台湾海峡衝突時は在韓米軍が出動? 「安保請求書が変わる可能性も」
![米国の国旗[Pixabay]](https://japanese.joins.com/upload/images/2025/04/20250401070841-1.jpg)
米国国防総省が最近機密文書「暫定国家防衛戦略(NDS)指針」で▷対中国牽制(けんせい)を最優先視▷同盟国の寄与増大を明示した--という事実が確認されて韓国政府も神経を尖らせている。トランプ政府の「安保請求書」に国防費支出増大圧迫とあわせて在韓米軍の役割変化が含まれる場合があると韓国内の専門家は展望している。
米国のピート・ヘグセス国防長官も先月28~29日(現地時間)、初のインド太平洋地域歴訪でこの指針に忠実な様子だった。3回の演説と記者会見で「中国共産党(the Communist Chinese)」という表現を繰り返し使用した。中国を指し示す公式用語である中華人民共和国(PRC)ではなく、攻勢的表現を通じて対中国抑制意志を明確にした格好だ。これは北朝鮮・ロシアなど「他の戦区で危険を甘受しても」中国牽制に焦点を合わせることを明示した指針と一脈相通じる。
専門家は、トランプ第2期政府の対中国牽制の基調は、2027年以降、台湾海峡での米中間衝突を想定している点で1期目の時とは異なると指摘する。「在韓米軍が台湾防御の役割を担いつつも、北朝鮮の抑制力に問題がないように韓国軍の寄与を拡大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方向で要求する場合がある」〔キム・ヒョンウク世宗(セジョン)研究所所長〕、「在韓米軍は対中国牽制中心に性格が変化する代わりに、対北朝鮮脅威には韓国に主導的な対応を要求する可能性が今まで以上に高い状況」〔朴元坤(パク・ウォンゴン)梨花(イファ)女子大学教授〕という予想もそのため出ている。
米国防権限法(NDAA)上、2万8500人に規定された在韓米軍の「質的変化」の可能性も挙がっている。実際、韓米は米軍のF35Aを1個の戦闘飛行大隊規模(20機)に常時配置する方案を推進している。これは北朝鮮抑制だけでなく中国牽制を兼ねた措置という解釈を呼んだ。
ソウルデジタル大学のムン・サンギュン教授は「トランプ特有の交渉方式で在韓米軍縮小問題を公に言及しても、先端・戦略武器の配置など後続措置が核心なので数字に一喜一憂する必要はない」と話した。米国が同盟の安保的役割を拡大させる過程で在韓米軍の縮小が一種の「交渉カード」として活用される可能性に重きを置く見方だ。今回公開された指針の中で「同盟」に関する内容について梨花女子大学国際大学院の朴仁煇(パク・インフィ)教授は「外交関係を費用的観点で見るトランプ大統領が、同盟の価値や役割を最初から無視するのではないかという予想とは裏腹に、その重要性を少しずつ認めるいわゆる『トランプ式同盟関係セッティング』と見る余地もある」と評価した。
米国のピート・ヘグセス国防長官も先月28~29日(現地時間)、初のインド太平洋地域歴訪でこの指針に忠実な様子だった。3回の演説と記者会見で「中国共産党(the Communist Chinese)」という表現を繰り返し使用した。中国を指し示す公式用語である中華人民共和国(PRC)ではなく、攻勢的表現を通じて対中国抑制意志を明確にした格好だ。これは北朝鮮・ロシアなど「他の戦区で危険を甘受しても」中国牽制に焦点を合わせることを明示した指針と一脈相通じる。
専門家は、トランプ第2期政府の対中国牽制の基調は、2027年以降、台湾海峡での米中間衝突を想定している点で1期目の時とは異なると指摘する。「在韓米軍が台湾防御の役割を担いつつも、北朝鮮の抑制力に問題がないように韓国軍の寄与を拡大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方向で要求する場合がある」〔キム・ヒョンウク世宗(セジョン)研究所所長〕、「在韓米軍は対中国牽制中心に性格が変化する代わりに、対北朝鮮脅威には韓国に主導的な対応を要求する可能性が今まで以上に高い状況」〔朴元坤(パク・ウォンゴン)梨花(イファ)女子大学教授〕という予想もそのため出ている。
米国防権限法(NDAA)上、2万8500人に規定された在韓米軍の「質的変化」の可能性も挙がっている。実際、韓米は米軍のF35Aを1個の戦闘飛行大隊規模(20機)に常時配置する方案を推進している。これは北朝鮮抑制だけでなく中国牽制を兼ねた措置という解釈を呼んだ。
ソウルデジタル大学のムン・サンギュン教授は「トランプ特有の交渉方式で在韓米軍縮小問題を公に言及しても、先端・戦略武器の配置など後続措置が核心なので数字に一喜一憂する必要はない」と話した。米国が同盟の安保的役割を拡大させる過程で在韓米軍の縮小が一種の「交渉カード」として活用される可能性に重きを置く見方だ。今回公開された指針の中で「同盟」に関する内容について梨花女子大学国際大学院の朴仁煇(パク・インフィ)教授は「外交関係を費用的観点で見るトランプ大統領が、同盟の価値や役割を最初から無視するのではないかという予想とは裏腹に、その重要性を少しずつ認めるいわゆる『トランプ式同盟関係セッティング』と見る余地もある」と評価した。
주한미군이 출동으로 한국군은 출동하지 않는 것인지?![미국의 국기[Pixabay]](https://japanese.joins.com/upload/images/2025/04/20250401070841-1.jpg)
대만 해협 충돌시는 주한미군이 출동? 「안보 청구서가 바뀔 가능성도」
![미국의 국기[Pixabay]](https://japanese.joins.com/upload/images/2025/04/20250401070841-1.jpg)
미국 국방총성이 최근 기밀 문서 「잠정 국가 방위 전략(NDS) 지침」으로 대 중국 견제(견제)를 최우선시 동맹국의 기여 증대를 명시했다고 하는 사실이 확인되어 한국 정부도 신경을 곤두세울 수 있고 있다.트럼프 정부의 「안보 청구서」에 국방비 지출 증가대압박과 아울러 주한미군의 역할 변화가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와 한국내의 전문가는 전망하고 있다.
미국의 비트·헤그세스 국방장관도 지난 달 2829일(현지시간), 첫 인도 태평양 지역 역방으로 이 지침에 충실한 님 아이였다.3회의 연설과 기자 회견에서 「중국 공산당(the Communist Chinese)」라고 하는 표현을 반복해 사용했다.중국을 지시하는 공식 용어인 중화 인민 공화국(PRC)이 아니고, 공세적 표현을 통해서 대 중국 억제 의지를 명확하게 한 모습이다.이것은 북한·러시아 등 「다른 전구로 위험을 감수 해도」중국 견제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명시한 지침과 일맥 상통한다.
전문가는, 트럼프 제 2기 정부의 대 중국 견제의 기조는, 2027년 이후, 대만 해협에서의 미 중간충돌을 상정하고 있는 점으로 1기째때와는 다르다고 지적한다.「주한미군이 대만 방어의 역할을 담당하면서도, 북한의 억제력에 문제가 없는 같게 한국군의 기여를 확대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할 방향으로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김·홀우크 세종(세종) 연구소 소장〕, 「주한미군은 대 중국 견제 중심으로 성격이 변화하는 대신에, 대북 위협에는 한국에 주도적인 대응을 요구할 가능성이 지금까지 이상으로 높은 상황」〔박원고(박·워곤) 이화(이화) 여자대학 교수〕라고 하는 예상도 그 때문에 나와 있다.
미국방 권한법(NDAA) 상, 2만 8500명에게 규정된 주한미군의 「질적 변화」의 가능성도 오르고 있다.실제, 한미는 미군의 F35A를 1개의 전투 비행대대 규모(20기)에 상시 배치하는 분 안을 추진하고 있다.이것은 북한 억제 뿐만이 아니라 중국 견제를 겸한 조치라고 하는 해석을 불렀다.
서울 디지털 대학의 문·산굴 교수는 「트럼프 특유의 교섭 방식으로 주한미군 축소 문제를 공에 언급해도, 첨단·전략 무기의 배치 등 후속 조치가 핵심이므로 숫자에 일희일우 할 필요는 없다」라고 이야기했다.미국이 동맹의 안보적 역할을 확대시키는 과정에서 주한미군의 축소가 일종의 「교섭 카드」로 해서 활용될 가능성에 중점을 두는 견해다.이번 공개된 지침속에서 「동맹」에 관한 내용에 대해 이화여대학 국제 대학원의 박인(박 ·인피) 교수는 「외교 관계를 비용적 관점에서 보는 트럼프 대통령이, 동맹의 가치나 역할을 최초부터 무시하는 것은 아닐것인가 라고 하는 예상과는 정반대로, 그 중요성을 조금씩 인정하는 이른바 「트럼프식 동맹 관계 세팅」이라고 보는 여지도 있다」라고 평가했다.
미국의 비트·헤그세스 국방장관도 지난 달 2829일(현지시간), 첫 인도 태평양 지역 역방으로 이 지침에 충실한 님 아이였다.3회의 연설과 기자 회견에서 「중국 공산당(the Communist Chinese)」라고 하는 표현을 반복해 사용했다.중국을 지시하는 공식 용어인 중화 인민 공화국(PRC)이 아니고, 공세적 표현을 통해서 대 중국 억제 의지를 명확하게 한 모습이다.이것은 북한·러시아 등 「다른 전구로 위험을 감수 해도」중국 견제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명시한 지침과 일맥 상통한다.
전문가는, 트럼프 제 2기 정부의 대 중국 견제의 기조는, 2027년 이후, 대만 해협에서의 미 중간충돌을 상정하고 있는 점으로 1기째때와는 다르다고 지적한다.「주한미군이 대만 방어의 역할을 담당하면서도, 북한의 억제력에 문제가 없는 같게 한국군의 기여를 확대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할 방향으로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김·홀우크 세종(세종) 연구소 소장〕, 「주한미군은 대 중국 견제 중심으로 성격이 변화하는 대신에, 대북 위협에는 한국에 주도적인 대응을 요구할 가능성이 지금까지 이상으로 높은 상황」〔박원고(박·워곤) 이화(이화) 여자대학 교수〕라고 하는 예상도 그 때문에 나와 있다.
미국방 권한법(NDAA) 상, 2만 8500명에게 규정된 주한미군의 「질적 변화」의 가능성도 오르고 있다.실제, 한미는 미군의 F35A를 1개의 전투 비행대대 규모(20기)에 상시 배치하는 분 안을 추진하고 있다.이것은 북한 억제 뿐만이 아니라 중국 견제를 겸한 조치라고 하는 해석을 불렀다.
서울 디지털 대학의 문·산굴 교수는 「트럼프 특유의 교섭 방식으로 주한미군 축소 문제를 공에 언급해도, 첨단·전략 무기의 배치 등 후속 조치가 핵심이므로 숫자에 일희일우 할 필요는 없다」라고 이야기했다.미국이 동맹의 안보적 역할을 확대시키는 과정에서 주한미군의 축소가 일종의 「교섭 카드」로 해서 활용될 가능성에 중점을 두는 견해다.이번 공개된 지침속에서 「동맹」에 관한 내용에 대해 이화여대학 국제 대학원의 박인(박 ·인피) 교수는 「외교 관계를 비용적 관점에서 보는 트럼프 대통령이, 동맹의 가치나 역할을 최초부터 무시하는 것은 아닐것인가 라고 하는 예상과는 정반대로, 그 중요성을 조금씩 인정하는 이른바 「트럼프식 동맹 관계 세팅」이라고 보는 여지도 있다」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