シイラって亜熱帯の魚じゃなかった? 韓国西海でも産卵確認
亜熱帯の海に生息する魚が韓国の海で初めて観察された。
国立水産科学院は2日、「今年、韓国の排他的経済水域(EEZ)で水産資源を調査したところ、亜熱帯性魚類の産卵海域の拡大と、新たな8魚種の幼魚の流入を確認した」と発表した。
同院の調査によると、亜熱帯性の魚種であるクロマグロ、スマ、ソウダガツオ、シイラなどの卵が西海(ソヘ)で大量に発見された。2021年に独島(ドクト)周辺で初めて発見されたクロマグロの卵は、今年、済州島南部を含めた南海(ナムヘ)岸全域で広範に出現していた。南海岸の一部の海で少量が発見されていたスマ、ソウダガツオ、シイラの卵は西海でも発見された。
主に亜熱帯の海に分布するスズキ目、キバハダカ属などの8種の幼魚が2月と5月に韓国の海に初めて出現したことが、遺伝子分析などを通じて確認された。これらのうちスズキ目とアズマガレイ属の2種は熱帯の海に生息する魚種だ。
国立水産科学院は、韓国の海域の水温上昇が海洋生物の分布と産卵場所に影響を及ぼしていると分析している。同院は新たに発見した8種の幼魚は精密分析をおこなってから、未記録種として学界に報告する予定だ。
国立水産科学院は「気候変動による生態系の変化を防ぐことは不可能だ。科学的調査を通じて水産資源の変化を継続的に把握するとともに、それにもとづいて気候変動に効果的に対応しうる水産資源管理政策の支援に最善を尽くす」と述べた。
시이라는 아열대의 물고기 아니었어? 한국 사이카이에서도 산란 확인
아열대의 바다에 생식 하는 물고기가 한국의 바다에서 처음으로 관찰되었다.
국립 수산 과학원은 2일, 「금년, 한국의 배타적 경제 수역(EEZ)에서 수산자원을 조사했는데, 아열대성 어류의 산란 해역의 확대와 새로운 8어종의 유어의 유입을 확인했다」라고 발표했다.
동원의 조사에 의하면, 아열대성의 어종인 흑다랑어, 스마, 소우다가트오, 시이라등의 알이 사이카이(소헤)로 대량으로 발견되었다.2021년에 독도(드크트) 주변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흑다랑어의 알은, 금년, 제주도 남부를 포함한 남해(남헤) 기슭 전역으로 광범위하게 출현하고 있었다.남해안의 일부의 바다에서 소량이 발견되고 있던 스마, 소우다가트오, 시이라의 알은 사이카이에서도 발견되었다.
국립 수산 과학원은, 한국의 해역의 수온 상승이 해양생물의 분포와 산란 장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동원은 새롭게 발견한 8종의 유어는 정밀 분석을 행하고 나서, 미기록종으로서 학계에 보고할 예정이다.
국립 수산 과학원은 「기후 변동에 의한 생태계의 변화를 막는 것은 불가능하다.과학적 조사를 통해서 수산자원의 변화를 계속적으로 파악하는 것과 동시에, 거기에 기초를 두어 기후 변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수산자원 관리 정책의 지원에 최선을 다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