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世紀初発生した世界大恐慌は, 29年 10月 29日のアメリカ株価大暴落が触発したと一般的に知られているが
1930年 5月, 当時アメリカ大統領だったHerbert Hooverが大恐慌状況終了を宣言した以後
すぐバルピョハンスムト-ホーリー関税法(Smoot-Hawley Tariff Act)が実際原因だと見ることが正確だ
当時フーバー大統領は幾多のエコノミストと財界 人士らの口を極めて挽留にもかかわらず
2万余個収入品目関税率を平均 59%, 最高 400%まであげてしまう
イギリスを含めた当時主要国々はアメリカに対して仕返し関税を施行する
結果的に期待とは違うようにアメリカの収入, 輸出は皆急減して, アメリカ経済は崩壊直前に追われて
連鎖的に世界大恐慌を起こしてしまった
結局 1年位に終わったアメリカ国内不況が 10年間世界を恐怖に追いこんだし, 長期的に世界大戦の種子になった
当時日本も米騷動を経験して, 大恐慌の影響を直撃で当たった. 今の米代暴騰は偶然か , 面白い
やはり歴史は繰り返すことかも知れない
20세기 초 발생한 세계 대공황은, 29년 10월 29일의 미국 주가 대폭락이 촉발했다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만
1930년 5월,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Herbert Hoover가 대공황 상황 종료를 선언한 이후
곧 발표한 스무트-홀리 관세법(Smoot-Hawley Tariff Act)이 실제 원인이라고 보는 것이 정확하다
당시 후버 대통령은 수많은 경제학자와 재계 人士들의 극구 만류에도 불구하고
2만 여개 수입 품목 관세율을 평균 59%, 최고 400%까지 올려 버린다
영국을 비롯한 당시 주요 국가들은 미국에 대해 보복 관세를 시행한다
결과적으로 기대와는 다르게 미국의 수입, 수출은 모두 급감하고, 미국 경제는 붕괴 직전에 몰리며
연쇄적으로 세계 대공황을 일으켜 버렸다
결국 1년 정도로 끝났을 미국내 불황이 10년간 세계를 공포로 몰아 넣었고, 장기적으로 세계대전의 씨앗이 되었다
당시 일본도 쌀 소동을 겪으며, 대공황의 영향을 직격으로 맞았다. 지금의 쌀값 폭등은 우연인가 , 재미있는
역시 역사는 반복하는 것일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