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の製造業、60%がトランプ米大統領の「関税爆弾」の影響圏
米国のトランプ政権が今月2日(現地時間)の相互関税の発表を予告した中、韓国国内の製造業10社のうち6社が直接・間接的に影響圏に置かれていると答えた。影響圏にあると回答した10社のうち2社は「対応計画が見つからない」と述べた。
大韓商工会議所が1日に報告した「韓国の製造企業の米国関税影響調査」の結果によれば、全国の製造業2107社のうち46.3%が「トランプ大統領の関税政策の間接的影響圏にある」と答えた。「直接的影響圏にある」という回答は14%だった。
影響圏に属する企業は「米国の輸出企業に部品および原材料を納品する企業」(24.3%)と「米国に完成品を輸出する企業」(21.7%)の比重が高かった。続いて「第3国(中国・メキシコ・カナダを除く)への輸出および内需企業」(17.9%)、「米国に部品および原材料を輸出する企業」(14.2%)、「中国に部品および原材料を輸出する企業」(13.8%)の順だった。
直接・間接的な影響圏に属するという比率が高い業種は、バッテリー(84.6%)、自動車・部品(81.3%)、半導体(69.6%)、医療精密(69.2%)、電気装備(67.2%)、機械装備(66.3%)、電子・通信(65.4%)の順だった。
韓国の企業は米国の関税の影響で「納品量減少」(47.2%)を最も多く懸念した。「高率関税による収益性悪化」(24.0%)と「米国市場内の価格競争力下落」(11.4%)、「部品・原材料調達網調整」(10.1%)が続いた。
関税に対する対応の現況を尋ねると、「動向をモニタリング中」(45.5%)か「生産費用節減など自主対応策を模索中」(29.0%)が多かった。「現地生産や市場多角化などを模索中」であるところは3.9%であり、「対応計画が見つからない」と答えたところは20.8%に達した。
한국의 제조업, 60%가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 폭탄」의 영향권
미국의 트럼프 정권이 이번 달 2일(현지시간)의 상호 관세의 발표를 예고한 중국, 한국 국내의 제조업 10사중 6사가 직접·간접적으로 영향권에 놓여져 있다고 대답했다.영향권에 있다고 회답한 10사중 2사는 「대응 계획이 발견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일에 보고한 「한국의 제조 기업의 미국 관세 영향 조사」의 결과에 의하면, 전국의 제조업 2107사중 46.3%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의 간접적 영향권에 있다」라고 대답했다.「직접적 영향권에 있다」라고 하는 회답은 14%였다.
영향권에 속하는 기업은 「미국의 수출 기업에 부품 및 원재료를 납품하는 기업」(24.3%)과 「미국에 완성품을 수출하는 기업」(21.7%)의 비중이 높았다.계속 되어 「 제3국(중국·멕시코·캐나다를 제외하다)에의 수출 및 내수 기업」(17.9%), 「미국에 부품 및 원재료를 수출하는 기업」(14.2%), 「중국에 부품 및 원재료를 수출하는 기업」(13.8%)의 순서였다.
직접·간접적인 영향권에 속한다고 하는 비율이 높은 업종은, 배터리(84.6%), 자동차·부품(81.3%), 반도체(69.6%), 의료 정밀(69.2%), 전기 장비(67.2%), 기계 장비(66.3%), 전자·통신(65.4%)의 순서였다.
한국의 기업은 미국의 관세의 영향으로 「납품량 감소」(47.2%)을 가장 많이 염려했다.「고율 관세에 의한 수익성 악화」(24.0%)과 「미국 시장내의 가격 경쟁력 하락」(11.4%), 「부품·원재료 조달망 조정」(10.1%)이 계속 되었다.
관세에 대한 대응의 현황을 물으면, 「동향을 모니터링중」(45.5%)인가 「생산비용 절감 등 자주 대응책을 모색중」(29.0%)이 많았다.「현지 생산이나 시장 다각화등을 모색중」인 곳은 3.9%이며, 「대응 계획이 발견되지 않는다」라고 대답한 곳은 20.8%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