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vg focusable=“false” xmlns=“http://www.w3.org/2000/svg” viewBox=“0 0 24 24”> </svg>
茶道礼節 | 内容 |
---|---|
予熱 | 湯かんで沸かした水を宿雨に注いで予熱して, 残った水はトエスギに捨てます |
抜くこと | |
水腫れ | 宿雨の水が 7‾80度に下がると茶瓶に注いでくれます |
湯飲みにお茶よること | 布巾で茶瓶を支えて持ってしばらく返した後, 杯より 2‾3cm の上でペングズの方杯からお茶を注ぎます |
お茶飲む礼節 |
한국의 다도

한국 다도 예절은 차를 대하는 예절이자,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을 담아 차를 우리는 것을 중시합니다. 격식에 치우치지 않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진행되며, 차의 종류와 맛의 깊이를 탐구하는 중국 다예와는 다르게 온도와 시간에 엄격한 일본 다도와는 중간 정도의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



<svg focusable="false" xmlns="http://www.w3.org/2000/svg" viewBox="0 0 24 24"> </svg>
다도 예절 | 내용 |
---|---|
예열 | 탕관에서 끓인 물을 숙우에 부어 예열하고, 남은 물은 퇴수기에 버립니다 |
우리기 | 차호에 담긴 차를 2~3 스푼 정도 넣고, 찻잎을 뜰 때는 넓은 숟가락을 사용합니다 |
물 붓기 | 숙우의 물이 7~80도로 떨어지면 다관에 부어줍니다 |
찻잔에 차 따르기 | 행주로 다관을 받쳐 들고 잠시 돌려준 후, 잔보다 2~3cm 위에서 팽주 쪽 잔부터 차를 따릅니다 |
차 마시는 예절 | 초대받은 사람은 차를 우려준 분에게 감사의 인사를 하며 방석에 조용히 앉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