現代自動車とサムスンにハンファも…韓国企業相次ぎトランプ大統領に「高額寄付」
現代自動車、サムスン電子、ハンファなど韓国企業が1月20日のトランプ米大統領の就任式の際に寄付金を出していたことがわかった。トランプ大統領は就任前から自動車と半導体などに対する高率の関税を予告しており、ハンファQセルズの主力業種である太陽光に対しては否定的な認識を表明してきた。 米連邦選挙管理委員会が21日に公開した資料によると、トランプ大統領は歴代大統領のうち最も多い2億3900万ドル(約335億円)の就任式寄付金を集めた。 韓国企業では現代自動車が1月6日に北米法人の現代モーターアメリカを通じて100万ドルを寄付した。サムスン電子は1週間後の1月13日に米国法人のサムス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メリカを通じて31万5000ドルを出した。ハンファもやはり昨年12月11日にハンファディフェンスUSA、1月6日にQセルズアメリカを通じてそれぞれ50万ドルずつ合わせて100万ドルを寄付した。 外国企業は就任式準備委員会に直接寄付できないため現地法人を通じて寄付金を出したと推定される。高関税政策を予告したトランプ政権に対する誠意の表示とみられる。 100万ドルを寄付したハンファの場合、金東官(キム・ドングァン)副会長が就任式だけでなく、就任式前日のVIPを対象にした夕食会にも招かれた。また、米商務省は20日にハンファQセルズなど7社が中国の太陽光企業を対象にした請願を受け入れ中国企業の東南アジア製太陽光パネルに対し反ダンピング関税と相殺関税を課すことにした。やはり100万ドルを寄付した現代自動車の鄭義宣(チョン・ウィソン)会長は先月24日にホワイトハウスでトランプ大統領が参加する中で投資発表会を行った。 高額の寄付金を出した会社の中にはトランプ大統領の政策と直接的な利害関係がある会社が多く含まれている。 米国の自動車メーカーではフォードとゼネラルモーターズ(GM)がそれぞれ100万ドルを寄付した。トランプ大統領は自動車に対する25%の品目別関税を課し主要部品に対する関税を猶予する意向を明らかにした。米国企業はカナダとメキシコに多くの工場を持っている。現代自動車を除く外国自動車メーカーでは日本のトヨタが100万ドルを出した。 最近関税猶予措置が決定したスマートフォンと半導体企業も高額寄付者リストに含まれている。アップルのティム・クック最高経営責任者(CEO)は個人資格で100万ドルを寄付し、マイクロン、クアルコム、エヌビディアなど半導体企業も100万ドルを出した。アップルの場合、主力商品であるiPhoneを90%近く中国で生産している。 トランプ大統領の核心エネルギー政策である原油ボーリングと関連がある企業ではシェブロンが200万ドル、エクソン・モービルとオキシデンタル・ペトロリアムが100万ドルを出した。ファイザーとメルクが100万ドルなど製薬会社も多くの寄付金を出した。製薬は品目別関税が予告された分野だ。株式取引プラットフォームのロビンフッドが200万ドル、暗号資産企業のコインベースとソラナが100万ドルずつを寄付した。このほかトランプ大統領と長く対立してきたビッグテック企業のうちアマゾン、グーグル、メタがそれぞれ100万ドルを寄付した。 個人寄付者では米航空宇宙局(NASA)のトップに上がったジャレッド・アイザックマン氏が200万ドルを寄付したのをはじめ、教育長官になったリンダ・マクマホン氏が100万ドル、財務長官のスコット・ベッセント氏が25万ドルを寄付した。商務長官のハワード・ラトニック氏の場合、自身が設立した投資銀行を通じて104万7000万ドルを寄付した。「第47代大統領」を記念する意味とみられる。 一方、高額寄付者リストにマクドナルドが100万ドル、コカ・コーラが28万9750ドルと記載されたのも目に付いた。トランプ大統領は普段からマクドナルドとコーラなどファストフードを好むことで有名だ。
현대 자동차와 삼성에 한파도
한국 기업 잇따라 트럼프 대통령에 「고액 기부」
현대 자동차, 삼성 전자, 한파 등 한국 기업이 1월 20일의 트럼프 미 대통령의 취임식 시에 기부금을 내고 있었던 것이 알았다.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전부터 자동차와 반도체 등에 대하는 고율의 관세를 예고하고 있어, 한파 Q세르즈의 주력 업종인 태양광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표명해 왔다. 미 연방 선거관리위원회가 21일에 공개한 자료에 의하면, 트럼프 대통령은 역대 대통령의 쳐 가장 많은 2억 3900만 달러( 약 335억엔)의 취임식 기부금을 모았다. 한국 기업에서는 현대 자동차가 1월 6일에 북미 법인의 현대 모터 미국을 통해서 100만 달러를 기부했다.삼성 전자는 1주일 후의 1월 13일에 미국 법인의 삼성 엘렉트로닉스 미국을 통해서 31만 5000 달러를 냈다.한파도 역시 작년 12월 11일에 한파디펜스 USA, 1월 6일에 Q세르즈아메리카를 통해서 각각 50만 달러씩 합해 100만 달러를 기부했다. 외국 기업은 취임식 준비위원회에 직접 기부할 수 없기 때문에 현지 법인을 통해서 기부금을 냈다고 추정된다.고관세 정책을 예고한 트럼프 정권에 대한 성의의 표시로 보여진다. 100만 달러를 기부한 한파의 경우, 김동관(김·종) 부회장이 취임식 뿐만이 아니라, 취임식 전날의 VIP를 대상으로 한 저녁 식사회에도 초대되었다.또, 미 상무성은 20일에 한파 Q세르즈 등 7사가 중국의 태양광 기업을 대상으로 한 청원을 수락 중국 기업의 동남아시아제 태양광 패널에 대해반덤핑 관세와 상살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역시 100만 달러를 기부한 현대 자동차의 정의선(정·위손) 회장은 지난 달 24일에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참가하는 가운데 투자 발표회를 실시했다. 고액의 기부금을 낸 회사안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과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다 회사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미국의 자동차 메이커에서는 포드와 GM社(GM)가 각각 100만 달러를 기부했다.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에 대한 25%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해 주요 부품에 대한 관세를 유예 할 의향을 분명히 했다.미국 기업은 캐나다와 멕시코에 많은 공장을 가지고 있다.현대 자동차를 제외한 외국 자동차 메이커에서는 일본의 토요타가 100만 달러를 냈다. 최근 관세 유예 조치가 결정된 스마트 폰과 반도체 기업도 고액 기부자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다.애플의 팀·쿡 최고 경영 책임자(CEO)는 개인 자격으로 100만 달러를 기부해, 마이크론, 쿠아르콤, 에누비디아 등 반도체 기업도 100만 달러를 냈다.애플의 경우, 주력 상품인 iPhone를 90%가깝게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에너지 정책인 원유 볼링과 관련이 있다 기업에서는 셰브론이 200만 달러, 엑슨·모빌과 옥시 덴탈·패트로리엄이 100만 달러를 냈다.파이저와 머크가 100만 달러 등 제약회사도 많은 기부금을 냈다.제약은 품목별 관세가 예고된 만큼 들이다.주식 거래 플랫폼의 로빈훗드가 200만 달러, 암호 자산 기업의 코인 베이스와 솔라나가 100만 달러씩을 기부했다.이 외 트럼프 대통령과 길게 대립해 온 빅 텍 기업 중 아마존, 굿 한패, 메타가 각각 100만 달러를 기부했다. 개인 기부자에서는 미항공 우주국(NASA)의 톱에 오른 쟈렛드·아이작크만씨가 200만 달러를 기부한 것을 시작해 교육장관이 된 린다·마크마혼씨가 100만 달러, 재무 장관의 스콧·벳센트씨가 25만 달러를 기부했다.상무장관 하워드·라토 닉씨의 경우, 자신이 설립한 투자 은행을 통해서 104만 7000만 달러를 기부했다.「 제47대 대통령」을 기념하는 의미로 보여진다. 한편, 고액 기부자 리스트에 맥도날드가 100만 달러, 코카·콜라가 28만 9750 달러라고 기재되었던 것도 눈에 띄었다.트럼프 대통령은 평상시부터 맥도날드와 콜라 등 패스트 푸드를 좋아하는 것으로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