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が軍艦島を世界遺産に登載してから 9年が経ったが, 強制動員歴史を充分に反映するという約束をまだ履行していない. ユネスコが “全体歴史を反映しなさい”と言う是正要求をしたにもかかわらず, 先月 31日公開された日本の世界遺産関連後続措置報告書にはこのような要求が反映されなかった.
徐敬徳聖信女子大学校教授は “もう予見された事”と言いながら, “軍艦も全体歴史を知らせると作った産業遺産情報センターを軍艦島で 1000km 離れた東京に建てる時から調べた”と明らかにした. 三教授はこの展示館の位置が大通り傍ではない奥まる所にあって接近性が落ちるという点を指摘して, “これは日本政府がこの施設に対して後ろ暗い状況を端的に見せてくれる”と言った.
も, 三教授は展示館内部の展示物に対する写真と映像撮影が禁止されている点に対して “展示物が外部に流出されて歪曲された状況が広く知られるか恐ろしい心で行った措置”と判断した. 最大の問題は朝鮮人強制動員と深刻な差別など被害者たちが軍艦島で経験した血なまぐさい歴史的事実を全然言及していないというのだ.
で教授は “去る 9年の間日本にだまされて来た”と, “これからは対日外交戦略を変えなければならない”と強調した. 彼は強制動員歴史に対する私たち国民の持続的な関心が必要だと付け加えた.
日本軍艦島で朝鮮人 122人死んだ. 日本ははっきりと謝罪して, 強制動員に対して説明しなければならない. 約束を守りなさい!
일본이 군함도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한 지 9년이 지났지만, 강제동원 역사를 충분히 반영하겠다는 약속을 아직도 이행하지 않고 있다. 유네스코가 "전체 역사를 반영하라"는 시정 요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31일 공개된 일본의 세계유산 관련 후속조치 보고서에는 이러한 요구가 반영되지 않았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이미 예견된 일"이라며, "군함도 전체 역사를 알리겠다고 만든 산업유산정보센터를 군함도에서 1000km 떨어진 도쿄에 세울 때부터 알아봤다"고 밝혔다. 서 교수는 이 전시관의 위치가 대로변이 아닌 후미진 곳에 있어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는 일본 정부가 이 시설에 대해 떳떳하지 못한 상황을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말했다.
또한, 서 교수는 전시관 내부의 전시물에 대한 사진과 영상 촬영이 금지되어 있는 점에 대해 "전시물이 외부로 유출되어 왜곡된 상황이 널리 알려질까 두려운 마음에서 행한 조치"라고 판단했다. 가장 큰 문제는 한국인 강제동원과 심각한 차별 등 피해자들이 군함도에서 겪었던 참혹한 역사적 사실을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서 교수는 "지난 9년 동안 일본에게 속아 왔다"며, "이제는 대일 외교 전략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강제동원 역사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일본 군함도에서 한국인 122명 죽었다. 일본은 확실하게 사죄하고, 강제 동원에 대해 설명해야 한다. 약속을 지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