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慰安婦強制の証拠無い」発言の韓国大学教授を解雇
韓神大学社会学科の教授が、慰安婦被害者に対する侮辱的な発言で、懲戒解雇された。
韓神(ハンシン)大学社会学科のこの教授は12日、「社会調査方法1」の授業で、「実は、慰安婦が強制徴用されたという証拠はあまりない」とし、「売られたということはあっても、売られたというのが自分達の父親や叔父が全部売ったもの」と話した。 彼は続けて「食べていくのが大変だから自分たちが全て前払いで受け取った」として「その記録まで全てあるのに何が慰安婦が強制的なのか?」と話した。
教授は、「家族が日本軍慰安婦に強制的に連行されていたら、人々が黙っていなかったはずなのに、そのような事件が報道されたことはない」という趣旨の主張を続けた。 彼は「慰安婦は大部分が2年契約制」だったとし「お金を稼いで行って帰ってきて、その記録が今すべて残っている」と話した。
教授は、「日帝の韓半島占領は避けられなかった」という趣旨の言葉も言った。 彼は「米国、英国、フランス、そしてスペイン、ポルトガル、日本の全てが植民地を作ったではないか」として「その当時、植民地対象になる国家は基本的に自ら国家を作ることができる能力がない国だった」と話した。 それと共に「日本人が謝罪を35回もしたのに韓国の教育ではしてないことになっている」と話した。
彼は主張の根拠として「反日種族主義に多く出ている」と答えた。 李栄薫(イ・ヨンフン)前ソウル大学教授などが2019年に出版した「反日種族主義」は、日本による植民地時代、日本軍、慰安婦および強制動員の強制性を否定し、植民地近代化論を擁護する主張を含んでいる。
教授は批判社会学会長を歴任した中堅学者としてソウル大学で学部と修士·博士を全て終え、主要専攻分野は方法論、政治社会学だ。
受講していた学生が、これを問題視して、マスコミにリークし、学内の掲示板にこの教授を告発する張り紙を貼った事で明るみになった。
韓神大学は21日に開かれた懲戒委員会で、同教授について「教授としての品位を保つ義務に違反した」との理由で懲戒解雇処分を下したと明かした。
韓国では同様のケースとして、柳錫春(リュ・ソクチュン)元延世大学教授が授業中に「慰安婦は売春の一種」と発言した事に対する名誉毀損裁判(2020年起訴)があり、今年2月に無罪判決が確定した。
柳錫春元教授側は「慰安婦の強制連行事実はない」と裁判の過程で提起し、検察側がそれに反論する十分な証拠がない為に公判を延期したが、結局証拠が出せずに証拠はうやむやにして「学問の自由」という理由で無罪判決となった。
しかし停職処分にした大学側に対する不服申し立て裁判では敗訴した。
このことから、今回も教授の主張が確固たる証拠がある真実だとしても、大学側の解雇処分は裁判をしても覆せないと思われます。
「위안부 강제의 증거 없다」발언의 한국 대학교수를 해고
한신대학 사회학과의 교수가,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모욕적인 발언으로, 징계 해고되었다.
한신(한신) 대학 사회학과의 이 교수는 12일, 「사회조사 방법 1」의 수업으로, 「 실은, 위안부가 강제 징용 되었다고 하는 증거는 별로 없다」라고 해, 「팔렸다고 하는 것은 있어도, 팔렸다는 것이 자신들의 부친이나 숙부가 전부 판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그는 계속해 「먹어 가는 것이 대단하기 때문에 스스로가 모두 선불로 받았다」라고 해 「그 기록까지 모두 있다의에 무엇이 위안부가 강제적인가?」라고 이야기했다.
교수는, 「가족이 일본군위안부에게 강제적으로 연행되고 있으면, 사람들이 입다물지 않았을 것인데, 그러한 사건이 보도되었던 적은 없다」라고 하는 취지의 주장을 계속했다. 그는 「위안부는 대부분이 2년 계약제」였다고 해 「돈을 벌어서 가서 돌아오고, 그 기록이 지금 모두 남아 있다」라고 이야기했다.
교수는, 「일제의 한반도 점령은 피할 수 없었다」라고 하는 취지의 말도 말했다.그는 「미국, 영국, 프랑스, 그리고 스페인, 포르투갈, 일본의 모두가 식민지를 만든이 아닌가」로서 「그 당시 , 식민지 대상이 되는 국가는 기본적으로 스스로 국가를 만들 수 있는 능력이 없는 나라였다」라고 이야기했다. 그것과 함께 「일본인이 사죄를 35회나 했는데 한국의 교육에서는 하지 않게 되어 있다」라고 이야기했다.
그는 주장의 근거로서 「반일 종족 주의에 많이 나와 있다」라고 대답했다.이 사카에훈(이·욘 분) 전서울 대학교수등이 2019년에 출판한 「반일 종족 주의」는, 일본에 의한 식민지 시대, 일본군, 위안부 및 강제 동원의 강제성을 부정해, 식민지 근대화론을 옹호 하는 주장을 포함하고 있다.
교수는 비판 사회학 회장을 역임한 중견 학자로서 서울 대학에서 학부와 석사·박사를 모두 끝내 주요 전공 분야는 방법론, 정치 사회학이다.
수강하고 있던 학생이, 이것을 문제시하고, 매스컴에 리크 해, 학내의 게시판에 이 교수를 고발하는 벽보를 붙인 일로 표면화되었다.
한신대학은 21일에 열린 징계 위원회에서, 동교수에 대해 「교수로서의 품위를 유지할 의무에 위반했다」라고의 이유로 징계 해고 처분을 내렸다고 밝혔다.
한국에서는 같은 케이스로서 버드나무주석춘(류·소크틀) 전 연세 대학 교수가 수업중에 「위안부는 매춘의 일종」이라고 발언한 일에 대한 명예 훼손 재판(2020년 기소)이 있어, 금년 2월에 무죄 판결이 확정했다.
버드나무주석 하루모토 교수측은 「위안부의 강제 연행 사실은 없다」라고 재판의 과정에서 제기해, 검찰측이 거기에 반론하는 충분한 증거가 없기 때문에 공판을 연기했지만, 결국 증거가 내지 못하고 증거는 애매하게 해 「학문의 자유」라고 하는 이유로 무죄 판결과.
그러나 정직 처분으로 한 대학 측에 대하는 불복제기 재판에서는 패소했다.
이것으로부터, 이번도 교수의 주장이 확고한 증거가 있다 진실하다고 해도, 대학측의 해고 처분은 재판을 해도 뒤집을 수 없다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