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政府、まだハイパーループ計画を諦めていなかった模様……「ソウル−釜山間を20分で駆け抜ける!」のですって
韓国国土交通部(省に相当)は9日、「線路上の飛行機」と呼ばれる次世代の超高速交通手段「ハイパーチューブ」の核心技術の開発に着手したと発表した。ハイパーチューブは、真空に近い亜真空(気圧0.001-0.01)状態のチューブ内を磁気浮上技術で列車を浮かせて移動させる交通システムだ。速度は時速1200キロで飛行機よりも速く、ソウル-釜山間の移動が20分で可能になる。
ハイパーチューブを実用化するためには、車両の高速走行に必要な磁気浮上技術だけでなく、亜真空状態のチューブの設計や車両設計技術なども必要だ。国土交通部は今年、36億8000万ウォン(約3億6700万円)を投じるのを皮切りに、2027年までに127億ウォンを投資する計画だ。これまで韓国鉄道技術研究院を中心に研究が進められており、2020年には実際の大きさを17分の1に縮小した模型でのテストで時速1019キロを出すことに成功した。
しかし、事業性に対する疑問の声も多く聞かれる。実際に韓国政府は以前にも、全北特別自治道のセマングム地域にハイパーチューブの試験場など総合試験センターを建設するとして、1兆1000億ウォン規模の事業を推進したが、予備妥当性調査の壁を越えることができなかった。韓国科学技術政策研究院は当時「事業の妥当性が不足している」と判断した。長距離にわたって真空に近い状態を維持するのが技術的に難しい上に、事故発生時の安全問題も解決されていないというわけだ。初の有人走行テストに成功した英国の企業ハイパーループ・ワンも、こうした問題を解決できず、2023年に事業を閉鎖した。
(引用ここまで)
夢が語られては次々と破れていくハイパーループ構想。
バージン傘下のハイパーループ・ワンは人員輸送を諦めて高速物流にトライしたものの、撤退決定。
イーロン・マスクが大言壮語していたハイパーループは試験路線が撤去されてスペースX職員のための駐車場になっているそうです。
一方でオランダではテストが行われていて「時速30キロ」で試験走行が行われたとのこと。
磁気浮遊っぽいですね。他のいくつかの資料にはMaglevとあったので。
でもまあ、実現は相当に苦しい。
亜真空をどう保つのか。
チューブの安定性を求めれば地下での運用になるのだけども、事故が起きた際の救出をどうするのか。
地上なら事故対応はできるでしょうが、温度変化でチューブが歪むのは間違いない。
亜真空下で廃熱をどう処理するのか。生じた熱の捨て所がないんですよね。
空冷はもちろんできない。水冷にしても一度冷やした後、どこで熱を捨てるのか。
まあ、まだ事業を続けている人々はそのあたりにアイディアがあるのかもしれませんね。
で、韓国でもやっていたのですが。
なんかよくわからない1/17モデルで時速1019キロ出したって書いてますが。
要するに模型で時速60キロまで出したってことです。実物大にしたらその速さになるってだけで。
その韓国鉄道技術研究院はなんか「亜真空下なのに吸気口がある謎の列車」をCGで走らせてましたね。
この吸気口からなにを吸いこんでいるのかさっぱりわからないんですが……やっぱエーテルとか?
まあ、夢のある話なので研究継続していただければいいんじゃないでしょうか。
でもやっているのは要素研究で磁気浮遊だけらしいので現実的といえば現実的。
リニアモーターカーに転進できるかもしれないですしね。
がんばれー。
한국 정부, 아직 하이퍼 루프 계획을 단념하지 않았던 모양
「서울-부산간을 20분에 앞질러간다!」의래
한국 국토 교통부(성에 상당)는 9일, 「선로상의 비행기」라고 불리는 차세대의 초고속 교통 수단 「하이퍼 튜브」의 핵심 기술의 개발에 착수했다고 발표했다.하이퍼 튜브는, 진공에 가까운 아진공(기압 0.0010.01) 상태의 튜브내를 자기 부상 기술로 열차를 띄워 이동시키는 교통 시스템이다.속도는 시속 1200킬로로 비행기보다 빠르고, 서울 부산간의 이동이 20분에 가능하게 된다.
하이퍼 튜브를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고속 주행에 필요한 자기 부상 기술 뿐만이 아니라, 아진공 상태의 튜브의 설계나 차량 설계 기술등도 필요하다.국토 교통부는 금년, 36억 8000만원( 약 3억 6700만엔)을 투자하는 것을 시작으로, 2027년까지 127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지금까지 한국 철도 기술 연구원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2020년에는 실제의 크기를 17분의 1에 축소한 모형으로의 테스트로 시속 1019킬로를 내는 것에 성공했다.그러나, 사업성에 대한 의문의 소리도 많이 들린다.실제로 한국 정부는 이전에도, 전북 특별 자치도의 세망무 지역에 하이퍼 튜브의 시험장 등 종합 시험 센터를 건설한다고 하고, 1조 1000억원 규모의 사업을 추진했지만, 예비 타당성 조사의 벽을 넘을 수 없었다.한국 과학기술 정책 연구원은 당시 「사업의 타당성이 부족하다」라고 판단했다.장거리에 걸쳐서 진공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어려운 데다가, 사고 발생시의 안전 문제도 해결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것이다.첫 유인 주행 테스트에 성공한 영국의 기업 하이퍼 루프·원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2023년에 사업을 폐쇄했다.
(인용 여기까지)
꿈이 말해져 차례차례로 깨져 가는 하이퍼 루프 구상.
virgin 산하의 하이퍼 루프·원은 인원 수송을 단념해 고속 물류에 트라이 했지만, 철퇴 결정.
이론·마스크가 호언 장담 하고 있던 하이퍼 루프는 시험 노선이 철거되어 스페이스 X직원을 위한 주차장이 되어 있다고 합니다.
한편으로 네델란드에서는 테스트를 하고 있어 「시속 30킬로」로 시험 주행을 했다는 것.
자기 부유 같네요.다른 몇개의 자료에는 Maglev와 있었으므로.
<iframe frameborder="0" src="//www.youtube.com/embed/lSBdTl3-WJI" width="640" height="360" class="note-video-clip"></iframe>
그렇지만 뭐, 실현은 상당히 괴롭다.
아진공을 어떻게 유지하는 것인가.
튜브의 안정성을 요구하면 지하에서의 운용이 된다지만도, 사고가 일어났을 때의 구출을 어떻게 하는 것인가.
지상이라면 사고 대응은 할 수 있겠지만, 온도 변화로 튜브가 비뚤어지는 것은 틀림없다.
아진공하에서 폐열을 어떻게 처리하는 것인가.생긴 열의 버릴 만한 곳이 없지요.
공냉은 물론 할 수 없다.수냉으로 해도 한 번 차게 한 후, 어디서 열을 버리는 것인가.
뭐, 아직 사업을 계속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 근처에 아이디어가 있다 의 것인지도 알려지겠네요.
그리고, 한국에서도 하고 있었습니다만.
어쩐지 잘 모르는1/17모델로 시속 1019킬로 냈다고 쓰고 있습니다만.
요컨데 모형으로 시속 60킬로까지 내도 일입니다.실물 크기로 하면 그 속도가 된다고만으로.
<iframe frameborder="0" src="//www.youtube.com/embed/JClIyOfmR2o" width="640" height="360" class="note-video-clip"></iframe>
이 흡기구로부터 무엇을 빨아들이고 있는지 전혀 모릅니다만 역시 에테르라든지?
뭐, 꿈이 있는 이야기이므로 연구 계속해 주시면 좋지 않을까요.
그렇지만 하고 있는 것은 요소 연구로 자기 부유만인것 같기 때문에 현실적이라고 하면 현실적.
리니어 모터카에 전진 할 수 있을지도 모르기도 하구요.
힘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