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GDP、第1四半期は予想外のマイナス 輸出減少
[ソウル 24日 ロイター] - 韓国銀行(中央銀行)が24日発表した第1・四半期の国内総生産(GDP)速報値は、予想に反して減少した。トランプ米政権の保護主義政策の影響が懸念される中、輸出や消費が低迷し、追加利下げ観測も強まった。
GDPは季節調整済み前期比0.2%減少し、昨年第2・四半期以来のマイナスとなった。ロイターがまとめた市場予想は0.1%増だった。
軟調な統計を受け、中銀に対し早ければ来月にも利下げを再開するよう求める圧力が強まりそうだ。
0.2%のマイナス成長を正しく予想していたユジン投資証券のアナリスト、ホ・ジェヒャン氏は「工業生産は消費とともに全体的に低迷し、対外的な不確実性の中で輸出が成長の足を引っ張り始めた」と述べた。
アナリストらによると、現在2.75%の政策金利は第3・四半期末までに2.25%に達する見通し。
GDPの内訳では、建設投資が前期比3.2%、設備投資が2.1%、輸出が1.1%、それぞれ減少した。
GDP가 감소한 CHON
한국 GDP, 제1 4분기는 예상외의 마이너스 수출 감소
[서울 24일 로이터] - 한국은행(중앙은행)이 24일 발표한 제1·4분기의 국내 총생산(GDP) 속보치는, 예상에 반해 감소했다.트럼프미 정권의 보호주의 정책의 영향이 염려되는 중, 수출이나 소비가 침체해, 추가 금리인하 관측도 강해졌다.
GDP는 계절 조정이 끝난 전기대비 0.2%감소해, 작년 제 2·4분기 이래의 마이너스가 되었다.로이터가 정리한 시장 예상은 0.1%증가였다.
연조한 통계를 받아 중앙 은행에 대해 빠르면 다음 달에라도 금리인하를 재개하도록 요구하는 압력이 강해질 것 같다.
0.2%의 마이너스 성장을 올바르게 예상하고 있던 유진 투자 증권의 어널리스트, 호·제할씨는 「공업 생산은 소비와 함께 전체적으로 침체해, 대외적인 불확실성 중(안)에서 수출이 성장의 방해를 하기 시작했다」라고 말했다.
어널리스트등에 의하면, 현재 2.75%의 정책 금리는 제3·4분기말까지 2.25%에 이를 전망.
GDP의 내역으로는, 건설투자가 전기대비 3.2%, 설비 투자가 2.1%, 수출이 1.1%, 각각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