ソウル市、地盤沈下の高危険地域50カ所を政府に報告…江東区は「ゼロ」
![先月31日、ソウル江東区明逸洞の大明小学校近くの交差点で発生したシンクホール事故現場の様子。[写真 ニュース1]](https://japanese.joins.com/upload/images/2025/04/20250409115409-1.jpg)
ソウル市が昨年、地盤沈下が大きく懸念される高危険地域50カ所を政府に報告した。報告書には先月、大型シンクホールによる死亡事故が発生した江東区(カンドング)は含まれていないことが分かった。
8日、ソウル市は市内の地盤沈下高危険地域関連報告書を国土交通部に提出したと発表した。区別では広津区(クァンジング)が22カ所で最も多く、鍾路区(チョンノグ)9カ所、衿川区(クムチョング)7カ所、城東区(ソンドング)・九老区(クログ)それぞれ3カ所、江南区(カンナムグ)・蘆原区(ノウォング)・麻浦区(マポグ)それぞれ2カ所などだった。
報告された地盤沈下の高危険地域の全長は約45キロに達した。選定の理由は地下開発工事現場の周辺、地盤沈下事故発生頻度の高さ、浸水脆弱区間、30年以上の老朽地下施設物の多数存在などが挙げられた。
昨年、国土部は全国の地方自治体に地盤沈下調査が必要なところを検討してほしいと公文書を送り、ソウル市が各自治区から内容を受け、政府に報告したという。8自治区だけが区内に危険地域があると回答し、最近死亡事故が発生した江東区などでは高危険地域が選定されなかった。
江東区では先月24日午後6時29分ごろ、明逸洞(ミョンイルドン)の大明(テミョン)小学校近くの交差点で4.5車線規模のシンクホールが発生し、バイク運転手のパクさん(33)が死亡し、スポーツ用多目的車(SUV)運転手1人が負傷したことがある。
ソウル市関係者は「国土部傘下の国土安全管理院の要請で各自治区が選定した資料を受け、ソウル市が政府に報告した」とし、「自治区別に調査が必要なところを任意に決め、選定基準が異なる可能性がある」と述べた。
8日、ソウル市は市内の地盤沈下高危険地域関連報告書を国土交通部に提出したと発表した。区別では広津区(クァンジング)が22カ所で最も多く、鍾路区(チョンノグ)9カ所、衿川区(クムチョング)7カ所、城東区(ソンドング)・九老区(クログ)それぞれ3カ所、江南区(カンナムグ)・蘆原区(ノウォング)・麻浦区(マポグ)それぞれ2カ所などだった。
報告された地盤沈下の高危険地域の全長は約45キロに達した。選定の理由は地下開発工事現場の周辺、地盤沈下事故発生頻度の高さ、浸水脆弱区間、30年以上の老朽地下施設物の多数存在などが挙げられた。
昨年、国土部は全国の地方自治体に地盤沈下調査が必要なところを検討してほしいと公文書を送り、ソウル市が各自治区から内容を受け、政府に報告したという。8自治区だけが区内に危険地域があると回答し、最近死亡事故が発生した江東区などでは高危険地域が選定されなかった。
江東区では先月24日午後6時29分ごろ、明逸洞(ミョンイルドン)の大明(テミョン)小学校近くの交差点で4.5車線規模のシンクホールが発生し、バイク運転手のパクさん(33)が死亡し、スポーツ用多目的車(SUV)運転手1人が負傷したことがある。
ソウル市関係者は「国土部傘下の国土安全管理院の要請で各自治区が選定した資料を受け、ソウル市が政府に報告した」とし、「自治区別に調査が必要なところを任意に決め、選定基準が異なる可能性がある」と述べた。
부호의 주택 부근만 도로 침몰 중점 대책 하고 있었던 한국 ![지난 달 31일, 서울 코토구 명일동의 대명초등학교 가까이의 교차점에서 발생한 세면대 홀 사고 현장의 님 아이.[사진 뉴스 1]](https://japanese.joins.com/upload/images/2025/04/20250409115409-1.jpg)
서울시, 지반침하의 고위험 지역 50개소를 정부에 보고 코토구는 「제로」
![지난 달 31일, 서울 코토구 명일동의 대명초등학교 가까이의 교차점에서 발생한 세면대 홀 사고 현장의 님 아이.[사진 뉴스 1]](https://japanese.joins.com/upload/images/2025/04/20250409115409-1.jpg)
서울시가 작년, 지반침하가 크게 염려되는 고위험 지역 50개소를 정부에 보고했다.보고서에는 지난 달, 대형 세면대 홀에 의한 사망 사고가 발생한 코토구(강 동국)는 포함되지 않은 것을 알았다.
8일, 서울시는 시내의 지반침하고위험 지역 관련 보고서를 국토 교통부에 제출했다고 발표했다.구별에서는 광진구(쿠징)가 22개소에서 가장 많아, 종로구(톨노그) 9개소, 금천구(쿠무쵸그) 7개소, 성동구(손 동국)·구로구(크로그) 각각 3개소, 강남구(강남구)·노원구(노워그)·마포구(마포그) 각각 2개소 등이었다.
보고된 지반침하의 고위험 지역의 전체 길이는 약 45킬로에 이르렀다.선정의 이유는 지하 가하쯔공사 현장의 주변, 지반침하 사고 발생 빈도의 높이, 침수 취약 구간, 30년 이상의 노련 지하 시설물의 다수 존재등을 들 수 있었다.
작년, 국토부는 전국의 지방 자치체에 지반침하 조사가 필요한 곳을 검토하면 좋겠다고 공문서를 보내, 서울시가 각자치구로부터 내용을 받고 정부에 보고했다고 한다.8 자치구만이 구내에 위험 지역이 있다라고 회답해, 최근 사망 사고가 발생한 코토구등에서는 고위험 지역이 선정되지 않았다.
코토구에서는 지난 달 24일 오후 6시 29분쯤, 명일동(몰이르돈)의 대명(테몰) 초등학교 가까이의 교차점에서 4.5 차선 규모의 세면대 홀이 발생해, 오토바이 운전기사 박씨(33)가 사망해, 스포츠용 다목적차(SUV) 운전기사 1명이 부상했던 것이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국토부 산하의 국토 안전 관리원의 요청으로 각자치구가 선정한 자료를 받아 서울시가 정부에 보고했다」라고 해, 「자치구별로 조사가 필요한 곳을 임의로 결정해 선정 기준이 다를 가능성이 있다」라고 말했다.
8일, 서울시는 시내의 지반침하고위험 지역 관련 보고서를 국토 교통부에 제출했다고 발표했다.구별에서는 광진구(쿠징)가 22개소에서 가장 많아, 종로구(톨노그) 9개소, 금천구(쿠무쵸그) 7개소, 성동구(손 동국)·구로구(크로그) 각각 3개소, 강남구(강남구)·노원구(노워그)·마포구(마포그) 각각 2개소 등이었다.
보고된 지반침하의 고위험 지역의 전체 길이는 약 45킬로에 이르렀다.선정의 이유는 지하 가하쯔공사 현장의 주변, 지반침하 사고 발생 빈도의 높이, 침수 취약 구간, 30년 이상의 노련 지하 시설물의 다수 존재등을 들 수 있었다.
작년, 국토부는 전국의 지방 자치체에 지반침하 조사가 필요한 곳을 검토하면 좋겠다고 공문서를 보내, 서울시가 각자치구로부터 내용을 받고 정부에 보고했다고 한다.8 자치구만이 구내에 위험 지역이 있다라고 회답해, 최근 사망 사고가 발생한 코토구등에서는 고위험 지역이 선정되지 않았다.
코토구에서는 지난 달 24일 오후 6시 29분쯤, 명일동(몰이르돈)의 대명(테몰) 초등학교 가까이의 교차점에서 4.5 차선 규모의 세면대 홀이 발생해, 오토바이 운전기사 박씨(33)가 사망해, 스포츠용 다목적차(SUV) 운전기사 1명이 부상했던 것이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국토부 산하의 국토 안전 관리원의 요청으로 각자치구가 선정한 자료를 받아 서울시가 정부에 보고했다」라고 해, 「자치구별로 조사가 필요한 곳을 임의로 결정해 선정 기준이 다를 가능성이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