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弱者の味方”を掲げた元少年工…波乱の人生を経て韓国大統領に
6/4(水) 10:33配信 KOREA WAVE
【06月04日 KOREA WAVE】「イ・ジェミョンをなぜ怖がるのか。彼が大統領になってはいけないという理由は何か。彼は地方出身で、中小企業の味方で、弱者の味方で、困窮する庶民階層の味方だからだ」
韓国大統領に就任したイ・ジェミョン(李在明)氏が、選挙戦最終盤の遊説で訴えた言葉だ。
地方の貧困家庭に生まれ、少年工(未成年労働者)・人権派弁護士・市民運動家を経て国家元首の座に上り詰めたその劇的な半生が、改めて注目を集めている。
◇貧困からの出発、13歳で少年工に
イ・ジェミョン氏は1964年12月、慶尚北道安東市の山間の村で7人兄妹の五男として生まれた(実際の出生は1963年ころとされる)。1976年、小学校卒業後は家族9人で京畿道城南市の月極アパートに移住し、極貧生活を送った。
中学には進学せず、13歳で法的には就労不可のまま名前を借りて工場に入った。金属板を切る作業で手を切り、皮革プレス作業で左腕を永久に曲げたままの障害を負い、ペンキ工場では嗅覚を失った。過酷な環境に加え、工場先輩らの娯楽として無理やりボクシング試合に参加させられることもあった。
◇学業への執念と法学部進学
逆境に屈せず、工場労働と並行して独学を続け、中卒・高卒の検定試験に合格。全国順位で3000位内に入る学力で大学入試を突破し、1982年に中央大学法学部へ全額奨学金で入学した。
夜間に働き、バスで寝過ごして終点に着く生活の中でも、机に画鋲を撒いて睡魔に抗うなど、並外れた努力があったという。大学では使用されていなかった校章入りの制服を着て入学式に出席するなど、苦学生の誇りをにじませた。
◇司法試験合格と人権弁護士としての道
1986年、第28回司法試験に合格。検事・判事の道もあったが、「貧しい民衆のために制度内で闘う」と決意し、1989年に城南市で弁護士事務所を開業。強制立ち退きにあった住民や、地方から上京した労働者の支援に尽力した。
1990年代には分譲住宅の不正疑惑や病院閉鎖問題に対して市民運動を展開。2004年には「城南市立医療院設立条例案」を市議会に提出したが、47秒で否決され、教会の地下で涙を流した。この体験が「世の中が変わらないなら自ら変える」と政治決意を固める契機となった。
◇地方行政での実績、国政への道
2006年と2008年の選挙に落選後、2010年に城南市長に初当選。財政赤字に苦しむ市において、全国初のモラトリアム宣言をし、約3年で再建を果たした。さらに青年手当・制服支援・産後ケアなどの無償福祉政策で高い支持を集めた。
その後、2014年に市長再選、2018年に京畿道知事へ、さらに2022年と2024年に国会議員当選、2022年8月と2024年8月には「共に民主党」代表に選出された。
◇3度目の挑戦で大統領に
2025年6月3日、3度目の挑戦でついに大統領選に勝利した。過去最多の得票を記録し、「地方出身・庶民派・社会的弱者の代弁者」というレッテルを自らのシンボルに変え、国家の最高位に登りつめた。
新大統領は、これまでの歩みを通じて「脱落しない社会、すべての国民の最低限の暮らしが保障される国家」の実現を志すと繰り返し訴えてきた。今後の国家運営に、国内外の注目が集まっている。
(c)KOREA WAVE/AFPBB News
“약자의 아군”을 내건 원소년공 파란의 인생을 거쳐 한국 대통령에
6/4(수) 10:33전달 KOREA WAVE
【06월 04일 KOREAWAVE】「이·제몰을 왜 무서워하는 것인가.그가 대통령이 되어 안 된다라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그는 지방 출신으로, 중소기업의 아군으로, 약자의 아군으로, 곤궁한 서민 계층의 아군이기 때문이다」
한국 대통령으로 취임한 이·제몰(이재아키라) 씨가, 선거전 최종반의 유세로 호소한 말이다.
지방의 빈곤 가정에서 태어나 소년공(미성년 노동자)·인권파 변호사·시민운동가를 거쳐 국가원수의 자리에 올라 채운 그 극적인 반생이, 재차 주목을 끌고 있다.
◇빈곤으로부터의 출발, 13세에 소년공에게
이·제몰씨는 1964년 12월, 경상북도 안동시의 산간의 마을에서 7명 남매의 5남으로서 태어났다(실제의 출생은 1963년무렵으로 여겨진다).1976년, 초등학교 졸업 후는 가족 9명이서 경기도 성남시의 월정 아파트에 이주해, 극빈 생활을 보냈다.
중학에는 진학하지 않고, 13세에 법적으로는 취업 불가인 채 이름을 빌리고 공장에 들어갔다.금속판을 자르는 작업으로 관계를 끊어, 피혁 프레스 작업으로 왼팔을 영구히 굽힌 채로의 장해를 입어, 페인트 공장에서는 후각을 잃었다.가혹한 환경에 가세해 공장 선배등의 오락으로서 억지로 복싱 시합에 참가 당하기도 했다.
◇학업에의 집념과 법학부 진학
역경에 굴하지 않고, 공장 노동과 병행하고 독학을 계속해 중졸·고졸의 검정시험에 합격.전국 순위로 3000위내에 들어가는 학력으로 대학 입시를 돌파해, 1982년에 중앙 대학 법학부에 전액 장학금으로 입학했다.
야간에 일해, 버스로 잠 보내고 종점에 도착하는 생활속에서도, 책상에 압정을 뿌려 수마에게 항등, 보통 빗나간 노력이 있었다고 한다.대학에서는 사용되어 있지 않았던 교장들이의 제복을 입어 입학식에 출석하는 등, 고학생의 자랑을 배이게 했다.
◇사법시험 합격과 인권 변호사로서의 길
1986년, 제28회 사법시험에 합격.검사·판사의 길도 있었지만,「궁핍한 민중을 위해서 제도내에서 싸운다」라고 결의해, 1989년에 성남시에서 변호사 사무소를 개업.강제 퇴거에 있던 주민이나, 지방으로부터 상경한 노동자의 지원에 진력했다.
1990년대에는 분양주택의 부정 의혹이나 병원 폐쇄 문제에 대해서 시민운동을 전개.2004년에는 「성남시립 의료원설립 조례안」을 시의회에 제출했지만, 47초에 부결되어 교회의 지하에서 눈물을 흘렸다.이 체험이 「세상이 변하지 않으면 스스로 바꾼다」라고 정치 결의를 굳히는 계기가 되었다.
◇지방 행정으로의 실적, 국정에의 길
2006년과 2008년의 선거에 낙선 후, 2010년에 성남시장에 첫당선.재정 적자에 괴로워하는 시에 있고, 전국 최초의 모라토리엄(moratorium) 선언을 해, 약 3년에 재건을 완수했다.한층 더 청년 수당·제복 지원·산후 케어등의 무상 복지정책으로 높은 지지를 모았다.
그 후, 2014년에 시장 재선, 2018년에 경기도 지사에게, 게다가 2022년과 2024년에 국회 의원 당선, 2022년 8월과 2024년 8월에는 「 모두 민주당」대표로 선출되었다.
◇3번째의 도전에서 대통령에
2025년 6월 3일, 3번째의 도전에서 마침내 대통령 선거에 승리했다.과거 최다의 득표를 기록해,「지방 출신·서민파·사회적 약자의 대변자」라고 하는 상표를 스스로의 심볼로 바꾸어 국가의 최고위에 달해 채웠다.
신대통령은, 지금까지의 걸음을 통해서「탈락하지 않는 사회, 모든 국민의 최저한의 생활이 보장되는 국가」의 실현을 뜻하면 반복 호소해 왔다.향후의 국가 운영에, 국내외의 주목이 모여 있다.
(c) KOREA WAVE/AFPBB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