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民日報論調変化… 時政策と配置
市主席, 公開石像で姿隠した期間↑
“権力弱化されても 中 発表遅れた方”
一部外信を中心にシジンピング中国国家主席の権力危機説が申し立てられている. 外信たちは最近中国共産党機関紙である人民日報で詩柱石の政策基調と正面から配置される内容が報道されているという点に注目した. 人民日報は共産党宣伝部が記事内容と論調を決める宣伝媒体だ.

シジンピング中国国家主席 / ロイター=連合ニュース
反中性向のアメリカ媒体エポックタイムスは去る 13日(現地時間) ‘党機関誌 1面で消えたシジンピング’という題目の記事で, ”人民日報が去る 10日付け 1面に市主席に対する言及なく ‘国家がもっと開放されるほど私たちはもっと発展することができる’と言う記事を載せて異例的な編集を見せた“苦戦した. 引き継いで ”これはシジンピングが強調して来た閉鎖的統制強化と自力更正路線とは非常に対照的”と評価した.
エポックタイムスによれば, 人民日報は去る 10日付け 1面に相当な地面を割いてファウェイ創業者ランゾングペイとのインタビューを積んだ. ランゾングペイは ‘開放と発展に対してどう思うのか’と言う質問に “国家がますますもっと開放されれば, 開放が私たちをもっと発展するようにする”と返事した. 彼はその間共産党政府の経済政策を最前線から擁護して来た人物だが, 今度インタビューではシジンピングに対する言及がただ一回もなかった.
先立って日本産経新聞の英字紙ジャパンフォワードやっぱり “人民日報が去る 2日から 4日までシジンピングと違う最高リーダーたちを全面に立てない異例的な措置を取った”と “代わりに炭素減縮や地域開発のような日常的なくせに集中した”と報道した. ジャパンフォワードはまた中国人民解放軍機関紙開放軍報が先月 30日 “‘公権力は国民のために奉事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言う題目の記事を通じて市主席の権力濫用を間接的に批判した”と伝えた.
ジャパンフォワードは市主席が先月 21日から今月 3日まで約 2週の間公開石像に姿を現わさない点を言及して, “このような不在は前例がない”と伝えた. 引き継いで “市主席が 2012年当たり総書記に就任する前権力手懐けの一環で姿を隠したとか, 2023年には脳手術を理由でしばらく影をひそめた過去事例たちとは違う様相”と分析した. また市主席の否認ポングリウィアン女史が最近海外巡回にお供しなかったし, 随行員規模も縮まったと付け加えた.
が新聞は “今度不在は中国内権力委譲の歴史的パターンを反映する”と評価した. ジャパンフォワードは中国共産党リーダーが権力を喪失した時, これを直ちに公開しないで発表を延ばして来た慣行があると伝えた. 引き続きフヤオバングの前共産党総書記の死なのが実際辞任一人 1987年 1月より 9ヶ月遅いその年 10月に発表された事例を言及して, “このような前例は市主席の権力が弱化されても相変らず名目上リーダーに残っていることができることを示唆する”と評価した.
今月初日本の英字紙日経アジアも市主席の権力安全性に疑問が申し立てられていると報道した. 日経アジアは新華通信など中国官営媒体たちが去る 4月 25日開かれた共産党政治局月例会議に対しては当日報道したが, 5月会議に対しては沈黙を守っていると伝えた. 中国共産党政治局は最高位級幹部 24人で構成されているし, 党内規によって毎月定期会議を開催している.
日経アジアは “党叢書機織を兼ねている市主席にはその間莫強した権力が集中されていた”と “あれほど中国共産党は完全に安定的ではなければならないし, 政治局会議を飛ばす理由があってはいけない”と指摘した. ジャパンフォワードも “政治局は通常毎月会議を開くが, 5月末には会議が開かれなかった”と “市主席を追い出すための会議があったといううわさにもかかわらず実際会議は開かれなかった”と伝えた.
以外にも市主席の ‘30年知己’であるスィチリャングの前中央軍事委員会副主席が去る 2日急に死亡して, ゾングイェンシュング香港駐在中央政府連絡事務所所長が解任されるなど市主席側近たちの身近に変化が起きた点も権力異常説に力を加えている. 去る 5月には中国軍序列 3位のホウェイドング中央軍事委副主席が二つのダルがリャング公式行事に不参したという報道が出たし, 彼はいまだに姿を現わしていない. ホウェイドングは 2022年党大会で市主席が直接抜擢した人物で, 市主席の郡内最側近と知られている.
인민일보 논조 변화… 시 정책과 배치
시 주석, 공개석상서 모습 감춘 기간↑
“권력 약화되더라도 中 발표 늦은 편”
일부 외신을 중심으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권력 위기설이 제기되고 있다. 외신들은 최근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에서 시 주석의 정책 기조와 정면으로 배치되는 내용이 보도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인민일보는 공산당 선전부가 기사 내용과 논조를 결정하는 선전 매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 로이터=연합뉴스
반중 성향의 미국 매체 에포크타임스는 지난 13일(현지 시각) ‘당 기관지 1면에서 사라진 시진핑’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인민일보가 지난 10일자 1면에 시 주석에 대한 언급 없이 ‘국가가 더 개방될수록 우리는 더 발전할 수 있다’는 기사를 실으며 이례적인 편집을 보였다“고 전했다. 이어 ”이는 시진핑이 강조해 온 폐쇄적 통제 강화와 자력갱생 노선과는 매우 대조적”이라고 평가했다.
에포크타임스에 따르면, 인민일보는 지난 10일자 1면에 상당한 지면을 할애해 화웨이 창업자 런정페이와의 인터뷰를 실었다. 런정페이는 ‘개방과 발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국가가 점점 더 개방되면, 개방이 우리를 더 발전하게 만든다”고 답했다. 그는 그동안 공산당 당국의 경제 정책을 최전선에서 옹호해 온 인물이지만, 이번 인터뷰에서는 시진핑에 대한 언급이 단 한 차례도 없었다.
앞서 일본 산케이신문의 영자지 재팬포워드 역시 “인민일보가 지난 2일부터 4일까지 시진핑과 다른 최고 지도자들을 전면에 내세우지 않는 이례적인 조치를 취했다”면서 “대신 탄소 감축이나 지역 개발과 같은 일상적인 주제에 집중했다”고 보도했다. 재팬포워드는 또 중국 인민해방군 기관지 해방군보가 지난달 30일 “‘공권력은 국민을 위해 봉사해야 한다’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시 주석의 권력 남용을 간접적으로 비판했다”고 전했다.
재팬포워드는 시 주석이 지난달 21일부터 이달 3일까지 약 2주 동안 공개 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점을 언급하며, “이 같은 부재는 전례가 없다”고 전했다. 이어 “시 주석이 2012년 당 총서기에 취임하기 전 권력 다지기의 일환으로 모습을 감췄거나, 2023년에는 뇌수술을 이유로 잠시 자취를 감췄던 과거 사례들과는 다른 양상”이라고 분석했다. 또 시 주석의 부인 펑리위안 여사가 최근 해외 순방에 동행하지 않았고, 수행원 규모도 축소됐다고 덧붙였다.
이 신문은 “이번 부재는 중국 내 권력 이양의 역사적 패턴을 반영한다”고 평가했다. 재팬포워드는 중국 공산당 지도자가 권력을 상실했을 때, 이를 즉시 공개하지 않고 발표를 미뤄온 관행이 있다고 전했다. 이어 후야오방 전 공산당 총서기의 사임이 실제 사임일인 1987년 1월보다 9개월 늦은 그해 10월에 발표된 사례를 언급하며, “이러한 전례는 시 주석의 권력이 약화되었더라도 여전히 명목상 지도자로 남아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이달 초 일본의 영자지 닛케이아시아도 시 주석의 권력 안정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닛케이아시아는 신화통신 등 중국 관영 매체들이 지난 4월 25일 열린 공산당 정치국 월례회의에 대해서는 당일 보도했지만, 5월 회의에 대해서는 침묵을 지키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공산당 정치국은 최고위급 간부 24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당 내규에 따라 매달 정기회의를 개최하고 있다.
닛케이아시아는 “당 총서기직을 겸하고 있는 시 주석에게는 그동안 막강한 권력이 집중돼 있었다”면서 “그만큼 중국 공산당은 완전히 안정적이어야 하며, 정치국 회의를 건너뛸 이유가 없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재팬포워드도 “정치국은 통상 매월 회의를 열지만, 5월 말에는 회의가 열리지 않았다”며 “시 주석을 축출하기 위한 회의가 있었다는 소문에도 불구하고 실제 회의는 열리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외에도 시 주석의 ‘30년 지기’인 쉬치량 전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이 지난 2일 갑작스럽게 사망하고, 정옌슝 홍콩 주재 중앙정부 연락사무소 소장이 해임되는 등 시 주석 측근들의 신변에 변화가 일어난 점도 권력 이상설에 힘을 보태고 있다. 지난 5월에는 중국군 서열 3위인 허웨이둥 중앙군사위 부주석이 두 달가량 공식 행사에 불참했다는 보도가 나왔으며, 그는 아직까지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 허웨이둥은 2022년 당 대회에서 시 주석이 직접 발탁한 인물로, 시 주석의 군 내 최측근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