ホルムズ海峡の一部(入港路線)がイランの領海に含まれるから
イランが自国の領海を封鎖することは , 実はイランの 主権行為なので誰も干渉してはいけない
ただ, 強大国は, 航行の自由という美名の下に, ホルムズ海峡やスエズ運河みたいな所で
いくら自国領海でも, わがまま封鎖ができないように , 国際法で明文化しておいたが, それが
UN海洋法協約で設定した [国際航行海峡]だ. ここは特別な条件がない限り
任意に封鎖することができない
エジプトがイスラエルの船舶を遮断してスエズ運河を封鎖した時, イギリス, フランスなど当時列強が攻めこんで
エジプトの降参を受けて, 作ったのが慣例で固くて 80年代に名門化された規定だと言える
結局, 国際法も全部強大国が弱小国の 血に作って行っているとしか見られない
今度にももしイランが海峡を封鎖すれば, 航行自由を根拠で, イランをこなごなに壊すことが明らかな
イランもそれが分かるから, 全面封鎖はしないだろう
自分の海なのに, どうしょうもないという
호르무즈 해협의 일부(입항 노선)가 이란의 영해에 포함되기 때문에
이란이 자국의 영해를 봉쇄하는 것은 , 사실 이란의 主權행위이므로 누구도 간섭해서는 안된다
다만, 강대국은, 항행의 자유라는 미명하에, 호르무즈 해협이나 수에즈 운하 같은 곳에서
아무리 자국 영해라도, 마음대로 봉쇄를 할 수 없도록 , 국제법으로 명문화 해 두었는데, 그게
UN해양법 협약에서 설정한 [국제 항행 해협]이다. 여기는 특별한 조건이 없는 한
임의로 봉쇄할 수 없는
이집트가 이스라엘의 선박을 차단하며 수에즈 운하를 봉쇄했을 때, 영국, 프랑스 등 당시 열강이 쳐들어가서
이집트의 항복을 받아, 만든 것이 관례로 굳어 80년대에 명문화된 규정이라고 할 수 있는
결국, 국제법도 전부 강대국이 약소국의 血로 만들어 가고 있다고 밖에 볼 수 없다
이번에도 만약 이란이 해협을 봉쇄하면, 항행 자유를 근거로, 이란을 박살낼 것이 분명한
이란도 그것을 알기 때문에, 전면 봉쇄는 하지 않을 것이다
자기 바다인데도, 어쩔 도리가 없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