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人「Switch2、60万ウォン以上も出してPS4並じゃないか!」……別に買えって強要されているわけでもなし
任天堂が次世代ゲーム機「ニンテンドースイッチ2」を6月5日発売すると発表したが、海外版価格が日本内需用より40%ほど高く策定され論難だ。 日本現地で直接購入する場合、韓国語をサポートせず、まともに使うことができない。 購入を待っていた消費者の不満が続いている。
3日、韓国任天堂株式会社によると、「任天堂スイッチ2」の日本国内向け機器の発売価格は4万9980円だ。 これを韓国ウォンに換算すれば約50万ウォンだ。 一方、韓国では64万8000ウォンで発売される。 米国での発売価格も韓国とほぼ同じ水準の449.99ドル(約66万ウォン)だ。
これに対し韓国任天堂側は「日本でも海外版機器は6万9980円(約70万ウォン)で販売する。 韓国だけが特別に高い価格を策定したわけではない。 地域別の市場状況に合わせて発売価格を決定した」とし、「日本の内需用機器の場合、日本語のみ支援する。 任天堂アカウントもやはり日本地域に限って連動が可能だという違いがある」と説明した。
今回の任天堂の差別的な価格策定に対して米国政府の「相互関税」政策が影響を及ぼしたのではないかという分析も出ている。 この日、ドナルド・トランプ大統領は、米国に輸入される世界各国の製品に関税を課すと発表したことがある。 日本には24%の相互関税が課せられている。 (中略)
価格が上がった分、性能は一部改善された。 「ニンテンドースイッチ2」は本体の厚さが以前の製品と同じだが、7.9インチのより大きなディスプレイを搭載した。 ゲーム機をテレビに連結すれば最大4K映像出力が可能で、最大120fpsのゲームにも対応する。
このような性能改善と新機能の追加にもかかわらず、韓国の利用者は価格的な部分で不満を爆発させている。 むしろ日本内需用機器の価格が予想より安く策定された反面、海外版価格が途方もなく高いという指摘だ。
さらに韓国では「ニンテンドースイッチ2」が「プレイステーション5」(57万ウォン台)よりむしろ価格が高い。 性能を高めたにもかかわらず画質は「プレイステーション4」水準に過ぎない。
ある利用者はコミュニティに「価格がとてもヤクザですね」という題名と共に「全世界(発売価格が)60万ウォン台だったら予想した価格なので別に考えなかったはずなのに、日本内需用が50万ウォン程度で(韓国と)20万ウォン程度差があるほどあまりにも安いのでぎょっとすることになる」と話した。
特にニンテンドースイッチはプレイステーションより比較的安いため小学生の間でも人気を得たが、今回の「ニンテンドースイッチ2」はこのような大衆性を見落としたようだという指摘も出ている。
(引用ここまで)
ニンテンドーSwitch2の値段が日本国内では4万9800円。
海外では450ドル水準。今日のレートで6万5500円くらい。
韓国での価格は64万8000ウォン。今日のレートで6万5300円ってところかな。
要するに世界で日本でだけ1万5000円ほど安いのですね。
任天堂が日本のユーザーを大事にしている、って部分も少なからずあるでしょう。
日本のユーザーこそが任天堂を育てた、母国であるって部分があるのでしょう。
あるいは「日本で6万5000円にしたら売れない」って判断も同時にあるでしょうね。
で、韓国では「PS4に毛が生えたくらいの性能なのに、PS5と同じ値段」みたいに言われていますが。
まあ、ゲーム機なので好きなゲームが出たら買えばいいんじゃないですかね?
ゼルダ新作が予定になかったのは残念ですが、とりあえず抽選予約には参加しておきました。
Switchはいまや唯一の携帯ゲーム機であり、唯一のPCと競合してない(しづらい)ゲーム機なんですよね。
PlayStationもXBOXも「スペックが同一で同じプレイ感覚を共有できる」って以外、PCとの差別化が難しい状態になってしまっている。
なので「ほしくない」のであれば買わなければいいんですよ。
ゼルダがやりたいなら、あるいはマリオカートが、マリオの新作が、エアライダーがやりたいのであれば買えばいいってだけで。
いにしえのゲハ板あたりでももう結論は出てるんですよね。
「やりたいゲームがあるなら買えばいい」っていう。誰も買えって強要しているわけでもなし。
韓国でもゲーム機出してれば、任天堂みたいに母国保護できたんじゃないですかねー。
以前、「日本のように韓国でもゲーム機を出して市場を独占したい」みたいなことを言ってもいたんですが。
「古い技術の水平思考」とか韓国じゃはやらないもんね。
한국인 「Switch2, 60만원 이상이나 내 PS4수준이 아닌가!」
따로 살 수 있어라는 강요 당하고 있는 것도 없음
닌텐도가 차세대 게임기 「닌텐도 스윗치 2」를 6월 5일 발매한다고 발표했지만, 해외판 가격이 일본 내수용보다40%만큼 높게 책정되어 논란이다. 일본 현지에서 직접 구입하는 경우, 한국어를 서포트하지 않고, 온전히 사용할 수 없다. 구입을 기다리고 있던 소비자의 불만이 계속 되고 있다.
3일, 한국 닌텐도 주식회사에 의하면, 「닌텐도 스윗치 2」의 일본 내향기기의 발매 가격은 4만 9980엔이다. 이것을 한국원으로 환산하면 약 50만원이다. 한편, 한국에서는 64만 8000원으로 발매된다. 미국에서의 발매 가격도 한국과 거의 같은 수준의 449.99달러( 약 66만원)다.
이것에 대해 한국 닌텐도측은 「일본에서도 해외판 기기는 6만 9980엔( 약 70만원)으로 판매한다. 한국만이 특별히 높은 가격을 책정한 것은 아니다. 지역별의 시장 상황에 맞추어 발매 가격을 결정했다」라고 해, 「일본의 내수용 기기의 경우, 일본어만 지원한다. 닌텐도 어카운트도 역시 일본 지역에 한해서 연동이 가능하다고 하는 차이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번 닌텐도의 차별적인 가격 책정에 대해서 미국 정부의 「상호 관세」정책이 영향을 미친 것은 아닐것인가 라고 하는 분석도 나와 있다. 이 날, 도널드·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수입되는 세계 각국의 제품에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던 것이 있다. 일본에는24%의 상호 관세가 부과되어 있다. (중략)
가격이 오른 만큼, 성능은 일부 개선되었다. 「닌텐도 스윗치 2」는 본체의 두께가 이전의 제품과 같지만, 7.9인치의 것보다 큰 디스플레이를 탑재했다. 게임기를 텔레비전에 연결하면 최대 4 K영상 출력이 가능하고, 최대 120 fps의 게임에도 대응한다.
이러한 성능 개선과 신기능의 추가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이용자는 가격적인 부분에서 불만을 폭발시키고 있다. 오히려 일본 내수용 기기의 가격이 예상보다 싸게 책정된 반면, 해외판 가격이 터무니없이 비싸다고 하는 지적이다.
한층 더 한국에서는 「닌텐도 스윗치 2」가 「플레이 스테이션 5」(57만원대)보다 오히려 가격이 비싸다. 성능을 높였음에도 불구하고 화질은 「플레이 스테이션 4」수준에 지나지 않는다.
있다 이용자는 커뮤니티에 「가격이 매우 야쿠자군요」라고 하는 제목과 함께 「전세계(발매 가격이) 60만원대라면 예상한 가격이므로 별로 생각하지 않았을 것인데, 일본 내수용이 50만원 정도로(한국과) 20만원 정도차이가 있다(정도)만큼 너무 싸기 때문에 오싹 하게 된다」라고 이야기했다.특히 닌텐도 스윗치는 플레이 스테이션보다 비교적 싸기 때문에 초등 학생의 사이에서도 인기를 얻었지만, 이번 「닌텐도 스윗치 2」는 이러한 대중성을 간과한 것 같다고 하는 지적도 나와 있다.
(인용 여기까지)
닌텐도 Switch2의 가격이 일본내에서는 4만 9800엔.
해외에서는 450 달러 수준.오늘의 레이트로 6만 5500엔 정도.
한국에서의 가격은 64만 8000원.오늘의 레이트로 6만 5300엔이라는 곳일까.
요컨데 세계에서 일본에서 만여라 1만 5000엔 정도 싸군요.
닌텐도가 일본의 유저를 소중히 하고 있는, 은 부분도 많이 있다지요.
일본의 유저가 닌텐도를 기른, 모국이다 라는 부분이 있다의지요.
있다 있어는 「일본에서 6만 5000엔으로 하면 팔리지 않는다」는 판단도 동시에 있다군요.
뭐, 게임기이므로 좋아하는 게임이 나오면 사면 되지 않습니까?
제르다 신작이 예정에 없었던 것은 유감입니다만 우선 추첨 예약에는 참가해 두었습니다.
Switch는 지금 유일한 휴대 게임기이며, 유일한 PC와 경합 하지 않는(하기 어렵다) 게임기이예요.
PlayStation도 XBOX도 「스펙이 동일하고 같은 플레이 감각을 공유할 수 있다」는 이외, PC와의 차별화가 어려운 상태가 되어 버리고 있다.
그래서 「가지고 싶지 않다」 것이면 사지 않으면 좋아요.
제르다를 하고 싶으면, 있다 있어는 마리오 카트가, 마리오의 신작이, 에어 라이더가 하고 싶은 것이면 사면 좋다고만으로.
과거의 게하판근처에서도 이제(벌써) 결론은 나오고 있는 거에요.
「하고 싶은 게임이 있다라면 사면 된다」라고 한다.아무도 살 수 있어라는 강요하고 있는 것도 없음.
한국에서도 게임기 내고 있으면, 닌텐도같이 모국 보호할 수 있었지 않습니까―.
이전, 「일본과 같이 한국에서도 게임기를 내 시장을 독점하고 싶다」같은 말을 했습니다만.
「낡은 기술의 수평사고」라고한국은 유행하지 않는 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