またもアメリカ側から「在韓米軍縮小の可能性は排除しない」との発言……在韓米軍を対中抑止力の一端として使いたいとの意向か
米国防総省の在韓米軍縮小論が再点火している。
AP通信は29日(現地時間)、米国防総省の当局者を引用し、「中国を抑止してインド太平洋戦略を最適化するための兵力再配置を検討中であり、その過程で韓国に駐留中の米軍兵力の縮小の可能性も排除していない」と報じた。この発言は、31日からシンガポールで開催されるアジア安全保障会議(シャングリラ会合)を控えてヘグセス米国防長官に同行する国防総省関係者の間で出てきた。
ある当局者は、在韓米軍の数はまだ決まっていないが、今後の兵力配置規模は北朝鮮から韓国を防御するだけでなく中国を抑止するのにも最適化されるだろう、と説明した。
在韓米軍縮小論が初めて公開的に言及されたのは22日だ。ウォールストリートジャーナル(WSJ)は米国防総省が在韓米軍兵力約4500人をグアムや他の域内地域に移す案を検討していると報じた。これに対し米国防総省と在韓米軍は「事実でない」という公式立場を発表して一蹴した。
しかし前日に米当局者が在韓米軍の「態勢調整(calibrate)」に言及したのに続き、さらに直接的な表現で現状変更の可能性を示唆し、縮小論に関する声は続いている。在韓米軍の戦略が「北朝鮮防御」から「域内戦略的柔軟性拡大」に移動し、韓半島(朝鮮半島)安保地形の変化の兆しが明確になっていると、海外メディアは伝えた。
(引用ここまで)
アメリカの政府高官からまたも「在韓米軍縮小の可能性は残しておくべき」とする話が出ています。
シンガポールで行われているアジア安全保障会議、シャングリラ会合に向けての機内で発言があったとのことなので。
アメリカの国防関係者、それも次官補以上の立場にある人物ではないかと思われます。
まあ、現状の在韓米軍は人数で2万8000人ほど。
うち2万人が陸軍で、偏重しすぎているってのは事実。
あくまで対北朝鮮を前提とした編成になっています。
ですが、アメリカとして対中国包囲網戦略の一端として在韓米軍を使いたい。
であれば、再編して在韓米軍から陸軍を縮小するってのも当然の意向でしょう。
これについてCSISのビクター・チャあたりは「北朝鮮に誤解を生ませる要因となる」として非難しているのですが。
ビクター・チャ「米政府、在韓米軍削減を深刻に検討」 北朝鮮の誤った判断を導く可能性もある(朝鮮日報・朝鮮語)
たしかに戦争勃発原因として「いける」と思わせないことは大事なのですが。
どうなんでしょうねぇ?
北朝鮮が韓国に対して通常戦力(核兵器でない戦力)で戦争を仕掛けるかといったらふたつの理由で難しいと思います。
まず、通常戦力ではどう考えても韓国側にかなわない。
なんなら在韓米軍抜きでもかなわないんじゃないかってくらいには韓国と北朝鮮の差は開いています。
だからこそ核開発に躍起になってきたって部分も大きい。
もうひとつは「たとえ戦争であっても南北の交流につながることを避けたい」と思われるのです。
兵士が南側に向かうってことは、「現在の韓国の文化」を浴びてくるってことですから。
「韓国の文化」を持ち帰られるのは困るわけです。
それでなくても現状、アイドルを見て脱北とかしているわけで。
「なぜ自分はアイドルになれないのだろう」 MZ世代脱北者が語る北朝鮮体制への疑問(TBS)
そうした面でも戦争はないだろうなぁ……とは思うのですが。
ただし、台湾有事で中国から「韓国を牽制しろ」って言われたときには別。
ただまあ、どちらにせよ削減でないにしても、近い将来に向けて再編成は間違いないでしょ。
そしてそれを韓国が妨げることはほぼ不可能ってことです。
다시 또 미국측으로부터 「주한미군 축소의 가능성은 배제하지 않는다」라는 발언
주한미군을 대 중국 억제력의 일단으로서 사용하고 싶다는 의향인가
미 국방총성의 주한미군 축소론이 재점화하고 있다.
AP통신은 29일(현지시간), 미 국방총성의 당국자를 인용해, 「중국을 억제해 인도 태평양 전략을 최적화하기 위한 병력재배치를 검토중이며, 그 과정에서 한국에 주둔중의 미군 병력의 축소의 가능성도 배제하고 있지 않다」라고 알렸다.이 발언은, 31일부터 싱가폴에서 개최되는 아시아 안전 보장 회의(지상낙원 회합)를 앞에 두고 헤그세스 미국방 장관에게 동행하는 국방총성 관계자의 사이에 나왔다.
있다 당국자는, 주한미군의 수는 아직 정해져 있지 않지만, 향후의 병력 배치 규모는 북한에서 한국을 방어할 뿐만 아니라 중국을 억제하는데도 최적화될 것이다, 라고 설명했다.주한미군 축소론이 처음으로 공개적으로 언급된 것은 22일이다.월가 저널(WSJ)은 미 국방총성이 주한미군 병력 약 4500명을 괌이나 다른 역내 지역으로 옮기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알렸다.이것에 대해 미 국방총성과 주한미군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하는 공식 입장을 발표해 일축 했다.
그러나 전날에 미 당국자가 주한미군의 「태세 조정(calibrate)」에 언급한 것에 이어서, 한층 더 직접적인 표현으로 현상 변경의 가능성을 시사해, 축소론에 관한 소리는 계속 되고 있다.주한미군의 전략이 「북한 방어」로부터 「역내 전략적 유연성 확대」로 이동해, 한반도(한반도) 안보 지형의 변화의 조짐이 명확하게 되어 있으면, 해외 미디어는 전했다.
(인용 여기까지)
미국의 정부 고관으로부터 다시 또 「주한미군 축소의 가능성은 남겨 두어야 한다」라고 하는 이야기가 나와 있습니다.
싱가폴에서 행해지고 있는 아시아 안전 보장 회의, 지상낙원 회합을 향한 기내에서 발언이 있었다는 것이므로.
뭐, 현상의 주한미군은 인원수로 2만 8000명 정도.
중 2만명이 육군으로, 편중 너무 해서 것은 사실.
어디까지나 대북을 전제로 한 편성이 되어 있습니다.
그렇지만, 미국으로서 대 중국 포위망 전략의 일단으로서 주한미군을 사용하고 싶다.
이면, 재편해 주한미군으로부터 육군을 축소한다고 것도 당연한 의향이지요.
이것에 대해 CSIS의 빅터·차 근처는 「북한에 오해를 낳게 하는 요인이 된다」라고 해 비난 하고 있습니다만.
빅터·차 「미 정부, 주한미군 삭감을 심각하게 검토」북한이 잘못된 판단을 이끌 가능성도 있다(조선일보·조선어)
분명히 전쟁 발발 원인으로서 「할 수 있다」라고 생각하게 하지 않는 것은 소중합니다만.
어떨까요?
북한이 한국에 대해서 통상전력(핵병기가 아닌 전력)으로 전쟁을 장치하는가 하면 두 이유로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통상전력으로는 어떻게 생각해도 한국측에 이길 수 없다.
뭣하면 주한미군 빼고도 이길 수 없지 않을까는 정도에는 한국과 북한의 차이는 열려 있습니다.
그러니까 핵개발에 기를쓰고 되어도 부분도 크다.
또 하나는 「비록 전쟁이어도 남북의 교류로 연결되는 것을 피하고 싶다」라고 생각됩니다.
병사가 남쪽을 향한다는 것은, 「현재의 한국의 문화」를 받아 온다는 것이기 때문에.
그래서 없어도 현상, 아이돌을 보고 탈북이라든지 하고 있는 것으로.
「왜 자신은 아이돌이 될 수 없겠지」 MZ세대 탈북자가 말하는 북한 체제에의 의문(TBS)
그러한 면에서도 전쟁은 없을 것이다 라고는 생각합니다만.
다만, 대만 유사로 중국으로부터 「한국을 견제해라」라고 말을 들었을 때에는 구별.
단지 뭐, 어느 쪽이든 삭감이 아닌다고 해도, 가까운 장래를 향해서 재편성은 틀림없지요.
그리고 그것을 한국이 방해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은 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