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高齢者の雇用率がOECD平均の3倍近く、日本と比べても1.5倍ほどだった……高齢者が働き続ける理由とは?
韓国の65歳以上の雇用率が経済協力開発機構(OECD)会員国の中で最も高いが、彼らの働き口の質は低いことが分かった。
老後所得のために引退後に再就職に出るが、既存経歴と全く関係のない分野に就職する「経歴断絶」を体験するためだ。
27日、国会予算政策処の「人口・雇用動向&イシュー」報告書によれば、2023年基準で韓国の65才以上人口の雇用率は37.3%で経済協力開発機構(OECD)国家中で最も高かった。 OECD平均(13.6%)はもちろん、高齢国の日本(25.3%)よりも10ポイント以上高い。 (中略)
65歳以上の年金所得者の月平均年金所得は80万ウォン程度に過ぎないが、これは2024年1人世帯の月最低生計費134万ウォンに及ばない。
引退した老人たちがこのような年金所得と最低生計費の差を埋めるために再就職に乗り出し、雇用率が高まったというのが報告書の診断だ。
ただし老人たちの働き口は雇用形態・業種・賃金水準などの側面で劣悪だった。
65歳以上の賃金労働者のうち61.2%は非正規職だった。 就業者のうち半分ほどの49.4%は10人未満の零細事業体で働いていると調査された。 (中略)
報告書は「我が国の高齢層は引退後も引き続き勤労意志が高い」とし、「彼らが生涯主な働き口またはそれと関連性の高い働き口に長く留まるよう支援することは老年期所得空白緩和と共に勤労者の人的資本活用次元で意味がある」と説明した。
(引用ここまで)
韓国の高齢者が世界でもっとも多く働いている、と認定されたとのニュース。
65歳以上の高齢者雇用率が37.3%。
日本は25.3%
OECD平均は13.6%。
なんというか……圧倒的ですね。
「働きたい」とかじゃなくて、「働かざるを得ない」状況。
高齢者の貧困率35.7%は伊達じゃない。
で、かつ働かざるを得ない37.3%の高齢者のうち、61.2%が非正規雇用。思ってたよりも正規雇用が多いですかね。
ざっくり、65歳以上では23%ほどが非正規雇用として働き、14%ほどが正規雇用として働いている、と。
「非正規雇用でない雇用」のうち、自営業じゃないのってどのくらいなんですかねぇ。
チキン屋とかカフェを立ち上げて働いているわけじゃないって人、そんないない気がします。
職種は単純労務食が35.4%。機械作業員が15%。
このふたつをあわせてちょうど50%ほど。
まあ、ストレートに「雇用の質が悪い」って書かれているのも当然というか。
おそらく例のマンション管理人なんかも相当数入っているのでしょう。
2020年での統計ですが、65歳以上で基礎年金以外の年金を受け取れているのは43.9%であったとのこと。
半分以下。しかも180万ウォンほどが生活費としては必要とされているのに、平均受給額は58万ウォン。
まあ……働くしかないんでしょうよ。
これまで韓国では不動産以外の投資ってほとんど考慮されてきていませんでしたし。
当然、不動産投資となったら必要になる金額は跳ね上がる。
そもそもそんなお金を持っている人は年金に頼らないでしょうしね。
うーん、しんどい社会だわ。
한국, 고령자의 고용율이 OECD 평균의 3배 가깝게, 일본과 비교해도 1.5배 정도였던
고령자가 계속 일하는 이유란?
한국의 65세 이상의 고용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안)에서 가장 높지만, 그들의 일자리의 질은 낮은 것을 알았다.
노후 소득을 위해서 은퇴 후에 재취직하러 나오지만, 기존 경력과 전혀 관계가 없는 분야에 취직하는 「경력 단절」을 체험하기 (위해)때문이다.
27일, 국회 예산 정책곳의 「인구·고용 동향&발행」보고서에 의하면, 2023년 기준으로 한국의 65세 이상 인구의 고용율은 37.3%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중에서 가장 높았다. OECD 평균(13.6%)은 물론, 고령국의 일본(25.3%)보다 10포인트 이상 높다. (중략)
65세 이상의 연금 소득자의 달평균 연금 소득은 80만원 정도에 지나지 않지만, 이것은 2024년 1인 세대의 달최저 생활비 134만원에 이르지 않는다.
은퇴한 노인들이 이러한 연금 소득과 최저 생활비의 차이를 묻기 위해서 재취직에 나서, 고용율이 높아졌다는 것이 보고서의 진단이다.
다만 노인들의 일자리는 고용형태·업종·임금수준등의 측면에서 열악했다.
65세 이상의 임금 노동자중 61.2%는 비정규직이었다. 취업자 중 반 정도의 49.4%는 10명 미만의 영세 사업체에서 일하고 있으면 조사되었다. (중략)
보고서는 「우리 나라의 고령층은 은퇴 후도 계속해 근로 의지가 높다」라고 해, 「그들이 생애 주된 일자리 또는 그것과 관련성의 높은 일자리에 길게 머물도록(듯이) 지원하는 것은 노년기 소득 공백 완화와 함께 근로자의 인적 자본 활용 차원에서 의미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인용 여기까지)
한국의 고령자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일하고 있다, 라고 인정되었다는 뉴스.
65세 이상의 고령자 고용율이 37.3%.
일본은 25.3%
OECD 평균은 13.6%.
뭐라고 할까 압도적이네요.
「일하고 싶다」라고가 아니고, 「일하지 않을 수 없다」상황.
고령자의 빈곤율 35.7%는 다테가 아니다.
그리고, 한편 일하지 않을 수 없는 37.3%의 고령자 가운데, 61.2%가 비정규 고용.사는 편지도 정규 고용이 많습니까.
자리밤, 65세 이상에서는23%만큼이 비정규 고용으로서 일해,14%만큼이 정규 고용으로서 일하고 있다, 라고.
「비정규 고용이 아닌 고용」 가운데, 자영업이 아닌 것은 어느 정도입니까.
치킨가게라든지 카페를 시작해 일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는 사람, 그렇게 없는 생각이 듭니다.
직종은 단순 노무식이 35.4%.기계 작업원이15%.
이 둘을 아울러 정확히50%만큼.
뭐, 스트레이트하게 「고용의 질이 나쁘다」라고 쓰여져 있는 것도 당연이라고 할까.
아마 예의 맨션 관리인도 상당수 들어가 있겠지요.
2020년으로의 통계입니다만, 65세 이상으로 기초 연금 이외의 연금을 받아 들이고 있는 것은 43.9%였다는 것.
반이하.게다가 180만원 정도가 생활비로서는 필요하게 되고 있는데, 평균 수급액수는 58만원.
뭐 일할 수 밖에 없겠죠.
지금까지 한국에서는 부동산 이외의 투자는 거의 고려되어 오고 있어.
당연, 부동산 투자가 되면 필요하게 되는 금액은 튄다.
원래 그런 돈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연금에 의지하지 않을 것입니다 죽어라.
응, 힘든 사회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