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事/経済 PositiveNegativeFreeStyleArguments

日本の **”部落民(部落民)”**と韓国での **”部落(部落)”**は漢字では同じに見えても, 意味と歴史, 社会的脈絡が完全に違います.


要約比較

項目日本の “部落民”韓国の “部落”
意味差別受けた階層 (互い別部落民)小さい村 (里)
語源/来由にも時代の エタ(穢多), ヒニン(非人) 階層で来由‘村’を意味する純粋地理的表現
社会的脈絡歴史的に ひどい差別の対象, 一部地域は相変らず差別存在差別概念なし, 行政的または自然的地名
現在使用非常に敏感な人権問題で 気を付けて使用よく使う中立的単語 (例: 山間部落, 漁村部落)
例示表現“互い別部落出身だから婚姻で拒否された”“その部落には 10世帯位が暮している”

詳しく説明

日本の “部落民”

  • 江戸時代: 階級制度の下屠殺, 皮加工, 死刑執行など “汚いと思われる” 仕事を担当した下層民は エタ・ヒニンと呼ばれたし, 決まった特定地域(=部落)に住みました.

  • 明治維新後解放になったが, 出身地や系図を調査して 就業・結婚などで差別がむかしのままだ.

  • 今日には “互い別部落(被差別部落)”という言葉が使われて, 敏感な人権問題で残っています.

韓国の “部落”

  • ‘部落’は団地 村, 里, 小さな共同体を意味する 中立的単語です.

  • 例: “その部落は冬に雪がたくさん降ります.”

  • 階級や差別の意味は全然なし.


結論

  • **日本の ‘部落民’**は歴史的に 差別受けた集団を意味する 社会的・政治的概念です.

  • **韓国の ‘部落’**は単純に **地理的単位としての ‘村’**を意味して, 差別の概念が全然ないです.




    ————————————————————

    それなら部落は韓国が祈願ですか?


    良い質問です. 部落(部落)という単語の祈願は韓国ではなく, 中国です. そしてこの単語は 漢字文化圏全体で共通的に借用されて使われた表現です.


    部落(部落)の起源

    • 祈願: 古代中国で由来した漢字語です.

    • 元々意味: 多くの不足や共同体が分けられて住む村単位を意味しました.

      • 例: 古代中国の三皇五帝時代, 不足社会を指称する時部(部)と楽(落)という単語を使い.

    •  


    漢字文化圏での拡散

    地域使用意味例示
    中国不足共同体または行政単位部族′部落人民
    日本差別階層が住む地域を意味するようになる (部落民)被差別部落
    韓国単純な村単位山間部落, 漁村部落など

    → すなわち, 同じな単語を借用したが, 各国での社会的意味は変わりました.


    結論

    • 部落(部落)の語源は韓国ではない古代中国です.

    • 韓国, 日本, 中国皆この漢字語を使ったが,

      • 韓国では村を意味する 中立的意味で,

      • 日本では歴史的差別と係わった 敏感な社会的概念に変わりました.


일본 부락민과 한국에서 부락의 차이는?

일본의 **"부락민(部落民)"**과 한국에서의 **"부락(部落)"**은 한자로는 같아 보여도, 의미와 역사, 사회적 맥락이 완전히 다릅니다.


🔍 요약 비교

항목일본의 "부락민"한국의 "부락"
의미차별받던 계층 (피차별 부락민)작은 마을 (촌락)
어원/유래에도 시대의 에타(穢多), 히닌(非人) 계층에서 유래‘마을’을 뜻하는 순수 지리적 표현
사회적 맥락역사적으로 심한 차별의 대상, 일부 지역은 여전히 차별 존재차별 개념 없음, 행정적 또는 자연적 지명
현재 사용매우 민감한 인권 문제로 주의해서 사용흔히 사용하는 중립적 단어 (예: 산간 부락, 어촌 부락)
예시 표현“피차별 부락 출신이라 혼인에서 거부당했다”“그 부락엔 10가구 정도가 살고 있다”

📌 자세히 설명

🏯 일본의 "부락민"

  • 에도 시대: 계급 제도 아래 도살, 가죽 가공, 사형집행 등 "더럽다고 여겨지는" 일을 담당한 하층민은 에타·히닌으로 불렸고, 정해진 특정 지역(=부락)에 살았습니다.

  • 메이지 유신 후 해방되었지만, 출신지나 족보를 조사해 취업·결혼 등에서 차별이 여전함.

  • 오늘날엔 "피차별 부락(被差別部落)"이라는 말이 사용되며, 민감한 인권 문제로 남아 있습니다.

🏞 한국의 "부락"

  • ‘부락’은 단지 마을, 촌락, 작은 공동체를 의미하는 중립적 단어입니다.

  • 예: “그 부락은 겨울에 눈이 많이 와요.”

  • 계급이나 차별의 의미는 전혀 없음.


✅ 결론

  • **일본의 ‘부락민’**은 역사적으로 차별받은 집단을 의미하는 사회적·정치적 개념입니다.

  • **한국의 ‘부락’**은 단순히 **지리적 단위로서의 ‘마을’**을 의미하며, 차별의 개념이 전혀 없습니다.




    ----------------------------------------

    그렇다면 부락은 한국이 기원 입니까?


    좋은 질문입니다. 부락(部落)이라는 단어의 기원은 한국이 아니라, 중국입니다. 그리고 이 단어는 한자 문화권 전체에서 공통적으로 차용되어 사용된 표현입니다.


    📚 부락(部落)의 기원

    • 기원: 고대 중국에서 유래한 한자어입니다.

    • 원래 뜻: 여러 부족이나 공동체가 나뉘어 사는 마을 단위를 의미했습니다.

      • 예: 고대 중국의 삼황오제 시대, 부족 사회를 지칭할 때 부(部)와 락(落)이라는 단어를 사용함.


    📌 한자 문화권에서의 확산

    지역사용 의미예시
    중국부족 공동체 또는 행정 단위部族、部落人民
    일본차별 계층이 사는 지역을 뜻하게 됨 (부락민)被差別部落
    한국단순한 마을 단위산간 부락, 어촌 부락 등

    → 즉, 같은 단어를 차용했지만, 각 나라에서의 사회적 의미는 달라졌습니다.


    ✅ 결론

    • 부락(部落)의 어원은 한국이 아닌 고대 중국입니다.

    • 한국, 일본, 중국 모두 이 한자어를 사용했지만,

      • 한국에서는 마을을 뜻하는 중립적 의미로,

      • 일본에서는 역사적 차별과 관련된 민감한 사회적 개념으로 바뀌었습니다.



TOTAL: 2711977

番号 タイトル ライター 参照 推薦
3/31(水) パッチ内容案内させていただ… 관리자 2023-03-24 266758 18
2711897 日本が戦争に毎度敗れることは (3) あかさたなはまやら 05-21 115 0
2711896 マスオカYosuke (松岡 洋右) (11) Prometheus 05-21 100 0
2711895 日本人が分かるようになった味. (1) propertyOfJapan 05-21 90 0
2711894 日本が警戒しなければならない兵器 (3) Computertop6 05-21 89 0
2711893 日本はどうして戦争に負けましたか? (15) Prometheus 05-21 133 0
2711892 スクショ 「ヨシ」 (1) aooyaji588 05-21 129 0
2711891 v0m0v 御兄さん防空レーダー (2) Computertop6 05-21 92 0
2711890 今日郵便で全リ・ジェミョンカタロ....... sw49f 05-21 64 0
2711889 韓国大統領をYamamoto太郎どうなのか?? (6) Computertop6 05-21 86 0
2711888 今日の「業界の章男」 ( な ん....... (1) aooyaji588 05-21 92 0
2711887 KJでよく見るヤツ (8) wagonR 05-21 131 0
2711886 山本凄いな。7回無失点 (7) sunchan 05-21 143 0
2711885 ファンクルセックが米代を低める w あかさたなはまやら 05-21 99 0
2711884 [大迷惑] 章男のロボットになり損な....... aooyaji588 05-21 80 0
2711883 60% 確定 wwwwwwwwwwwwwwwwwwwwwwww (2) copysaru07 05-21 112 0
2711882 模型屋が好きなタミヤ新作展示会 (2) ben2 05-21 81 0
2711881 速報)日本人に韓国大統領選挙投票権....... あかさたなはまやら 05-21 86 0
2711880 昼御飯にうどん食べることも大丈夫....... (5) jap6cmwarotaZ 05-21 140 0
2711879 英国人「私も日本中毒で移住しまし....... JAPAV57 05-21 137 1
2711878 どうしてこうなった? (1) ihmai1 05-21 14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