題目: ”反省したら...”
1カット:
背景: 第2次世界大戦末期, 戦闘機ゾゾングボックを口は日本軍神風兵士が飛行機の前で決然としている表情で立っている.
兵士 (本音):
“天皇陛下のために! これが真正な忠誠だ!”
2カット:
兵士飛行機搭乗直前, 友達兵士が近付いて問う.
友達兵士:
“ところでのよ… 私たちがどうしてこんなにまでしなければならないのか?”
神風兵士 (ためらって):
“うーん… … 一番(回)も深く考えて見たことは…”
3カット:
兵士, 飛行機の中で空を飛んで想念に掛かった姿.
本音:
“もし私たちが先に間違ったのではないか… 謝罪して反省したら…”
4カット:
未来場面: 年寄りになった兵士が博物館解説社になって, 学生たちに展示物を説明する姿.
老兵社:
“そしてあの時私は自爆代わりに謝りを選択したの. 今は歴史から学ばなければならない時だ.”
学生:
“おぉ‾ やっぱり本当の勇気は反省から出ますね!”
題目: ”反省しなかった国の結末”
1カット
背景: 現代日本距離(通り), 平穏な日常. 日本人がニュース記事を見ている.
ニュース記事:
“国際社会, 日本の歴史歪曲批判… 被害国連合制裁動き”
日本人:
“また? 私たちはもう充分に謝ったの!”
2カット
場面: 急に TV の中に戦犯国旗が搖れる場面とともに過去回想が始まる.
画面の中アナウンサー:
“しかし実際では公式的な謝りも, 法的賠償も大部分なかったです.”
画面の中資料:
慰安婦, 強制徴用, 南京大虐殺
3カット
未来場面: 日本が国際的に孤立した姿. 観光客もいなくて, 輸出の道も切られたあばらな東京.
表示板:
“入国禁止国家: 日本”
飛行機:
“最終飛行東京行取り消し”
日本人 (ぼうぜんとしていたら):
“…私たちが何をそんなに下手だったか?”
4カット
他の場面: 韓国, 中国, 東南アジア子供達が平和博物館で過去を学びながら笑っている.
解説社:
“加害者は記憶を消そうと思ったし, 被害者は記憶を守ろうと思ったんです. 歴史は結局真実便に止まります.”
諷刺メッセージ:
“反省ない過去は未来を失うようにする.”
💥 제목: "반성했다면..."
1컷:
배경: 제2차 세계대전 말기, 전투기 조종복을 입은 일본군 카미카제 병사가 비행기 앞에서 결연한 표정으로 서 있다.
병사 (속마음):
“천황 폐하를 위하여! 이것이 진정한 충성이다!”
2컷:
병사 비행기 탑승 직전, 친구 병사가 다가와 묻는다.
친구 병사:
“근데 말이야… 우리가 왜 이렇게까지 해야 하는 걸까?”
카미카제 병사 (주저하며):
“음… 글쎄… 한 번도 깊이 생각해본 적은…”
3컷:
병사, 비행기 안에서 하늘을 날며 상념에 잠긴 모습.
속마음:
“혹시 우리가 먼저 잘못한 건 아닐까… 사죄하고 반성했다면…”
4컷:
미래 장면: 노인이 된 병사가 박물관 해설사가 되어, 학생들에게 전시물을 설명하는 모습.
노병사:
“그리고 그때 난 자폭 대신 사과를 선택했단다. 지금은 역사로부터 배워야 할 때지.”
학생:
“오오~ 역시 진짜 용기는 반성에서 나오는군요!”
💥 제목: "반성 안 한 나라의 결말"
1컷
배경: 현대 일본 거리, 평온한 일상. 일본인이 뉴스 기사를 보고 있다.
뉴스 기사:
“국제 사회, 일본의 역사 왜곡 비판… 피해국 연합 제재 움직임”
일본인:
“또? 우리는 이미 충분히 사과했어!”
2컷
장면: 갑자기 TV 속에 전범국 깃발이 흔들리는 장면과 함께 과거 회상이 시작된다.
화면 속 아나운서:
“그러나 실제로는 공식적인 사과도, 법적 배상도 대부분 없었습니다.”
화면 속 자료:
위안부, 강제징용, 난징 대학살
3컷
미래 장면: 일본이 국제적으로 고립된 모습. 관광객도 없고, 수출길도 끊긴 황폐한 도쿄.
표지판:
“입국금지 국가: 일본”
비행기:
“최종 비행 – 도쿄행 취소”
일본인 (멍하니):
“…우리가 뭘 그렇게 잘못했지?”
4컷
다른 장면: 한국, 중국, 동남아 아이들이 평화 박물관에서 과거를 배우며 웃고 있다.
해설사:
“가해자는 기억을 지우려 했고, 피해자는 기억을 지키려 했지요. 역사는 결국 진실 편에 섭니다.”
👉 풍자 메시지:
“반성 없는 과거는 미래를 잃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