMRO)도 1.9%로부터 1.6%로 인하했다.
국제 금융 센터에 의하면, 글로벌 투자 은행(IB) 8행이 제시한 금년의 한국의 경제 성장률 예측치는 1월, 2월 모두 평균 1.6%였다.
미국의 관세의 영향을 본격적으로 반영하기 시작한 이번 달에 들어오고 하부수정이 계속 되고 있다.
CE가 0.9%로 인하한 안, 바클레이즈(1.6%1.4%), HSBC(1.7%1.4%), 골드먼 삭스(1.8%1.5%) 등도 한국의 경제 전망이 좋지 않다고 보고 있다.
한국의 성장률 하부수정의 이유에는 공통되고, 계엄 후에 탄핵 정국으로 연결된 한국의 「정치혼란」이라고 미국의 관세정책을 들었다.
한국 경제는 미국등과의 대외 무역에 크게 의존하고 있고, 글로벌 경제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주요 무역 상대국의 캐나다·멕시코·중국에 대해서 벌써 관세를 부과해, 4월 3일에는 상호 관세와 자동차 관세도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세계 은행에 의하면, 2023년의 한국의 무역의존도는88%(GDP 기준)로 OECD 가맹국 평균치(59%)를 크게 웃돈다.
HSBC는 「향후, 미국의 관세가 현실화하면 한국의 수출이 큰폭으로 감소할 우려가 있다」라고 해 「제조 기업의 설비 투자의 회복이 어려워져, 건설투자의 반등도 멀어져, 소비자 심리 지수가 장기 평균을 밑돌아 소비 회복도 용이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