コリアタウンまで広がった、デモ隊・警察の深夜の対峙

米国ロサンゼルス(LA)のデモが6日目に入った11日(現地時間)午後9時ごろ。静かだったコリアタウンに突如バイクのエンジンの轟音が響き渡った。それからトランプ政府を糾弾するスローガンとともに100人余りのデモ隊がコリアタウンの中心にあるKHマートの前の道路を占拠した。
6日LAで強硬な不法移民者追放措置に反対する大規模デモが始まってから韓人(韓国人)居住地でデモが起きたのは今回が初めてだ。予想できない奇襲デモに深夜のコリアタウンは戦場と化した。上空にはサーチライトをつけたヘリコプター数機が同時に低空飛行をし、数十台のパトカーが一斉に集まってデモ隊を包囲した。するとバイクに乗った一部のデモ参加者は轟音と共に車輪から煙を出して警察の解散命令に抗議するなど対峙状況は1時間ほど続いた。
一発触発の対峙の末、デモ隊が解散するとLA警察は中央日報に「前日から施行された通行禁止でデモ隊が散発的に奇襲デモを行っている」とした。あわせて「韓国人に過去の暴動事態の記憶があることを十分知っている」とし「この日は特別な被害がなく幸い」と話した。
しかし33年前の1992年、黒人暴動のトラウマを持つ韓人たちは衝撃を受けた。特にこの日デモが発生したところは黒人暴動当時、韓人自警団が銃を取った黒人暴徒に対抗するために陣地を構築した「カジュマーケット」にほど近い。
家族と夕食を食べに来たジェームズ・カンさんは「両親の世代は全員黒人暴動の直接的な被害者で、私も幼い時期に拳銃を持って家族を守った大人たちのことを覚えている」とし「今回のデモがどうか暴動に拡大しないことを祈る」とした。
商人はすでに今回の状況を「経済的暴動」と受け入れていた。この日LAのファッションストリート「ジョバー(Jobber)マーケット」で衣類店を営むケイシー・パクさんは激化するデモに「33年前の黒人暴動も、コロナパンデミックも乗り越えたが今はとても大変だ」とし「本当に今度こそ店を閉めなければならないかもしれない」とため息をついた。
1992年黒人暴動当時20代前半だったパクさんは「当時私と同じくらいの男性は生きるために銃を取り、私たちは月給のすべてを自警団に寄付した」とし「命をかけて生活の基盤を守った黒人暴動の時と方式は違うが、今回の状況は経済的被害の側面では暴動と違わない」と話した。
トランプ政府が意図的に韓人を再びターゲットにしているのではないかという懸念も出てきた。匿名を求めたマーケットの商人は「黒人暴徒が過去コリアタウンを襲った理由は当局が意図的にコリアタウン側だけに退路を開いてやったから」としながら「ヒスパニック移民者を狙った今回の措置も彼らの労働力にほぼ100%依存する韓国人社会を狙った可能性がある」と主張した。
実際、移民・関税執行局(ICE)は6日LAで移民者逮捕作戦に入った直後、地域最大のコリアン衣類会社の一つである「Ambiance Apparel」を急襲して14人を逮捕した。これを機にヒスパニック系労働者が次々と逮捕されたり潜伏したりして、LA韓人経済の根幹である衣類業が事実上停止した。記者が訪れたAmbiance Apparel本社の鉄門には鍵がかかっていた。警護員は「取材を拒否する」と言って敏感に反応した。近くで物流作業をしていたジェラドさん(仮名)は「ICE要員40~50人が催涙弾を発射して同僚を追い立てた後、手錠をかけた」とし「このためにデモが急速に激しくなり、その後海兵隊まで動員される契機になった」と話した。
これに対してファッション卸売業をするアンジェラ・チョンさんは「ヒスパニック系の労働者がいなければ韓人商店はすぐにストップしてしまう構造」とし、記者の手を引っ張っていくように外に出て「目の前に見える店の9割は韓人が運営しているが、すべて店を閉めているではないか」と言った。
パクさんは「ここは民主党の強い地域だが、韓人の相当数はバイデン氏が景気低迷を引き起こして移民者の犯罪をほう助したことに怒ってトランプに投票した」とし「ところがトランプは犯罪者の掃討ではなく人種狩猟を行い、彼を支持した韓人が直撃を受けた」と訴えた。
一方、ドナルド・トランプ大統領は12日、トゥルース・ソーシャルに「ここ2日間は、LAの夜は安定的だった。軍がいなければここ数年間で見たこともないような犯罪現場になっていたはず」としながら自身の軍動員決定が功を奏したと主張した。
6日LAで強硬な不法移民者追放措置に反対する大規模デモが始まってから韓人(韓国人)居住地でデモが起きたのは今回が初めてだ。予想できない奇襲デモに深夜のコリアタウンは戦場と化した。上空にはサーチライトをつけたヘリコプター数機が同時に低空飛行をし、数十台のパトカーが一斉に集まってデモ隊を包囲した。するとバイクに乗った一部のデモ参加者は轟音と共に車輪から煙を出して警察の解散命令に抗議するなど対峙状況は1時間ほど続いた。
一発触発の対峙の末、デモ隊が解散するとLA警察は中央日報に「前日から施行された通行禁止でデモ隊が散発的に奇襲デモを行っている」とした。あわせて「韓国人に過去の暴動事態の記憶があることを十分知っている」とし「この日は特別な被害がなく幸い」と話した。
しかし33年前の1992年、黒人暴動のトラウマを持つ韓人たちは衝撃を受けた。特にこの日デモが発生したところは黒人暴動当時、韓人自警団が銃を取った黒人暴徒に対抗するために陣地を構築した「カジュマーケット」にほど近い。
家族と夕食を食べに来たジェームズ・カンさんは「両親の世代は全員黒人暴動の直接的な被害者で、私も幼い時期に拳銃を持って家族を守った大人たちのことを覚えている」とし「今回のデモがどうか暴動に拡大しないことを祈る」とした。
商人はすでに今回の状況を「経済的暴動」と受け入れていた。この日LAのファッションストリート「ジョバー(Jobber)マーケット」で衣類店を営むケイシー・パクさんは激化するデモに「33年前の黒人暴動も、コロナパンデミックも乗り越えたが今はとても大変だ」とし「本当に今度こそ店を閉めなければならないかもしれない」とため息をついた。
1992年黒人暴動当時20代前半だったパクさんは「当時私と同じくらいの男性は生きるために銃を取り、私たちは月給のすべてを自警団に寄付した」とし「命をかけて生活の基盤を守った黒人暴動の時と方式は違うが、今回の状況は経済的被害の側面では暴動と違わない」と話した。
トランプ政府が意図的に韓人を再びターゲットにしているのではないかという懸念も出てきた。匿名を求めたマーケットの商人は「黒人暴徒が過去コリアタウンを襲った理由は当局が意図的にコリアタウン側だけに退路を開いてやったから」としながら「ヒスパニック移民者を狙った今回の措置も彼らの労働力にほぼ100%依存する韓国人社会を狙った可能性がある」と主張した。
実際、移民・関税執行局(ICE)は6日LAで移民者逮捕作戦に入った直後、地域最大のコリアン衣類会社の一つである「Ambiance Apparel」を急襲して14人を逮捕した。これを機にヒスパニック系労働者が次々と逮捕されたり潜伏したりして、LA韓人経済の根幹である衣類業が事実上停止した。記者が訪れたAmbiance Apparel本社の鉄門には鍵がかかっていた。警護員は「取材を拒否する」と言って敏感に反応した。近くで物流作業をしていたジェラドさん(仮名)は「ICE要員40~50人が催涙弾を発射して同僚を追い立てた後、手錠をかけた」とし「このためにデモが急速に激しくなり、その後海兵隊まで動員される契機になった」と話した。
これに対してファッション卸売業をするアンジェラ・チョンさんは「ヒスパニック系の労働者がいなければ韓人商店はすぐにストップしてしまう構造」とし、記者の手を引っ張っていくように外に出て「目の前に見える店の9割は韓人が運営しているが、すべて店を閉めているではないか」と言った。
パクさんは「ここは民主党の強い地域だが、韓人の相当数はバイデン氏が景気低迷を引き起こして移民者の犯罪をほう助したことに怒ってトランプに投票した」とし「ところがトランプは犯罪者の掃討ではなく人種狩猟を行い、彼を支持した韓人が直撃を受けた」と訴えた。
一方、ドナルド・トランプ大統領は12日、トゥルース・ソーシャルに「ここ2日間は、LAの夜は安定的だった。軍がいなければここ数年間で見たこともないような犯罪現場になっていたはず」としながら自身の軍動員決定が功を奏したと主張した。
LA폭도의 표적이 코리아 타운으로 바뀐 w
코리아 타운까지 퍼진, 데모대·경찰의 심야의 대치

미국 로스앤젤레스(LA)의 데모가 6일째에 들어간 11일(현지시간) 오후 9시경.조용했던 코리아 타운에 갑자기 오토바이의 엔진의 굉음이 울려 건넜다.그리고 트럼프 정부를 규탄하는 슬로건과 함께 100명 남짓의 데모대가 코리아 타운의 중심으로 있다 KH마트의 앞의 도로를 점거했다.
6일 LA로 강경한 불법 이민자 추방 조치에 반대하는 대규모 데모가 시작되고 나서 한인(한국인) 거주지에서 데모가 일어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예상할 수 없는 기습 데모에 심야의 코리아 타운은 전장화했다.상공에는 searchlight를 붙인 헬리콥터수기가 동시에 저공 비행을 해, 수십대의 경찰차가 일제히 모여 데모대를 포위했다.그러자(면) 오토바이를 탄 일부의 데모 참가자는 굉음과 함께 차바퀴로부터 연기를 꺼내 경찰의 해산 명령에 항의하는 등 대치 상황은 1시간 정도 계속 되었다.
일발 촉발의 대치의 끝, 데모대가 해산하면 LA경찰은 중앙 일보에 「전날부터 시행된 통행 금지로 데모대가 산발적으로 기습 데모를 실시하고 있다」라고 했다. 아울러 「한국인에 과거의 폭동 사태의 기억이 있다 일을 충분히 알고 있다」라고 해 「이 날은 특별한 피해가 없고 다행히」라고 이야기했다.
그러나 33년전의 1 992년, 흑인 폭동의 트라우마를 가지는 한인들은 충격을 받았다.특히 이 날데모가 발생한 곳은 흑인 폭동 당시 , 한인 자경단이 총을 취한 흑인 폭도에게 대항하기 위해서 진지를 구축한 「카쥬마켓트」에만큼 가깝다.
가족과 저녁 식사를 먹으러 온 제임스·강씨는 「 부모님의 세대는 전원 흑인 폭동의 직접적인 피해자로, 나도 어린 시기에 권총을 가지고 가족을 지킨 어른들을 기억하고 있다」라고 해 「이번 데모가 어떨까 폭동으로 확대하지 않는 것을 빈다」라고 했다.
상인은 벌써 이번 상황을 「경제적 폭동」이라고 받아 들이고 있었다.이 날LA의 패션 스트리트 「죠바(Jobber) 마켓」에서 의류점을 영위하는 케이시·박씨는 격화하는 데모에 「33년전의 흑인 폭동도, 코로나판데믹크도 넘었지만 지금은 매우 큰 일이다」라고 해 「정말로 이번이야말로 가게를 닫지 않으면 안 될지도 모른다」라고 한숨을 쉬었다.
1992년 흑인 폭동 당시 20대 전반이었던 박씨는 「당시 나와 같은 정도의 남성은 살기 위해서 총을 취해, 우리는 월급의 모든 것을 자경단에 기부했다」라고 해 「목숨을 걸어 생활의 기반을 지킨 흑인 폭동때와 방식은 다르지만, 이번 상황은 경제적 피해의 측면에서는 폭동과 다르지 않다」라고 이야기했다.
트럼프 정부가 의도적으로 한인을 다시 타겟으로 하고 있는 것은 아닐것인가 라고 하는 염려도 나왔다.익명을 요구한 마켓의 상인은 「흑인 폭도가 과거 코리아 타운을 덮친 이유는 당국이 의도적으로 코리아 타운측에만 퇴로를 열어 주었기 때문에」라고 하면서 「히스패닉 이민자를 노린 이번 조치도 그들의 노동력에 거의 100%의존하는 한국인 사회를 노린 가능성이 있다」라고 주장했다.
실제, 이민·관세 집행국(ICE)은 6일 LA로 이민자 체포 작전에 들어간 직후, 지역 최대의 코리안 의류 회사의 하나인 「Ambiance Apparel」를 급습해 14명을 체포했다.이것을 기회로 히스패닉계 노동자가 차례차례로 체포되거나 잠복 하거나 하고, LA한인 경제의 근간인 의류업이 사실상 정지했다.기자가 방문한 Ambiance Apparel 본사의 철문에는 열쇠가 걸려 있었다.경호원은 「취재를 거부한다」라고 해 민감하게 반응했다.근처에서 물류 작업을 하고 있던 제라드씨(가명)는 「ICE 요원 4050명이 최루탄을 발사하고 동료를 몰아낸 후, 수갑을 채웠다」라고 해 「이 때문에 데모가 급속히 격렬해져, 그 후 해병대까지 동원되는 계기로 되었다」라고 이야기 .
이것에 대해서 패션 도매업을 하는 안 수확·정씨는 「히스패닉계의 노동자가 없으면 한인 상점은 곧바로 스톱 해 버리는 구조」라고 해, 기자의 손을 이끌어 가도록(듯이) 밖에 나와 「눈앞으로 보이는 가게의 9할은 한인이 운영하고 있지만, 모두 가게를 닫고 있지 아니겠는가」라고 했다.
박씨는 「여기는 민주당의 강한 지역이지만, 한인의 상당수는 바이덴씨가 경기침체를 일으켜 이민자의 범죄를 방조했던 것에 화내 트럼프에 투표했다」라고 해 「그런데 트럼프는 범죄자의 소탕은 아니고 인종 수렵을 실시해, 그를 지지한 한인이 직격을 받았다」라고 호소했다.
한편, 도널드·트럼프 대통령은 12일, 투르스·소셜l에 「최근 2일간은, LA의 밤은 안정적이었다.군이 없으면 최근 몇년간에 본 적도 없는 듯한 범죄 현장이 되어 있었을 것」이라고 하면서 자신의 군동원 결정이 공을 세웠다고 주장했다.
6일 LA로 강경한 불법 이민자 추방 조치에 반대하는 대규모 데모가 시작되고 나서 한인(한국인) 거주지에서 데모가 일어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예상할 수 없는 기습 데모에 심야의 코리아 타운은 전장화했다.상공에는 searchlight를 붙인 헬리콥터수기가 동시에 저공 비행을 해, 수십대의 경찰차가 일제히 모여 데모대를 포위했다.그러자(면) 오토바이를 탄 일부의 데모 참가자는 굉음과 함께 차바퀴로부터 연기를 꺼내 경찰의 해산 명령에 항의하는 등 대치 상황은 1시간 정도 계속 되었다.
일발 촉발의 대치의 끝, 데모대가 해산하면 LA경찰은 중앙 일보에 「전날부터 시행된 통행 금지로 데모대가 산발적으로 기습 데모를 실시하고 있다」라고 했다. 아울러 「한국인에 과거의 폭동 사태의 기억이 있다 일을 충분히 알고 있다」라고 해 「이 날은 특별한 피해가 없고 다행히」라고 이야기했다.
그러나 33년전의 1 992년, 흑인 폭동의 트라우마를 가지는 한인들은 충격을 받았다.특히 이 날데모가 발생한 곳은 흑인 폭동 당시 , 한인 자경단이 총을 취한 흑인 폭도에게 대항하기 위해서 진지를 구축한 「카쥬마켓트」에만큼 가깝다.
가족과 저녁 식사를 먹으러 온 제임스·강씨는 「 부모님의 세대는 전원 흑인 폭동의 직접적인 피해자로, 나도 어린 시기에 권총을 가지고 가족을 지킨 어른들을 기억하고 있다」라고 해 「이번 데모가 어떨까 폭동으로 확대하지 않는 것을 빈다」라고 했다.
상인은 벌써 이번 상황을 「경제적 폭동」이라고 받아 들이고 있었다.이 날LA의 패션 스트리트 「죠바(Jobber) 마켓」에서 의류점을 영위하는 케이시·박씨는 격화하는 데모에 「33년전의 흑인 폭동도, 코로나판데믹크도 넘었지만 지금은 매우 큰 일이다」라고 해 「정말로 이번이야말로 가게를 닫지 않으면 안 될지도 모른다」라고 한숨을 쉬었다.
1992년 흑인 폭동 당시 20대 전반이었던 박씨는 「당시 나와 같은 정도의 남성은 살기 위해서 총을 취해, 우리는 월급의 모든 것을 자경단에 기부했다」라고 해 「목숨을 걸어 생활의 기반을 지킨 흑인 폭동때와 방식은 다르지만, 이번 상황은 경제적 피해의 측면에서는 폭동과 다르지 않다」라고 이야기했다.
트럼프 정부가 의도적으로 한인을 다시 타겟으로 하고 있는 것은 아닐것인가 라고 하는 염려도 나왔다.익명을 요구한 마켓의 상인은 「흑인 폭도가 과거 코리아 타운을 덮친 이유는 당국이 의도적으로 코리아 타운측에만 퇴로를 열어 주었기 때문에」라고 하면서 「히스패닉 이민자를 노린 이번 조치도 그들의 노동력에 거의 100%의존하는 한국인 사회를 노린 가능성이 있다」라고 주장했다.
실제, 이민·관세 집행국(ICE)은 6일 LA로 이민자 체포 작전에 들어간 직후, 지역 최대의 코리안 의류 회사의 하나인 「Ambiance Apparel」를 급습해 14명을 체포했다.이것을 기회로 히스패닉계 노동자가 차례차례로 체포되거나 잠복 하거나 하고, LA한인 경제의 근간인 의류업이 사실상 정지했다.기자가 방문한 Ambiance Apparel 본사의 철문에는 열쇠가 걸려 있었다.경호원은 「취재를 거부한다」라고 해 민감하게 반응했다.근처에서 물류 작업을 하고 있던 제라드씨(가명)는 「ICE 요원 4050명이 최루탄을 발사하고 동료를 몰아낸 후, 수갑을 채웠다」라고 해 「이 때문에 데모가 급속히 격렬해져, 그 후 해병대까지 동원되는 계기로 되었다」라고 이야기 .
이것에 대해서 패션 도매업을 하는 안 수확·정씨는 「히스패닉계의 노동자가 없으면 한인 상점은 곧바로 스톱 해 버리는 구조」라고 해, 기자의 손을 이끌어 가도록(듯이) 밖에 나와 「눈앞으로 보이는 가게의 9할은 한인이 운영하고 있지만, 모두 가게를 닫고 있지 아니겠는가」라고 했다.
박씨는 「여기는 민주당의 강한 지역이지만, 한인의 상당수는 바이덴씨가 경기침체를 일으켜 이민자의 범죄를 방조했던 것에 화내 트럼프에 투표했다」라고 해 「그런데 트럼프는 범죄자의 소탕은 아니고 인종 수렵을 실시해, 그를 지지한 한인이 직격을 받았다」라고 호소했다.
한편, 도널드·트럼프 대통령은 12일, 투르스·소셜l에 「최근 2일간은, LA의 밤은 안정적이었다.군이 없으면 최근 몇년간에 본 적도 없는 듯한 범죄 현장이 되어 있었을 것」이라고 하면서 자신의 군동원 결정이 공을 세웠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