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人「トランプ関税に対して韓国は交渉カードが多い。これはアメリカ人も言ってることだ!」……カードがあってもそれが使えるかどうかは別ですけどね
韓国は交渉カードが多い。これは筆者の言葉ではなくワシントンで会ったトランプ米国大統領派の専門家らの伝言だ。これに対しホワイトハウスでウクライナのゼレンスキー大統領と舌戦を行ったトランプ大統領が何回も繰り返した言葉が「あなたには交渉カードがない」というものだった。
韓国内部では懸念が大きいが、一歩離れてトランプ政権の立場で韓国を見れば交渉カードが多いという意味が理解できる。第2次トランプ政権の最初の交渉妥結である5ページの米英合意文を見れば、事実単調な感じを消すことはできない。米国に牛肉やエタノールなどの市場を開放し、自動車の25%関税例外として10万台のクオータを設定するなどどこか斬新なものがないように見える。 (中略)
トランプ大統領の中東歴訪時にアラブ首長国連邦がエヌビディアのAIチップ50万個を毎年購入するというディールをしたほぼ同じ時期に、韓国の科学技術部長官はシリコンバレーを訪問してAIチップ1万個の購入を発表した。50万個対1万個。こうした小規模個別購入、単発性行事は役に立たない。今後5年余りに新政権と企業が購入するAIチップ数十万、数百万個を総括し最大限大規模にして、韓米AIデジタルパートナーシップの協力プログラムであり、韓国の貿易黒字を減らす一挙両得の案として韓米交渉の枠組み内でパッケージとして活用しなければならない。 (中略)
したがって新政権は追われる必要なく両国間でウィンウィンとなるディールをまとめるという建設的目標の下で堂々と交渉に臨む必要がある。韓国の特殊状況は米国側も十分に理解が可能だろう。米国の状況が一寸先を見通すこともできない不確実性が大きいため7月初めの米国市場と政治状況をいま予断する必要はない。日本が先に妥結すると仮定した場合、日本の交渉結果も参照する必要がある。
最近世界的投資家が徐々に韓国市場に再び注目している。新政権が発足して韓国の政治的・経済的不確実性が晴れ、韓国経済が底を打って上がることを期待するためだ。今回の韓米交渉を「韓国が帰ってきた」ということを国際社会に広く知らしめる機会として積極的に活用しなければならないだろう。
(引用ここまで)
「韓国は交渉カードが多い」
んー、まあ少なくはないと思いますよ。
日本がやろうとしているような、アメリカで作られた韓国企業製自動車を逆輸入するとか。
カード自体は少なからずあります。
ただ、それを使えるかどうかは別。
たとえば韓国国内の労働組合が強行的に反対する 可能性もあります。
ヒョンデ(ヒュンダイ)自動車の労働組合なんかはこの辺の逆輸入に関して特に敏感に反応しますし、なんなら労使協定で禁止されているんじゃないかな。
NVIDIAのチップについての話も同様ですね。
さくっとトランプが喜ぶような話をすればいいんですよ。
UAEが50万個のチップを輸入するというのであれば、韓国は倍の100万個を輸入するといえばいいのです。
どうせこうしたでたらめな話なんて、よくやっていることですから。
パク・クネがイランに訪問した際に「42兆ウォン規模の商談をまとめてきた!」とか宣言したことがありましたね。
まあ、全部ウソだったのですが。
何年間かけて輸入するとか、あるいはどのグレードのチップを輸入するとか言わないでおいて適当なことを言うなんていつもやってるじゃないですか。
いつもはそうした適当なことを国内に向けて言っているのですから、それをアメリカにも向けるだけの話です。
通用するかどうかは不明ですが。
こうした「カード」であればあるとは思いますよ。
それが韓国にとって使えるものかどうかは別ですけどね。
한국인 「트럼프 관세에 대해서 한국은 교섭 카드가 많다.이것은 미국인도 말하고 있는 일이다!」
카드가 있어도 그것을 사용할 수 있을지 어떨지는 별도이지만
한국은 교섭 카드가 많다.이것은 필자의 말은 아니고 워싱턴에서 만난 트럼프 미국 대통령파의 전문가등의 전언이다.이것에 대해 백악관에서 우크라이나의 제렌스키 대통령과 언쟁을 실시한 트럼프 대통령이 몇번이나 반복한 말이 「당신에게는 교섭 카드가 없다」라고 하는 것이었다.
한국내부에서는 염려가 크지만, 한 걸음 떨어져 트럼프 정권의 입장에서 한국을 보면 교섭 카드가 많다고 하는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제2차 트럼프 정권의 최초의 교섭 타결인 5 페이지의 미국과 영국 합의문을 보면, 사실 단조로운 느낌을 지울 수 없다.미국에 쇠고기나 에탄올등의 시장을 개방해, 자동차의 25%관세 예외로서 10만대의 쿼터를 설정하는 등 어딘가 참신한 것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중략)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역방시에 아랍 수장국 연방이 에누비디아의 AI팁 50만개를 매년 구입한다고 하는 거래를 한 거의 같은 시기에, 한국의 과학기술 부장관은 실리콘밸리를 방문해 AI팁 1만개의 구입을 발표했다.50만개 대 1만개.이러한 소규모 개별 구입, 단발 성행일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향후 5년 남짓에 신정권과 기업이 구입하는 AI팁 수십만, 수백만개를 총괄해 최대한 대규모로 하고, 한미 AI디지털 파트너십의 협력 프로그램이며, 한국의 무역흑자를 줄이는 일거양득의 안으로서 한미 교섭의 골조내에서 패키지로서 활용해야 한다. (중략)
따라서 신정권은 쫓길 필요없고 양국간에 윈 윈이 되는 거래를 정리한다고 하는 건설적 목표 아래로 당당히 교섭에 임할 필요가 있다.한국의 특수 상황은 미국측도 충분히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미국의 상황이 한치 앞을 간파하는 것도 할 수 없는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7 월초의 미국 시장과 정치 상황을 지금 예측 할 필요는 없다.일본이 먼저 타결하면 가정했을 경우, 일본의 교섭 결과도 참조할 필요가 있다.최근 세계적 투자가가 서서히 한국 시장에 다시 주목하고 있다.신정권이 발족해 한국의 정치적·경제적 불확실성이 개여 한국 경제가 한계에 이르러 오르는 것을 기대하기 위해(때문에)다.이번 한미 교섭을 「한국이 돌아왔다」라고 하는 것을 국제사회에 넓게 알리게 할 기회로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인용 여기까지)
「한국은 교섭 카드가 많다」
응―, 뭐 적지는 않다고 생각해요.
일본이 하려 하고 있는, 미국에서 만들어진 한국 기업제 자동차를 역수입한다든가.
카드 자체는 많이 있어요.
단지, 그것을 사용할 수 있을지 어떨지는 구별.
예를 들어 한국 국내의 노동조합이 강행적으로 반대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홀데(현대) 자동차의 노동조합은 이 근처의 역수입에 관해서 특히 민감하게 반응하고, 뭣하면 노사협정으로 금지되고 있지 않을까.
NVIDIA의 팁에 대한 이야기도 같네요.
찢는 와 트럼프가 기뻐하는 이야기를 하면 돼요.
UAE가 50만개의 팁을 수입한다는 것이면, 한국은 배의 100만개를 수입한다고 하면 좋습니다.
어차피 이러한 터무니 없는 이야기는, 잘 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박·쿠네가 이란에 방문했을 때에 「42조원 규모의 상담을 정리해 왔다!」라고선언했던 적이 있었어요.
뭐,전부 거짓말이었습니다만.
몇 년간 걸쳐 수입한다든가, 있다 있어는 어느 그레이드의 팁을 수입한다든가 말하지 않고 두어 적당한 말을 하다니 언제나 하고 있는이 아닙니까.
언제나 그러한 적당한 일을 국내로 향해서 말하니까 , 그것을 미국에도 향할 만한 이야기입니다.
통용될지 어떨지는 불명합니다만.
이러한 「카드」이면 있다라고는 생각해요.
그것을 한국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인지 어떤지는 별도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