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필리핀 수준으로 전락한..(00:03) 필리핀 정부는 쌀값 급등에 대응하여 식량안보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민간에 정부 비축미를 공급하여 쌀 가격을 안정시키겠다는 입장입니다.
(00:14) 2023년 여름부터 필리핀 쌀값은 급등한 이후 안정되지 못했으며, 2023년 9월에는 전년 대비 17.9% 상승했습니다.
(00:20) 2023년 필리핀 일반미와 도정미 가격은 2023년 7월 급등 이전과 비교해 각각 19%, 20% 상승했습니다.
(00:25) 필리핀 정부는 쌀값 안정을 위해 수입쌀 관세를 기존 35%에서 15%로 인하했지만 큰 효과는 없었습니다.
(00:32) 이에 필리핀 정부는 현재 비축하고 있는 쌀 30만 톤 중 절반 가량을 민간에 공급하여 가격을 안정화할 계획입니다.
(00:36) 대표적인 쌀 수입국인 필리핀의 쌀값 불안은 무역과 수입 농산물에 의존하는 식량 안보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00:45) 전문가는 과거 쌀 수출국이었던 필리핀이 수입국으로 전환된 사례를 언급하며, 세계 7위의 곡물 수입국인 한국 역시 식량 안보 위협에 직면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00:54) 엘니뇨와 폭풍 등 이상기후가 필리핀 농사에 큰 피해를 준 것처럼, 한국 역시 기후 위기에 대비하여 국내 생산 기반을 안정화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는 우려가 제기됩니다.
(01:04) 전문가들은 기후 변화로 인한 불확실성을 강조하며, 국내 재배 면적 축소 정책에 대한 우려와 함께 농업 생산 여건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01:16) 병충해 피해 등 국내 주요 벼 재배 지역도 기후 위기의 영향을 받는 만큼, 식량 안보를 위한 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합니다.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p4ft-YiCMx4" title="필리핀, 식량안보 비상사태 선포…쌀값 급등 여파"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