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半島も戦争区域に含めよう」日本の防衛省が提唱するワンシアター構想…韓国「日本の戦争区域構想に入るのは問題」憂慮=韓国の反応
韓国のポータルサイトネイバーから「「韓半島も戦争区域に含めよう」…日本のワンシアター構想」という記事を翻訳してご紹介。
「韓半島も戦争区域に含めよう」…日本のワンシアター構想
日本防衛相、フィリピンと米国に続きインドにも「ワンシアター」説明
東・南シナ海+韓半島まで戦場を統合
韓国「日本の戦争区域構想に入るのは問題」憂慮
日本の中谷元防衛相とインドのラージナート・シン国防相。
日本が中国牽制を念頭に置いて韓半島と東シナ海・南シナ海などを一つの戦域に統合して対応する「ワンシアター」(OneTheater)構想の説明に乗り出していると28日、朝日新聞が報道した。
ワンシアターは、同地域内における中国の軍事的脅威が大きくなる現状において、米国、日本、豪州、フィリピン、そして韓国などがこれに対応して防衛協力を強化するという戦略で、石破茂首相も賛成の立場だという。
この構想は元々、日本防衛省幹部が東シナ海と南シナ海を結合して認識すべきだという考えをもとに考案したものとされる。日本は中国牽制のためにインド太平洋地域での役割と地位を拡大しようとしているが、この構想もその延長線上から出たものと分析される。
朝日新聞によると、日本の中谷元防衛相は5日、インドのニューデリーでインドのラージナート・シン国防相と会い、ワンシアター構想を説明した。
彼は帰国直後、石破首相に会談結果を報告する席で「インド太平洋を中心にこの地域の安保環境を一つに認識し協力していこうと伝えた」と明らかにした。
中谷防衛相は、石破首相との面談で、「シン長官に提示した」というA3用紙の大きさの地図を見せた。 東西には中東から太平洋まで、南北には中国から豪州周辺まで描かれたこの地図には中国の対米防御線である「第1列島線」と「第2列島線」、中国の軍動向などが表示されていた。
今年3月、ピート・ヘグセス米国防長官が東京の防衛省で中谷元防衛相との会談に先立ち握手をしている。
これに先立ち、中谷防衛相は今年2月、フィリピンのギルバート・テオドロ国防相、3月の米国ピート・ヘグセス防長官との会談の際にも、この地図を使ってワンシアター構想を説明したという。
中谷防衛相はヘグセス長官に「日本・米国・豪州・フィリピン・韓国などを『一つの電球』と認識し、協力を深めていきたい」と述べたという。
彼は30日からシンガポールで開かれるアジア安保会議でもワンシアター構想関連内容に言及するものと予想される。
ただ、中谷防衛相は国会と記者会見など公開の席上では「ワンシアター」という名称に言及せず、理念だけを関係国などと共有する方向で努力していると朝日新聞は伝えた。
この用語が韓国をはじめ周辺国などを刺激する恐れがあるという点が主な理由だ。防衛省幹部は「安保協力を強化しようとする構想だが、有事を連想させる」と話した。
さらに朝日新聞は、「ワンシアターが指す地理的範囲が明確でなく、日本政府内で議論が十分に行われなかったという点も、中谷防衛相が用語の言及を憚る理由だ」と分析した。
同紙は「防衛省内でも(ワンシアター構想に)人道が含まれるかどうかなどについて意見が分かれている」とし「防衛署内部の用語」に過ぎないという見解もあり、名称を変更すべきだという声も出ている」と伝えた。
国家リーダーシップの空白が続いている韓国では、韓国と議論もせずに韓半島を戦争構想に組み入れる構想が拡散することに対して憂慮の声が出ている。
実際、最近韓国政府は「韓半島が日本の戦争区域構想に入るのは問題」という憂慮を外務省を通じて日本側に伝えたという。
韓国では、「ワンシアター」構想が実現した場合、中国の台湾侵攻の際、在韓米軍が投入される可能性が高くなるうえ、韓半島有事の際、日本の自衛隊に介入する名分を与える恐れがあるという指摘も提起されている。
「한반도도 전쟁 구역에 포함하자」일본의 방위성이 제창하는 원 씨어터 구상
한국 「일본의 전쟁 구역 구상에 들어가는 것은 문제」우려=한국의 반응
한국의 포타르사이트네이바로부터 「 「한반도도 전쟁 구역에 포함하자」
일본의 원 씨어터 구상」이라고 하는 기사를 번역해 소개.
「한반도도 전쟁 구역에 포함하자」 일본의 원 씨어터 구상
일본 방위상, 필리핀과 미국에 이어 인도에도 「원 씨어터」설명
동쪽·남지나해+한반도까지 전장을 통합
한국 「일본의 전쟁 구역 구상에 들어가는 것은 문제」우려일본의 나카타니 겐 방위상과 인도의 라지나트·신 국방장관.
일본이 중국 견제를 염두에 두어 한반도와 동중국해·남지나해등을 하나의 전역에 통합해 대응하는 「원 씨어터」(OneTheater) 구상의 설명에 나서 있으면 28일, 아사히 신문이 보도했다.
원 씨어터는, 동지역내에 있어서의 중국의 군사적 위협이 커지는 현상에 대하고, 미국, 일본, 호주, 필리핀, 그리고 한국등이 이것에 대응해 방위 협력을 강화한다고 하는 전략으로, 이시바 시게루 수상도 찬성의 입장이라고 한다.
이 구상은 원래, 일본 방위성 간부가 동중국해와 남지나해를 결합해 인식해야 한다고 하는 생각을 기초로 고안 한 것으로 여겨진다.일본은 중국 견제를 위해서 인도 태평양 지역에서의 역할과 지위를 확대하려 하고 있지만, 이 구상도 그 연장선상에서 나온 것이라고 분석된다.
아사히 신문에 의하면, 일본의 나카타니 겐 방위상은 5일, 인도의 뉴델리에서 인도의 라지나트·신 국방장관과 만나, 원 씨어터 구상을 설명했다.
그는 귀국 직후, 이시바 수상에 회담 결과를 보고하는 석으로 「인도 태평양을 중심으로 이 지역의 안보 환경을 하나에 인식해 협력해 나가려고 전했다」라고 분명하게?`오.
나카타니 방위상은, 이시바 수상과의 면담으로, 「신 장관에게 제시했다」라고 하는 A3용지의 크기의 지도를 보였다. 동서에는 중동으로부터 태평양까지, 남북에는 중국에서 호주 주변까지 그려진 이 지도에는 중국의 대미 방어선인 「 제1 열도선」과「 제2 열도선」, 중국의 군동향등이 표시되고 있었다.금년 3월, 비트·헤그세스 미국방 장관이 도쿄의 방위성으로 나카타니 겐 방위상과의 회담에 앞서 악수를 하고 있다.
이것에 앞서, 나카타니 방위상은 금년 2월, 필리핀의 길버트·테오드로 국방장관, 3월의 미국 비트·헤그세스 보초관과의 회담 시에도, 이 지도를 사용해 원 씨어터 구상을 설명했다고 한다.
나카타니 방위상은 헤그세스 장관에게 「일본·미국·호주·필리핀·한국등을 「하나의 전구」라고 인식해, 협력이 깊어져 가고 싶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그는 30일부터 싱가폴에서 열리는 아시아 안보 회의에서도 원 씨어터 구상 관련 내용에 언급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단지, 나카타니 방위상은 국회와 기자 회견 등 공개의 석상에서는 「원 씨어터」라고 하는 명칭에 언급하지 않고, 이념만을 관계국등과 공유할 방향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아사히 신문은 전했다.
이 용어가 한국을 시작해 주변국등을 자극할 우려가 있다라고 하는 점이 주된 이유다.방위성 간부는 「안보 협력을 강화하려고 하는 구상이지만, 유사를 연상시킨다」라고 이야기했다.
한층 더 아사히 신문은, 「원 씨어터가 두는 지리적 범위가 명확하지 않고, 일본 정부내에서 논의가 충분히 행해지지 않았다고 하는 점도/`A나카타니 방위상이 용어의 언급을 꺼리는 이유다」라고 분석했다.
동지는 「방위 부처내에서도(원 씨어터 구상에) 인도가 포함될지등에 대해서 의견이 나뉘고 있다」라고 해 「방위서 내부의 용어」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는 견해도 있어, 명칭을 변경해야 한다고 하는 소리도 나와 있다」라고 전했다.
국가 리더쉽의 공백이 계속 되고 있는 한국에서는, 한국과 논의도 하지 않고 한반도를 전쟁 구상에 집어 넣는 구상이 확산하는 것에 대해 우려의 소리가 나와 있다.
실제, 최근 한국 정부는 「한반도가 일본의 전쟁 구역 구상에 들어가는 것은 문제」라고 하는 우려를 외무성을 통해서 일본 측에 전했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원 씨어터」구상이 실현되었을 경우, 중국의 대만 침공때, 주한미군이 투입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한반도 유사때, 일본의 자위대에 개입하는 명분을 줄 우려가 있다라고 하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