コメの価格高騰で…韓国土産にお米!?国内では給食で「白米」の回数を減らす自治体も|TBS NEWS DIG
2025. 4. 15. #newsdig #ニュース #TBS
14週連続でコメ価格最高値が更新される中、給食での白米の回数が減るなど、子どもたちの食にも大きな影響が出始めています。
■「フードバンクにまずお米がない」 子ども食堂への提供も厳しく
韓国・ソウルのスーパー「ロッテマート ソウル駅店」で4月15日、韓国産のコシヒカリが10キロで約3000円から4700円(日本円換算)で売られていました。
日本人観光客
「安い、安い、どうして?」
「お米、韓国で買って帰る」
お米を日本に持ち込むには検査などが必要となりますが、日本のお米は高騰していて、思わず買いたくなるほどです。
お米をめぐってはいま、子どもたちの食事にも影響が出ています。
東京・荒川区の子どもの支援施設「子ども村ホッとステーション」の子ども食堂では、小学生から高校生までの食事などをサポートしていて、1食100円で提供しています。
この日の晩ご飯は、子どもたちに大人気のビビンバ丼です。おいしいご飯を食べて、食堂に子どもたちの笑い声が響きます。しかし…
子ども村ホッとステーション 大村みさ子 代表理事
「フードバンクにまずお米がない。そういう事態、今まで一度もなかったので、びっくりしました」
荒川区のこども食堂は、食品を提供するフードバンクからお米の支援を受けていましたが、価格高騰の影響で支援が止まってしまったといいます。
子ども
「一番好きなご飯が食べられなくなると、めちゃくちゃ悲しい」
食事の量を減らさないように様々な機関から、お米をかき集めていますが、今後については全く先が見えないと不安をのぞかせています。
子ども村ホッとステーション 大村みさ子 代表理事
「これがいつまで続くか、全然見通しが立たないので、今後、やはり麺類にするとか、そういったことは検討していきたい」
子ども
「給食も少なくて死にそうです。これ、普通の一杯くらいだったのが(今は)4分の3くらい」
■市長「もう致し方ない」 給食のご飯 週3回→週2回に
子どものお米をめぐる問題は、給食にも影響が出ています。
大阪・交野市は、市内の小中学校で2学期の給食の「ご飯」を提供する回数を、週3回から週2回に減らすことを決めました。
大阪・交野市 山本景 市長
「急なお米の価格の高騰で、かつそれが続いているというのは、もう致し方ない。やむを得ないかなと苦渋の決断」
お米の代わりに具材が入っていないコッペパンを増やすなど、工夫をしていくと言います。しかし…
大阪・交野市 山本景 市長
「これ(高値)がずっと続くとなってくると、3学期に関しましては、お米の回数を週に1回とか、そこまでやらざるを得なくなるような厳しい状況」
====================
<ヽ`∀´> ワレワレの伝統、マビキすれば万事OK Death~
쌀의 가격 상승으로 한국 선물에 쌀!국내에서는 급식으로 「백미」의 회수를 줄이는 자치체도|TBS NEWS DIG
2025. 4. 15. #newsdig #뉴스 #TBS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itGZZSCI1eI?si=bMBUl-xfCurA9fHs"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14주 연속으로 쌀 가격 최고치가 갱신되는 중, 급식으로의 백미의 회수가 줄어 드는 등, 아이들의 음식에도 큰 영향이 나오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후드 뱅크에 우선 쌀이 없다」아이 식당에의 제공도 어렵고
한국·서울의 슈퍼 「롯데 마트 서울역점」에서 4월 15일, 한국산의 코시히카리가 10킬로로 약 3000엔에서 4700엔(일본엔환산)으로 팔리고 있었습니다.
일본인 관광객
「싼, 싼, 어째서?」
「쌀, 한국에서 사 돌아간다」
쌀을 일본에 반입하려면 검사등이 필요합니다만, 일본의 쌀은 상승하고 있고, 무심코 사고 싶어질수록입니다.
쌀을 둘러싸고는 지금, 아이들의 식사에도 영향이 나와 있습니다.
도쿄·아라카와구의 아이의 지원 시설 「아이마을 후유 스테이션」의 아이 식당에서는, 초등 학생으로부터 고교생까지의 식사등을 서포트하고 있고, 1식 100엔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날의 저녁밥은, 아이들에게 대인기의 비빔밥사발입니다.맛있는 밥을 먹고, 식당에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영향을 줍니다.그러나
아이마을 후유 스테이션 오오무라봐 자 대표이사
「후드 뱅크에 우선 쌀이 없다.그러한 사태, 지금까지 한번도 없었기 때문에, 놀랐습니다」
아라카와구의 어린이 식당은, 식품을 제공하는 후드 뱅크로부터 쌀의 지원을 받고 있었습니다만,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지원이 멈추어 버렸다고 합니다.
아이
「제일 좋아하는 밥을 먹을 수 없게 되면, 엄청 슬프다」
식사의 양을 줄이지 않게 님 들인 기관으로부터, 쌀을 모으고 있습니다만, 향후에 대해서는 전혀 예견되지 않으면 불안을 내비치고 있습니다.
아이마을 후유 스테이션 오오무라봐 자 대표이사
「이것이 언제까지 계속 되는지, 전혀 전망이 서지 않기 때문에, 향후, 역시 면류로 한다든가, 그렇게 말한 것은 검토해 가고 싶다」
아이
「급식도 적어서 죽을 것 같습니다.이것, 보통 한 잔 정도였던 것이(지금은) 4분의 3 정도」
■시장 「더이상 하는 방법 않는다」급식의 밥주 3회→주 2회에
아이의 쌀을 둘러싼 문제는, 급식에도 영향이 나와 있습니다.
오사카·카타노시는, 시내의 초중학교에서 2 학기의 급식의 「밥」을 제공하는 회수를, 주 3회부터 주 2회로 줄일 것을 결정했습니다.
오사카·카타노시 야마모토경시장
「갑작스러운 쌀의 가격의 상승으로, 한편 그것이 계속 되고 있다는 것은, 더이상 하는 방법 않는다.어쩔 수 없을까와 괴로운 결단」
쌀 대신에 속재료가 들어가 있지 않은 쿠페빵을 늘리는 등, 궁리를 해 나간다고 합니다.그러나
오사카·카타노시 야마모토경시장
「이것(고가)이 쭉 계속 되면 되면, 3 학기에 관해서는, 쌀의 회수를 주에 1회라든지, 거기까지 하지 않을 수 없게 되는 어려운 상황」
====================
<□`∀′> 와레와레의 전통, 마비키 하면 만사 OK Dea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