歴史的問題も当然存在したが
また他の問題では 8090 当時日本の文化産業はあまりにも巨大ですごくて開放をしたら韓国文化産業が日本に食われてしまうことではないか? という
大きい不安があったと思います.
実際に韓国はイルボンゴッドルをたくさん模倣したし文化規制をしていたにも日本のアニメーションや歌みたいな場合は韓国で輸入されて非常に顔が売れた場合が多かった.
映画がアメリカの映画産業を恐れてスクリーンドアを設置したように韓国も日本の文化産業が恐ろしかったのだ.
それで日本の大衆文化を開放するが. 漸進的段階的開放を選択した.
もちろん日本の文化産業は 20年の間後退を繰り返したし, 韓国の文化産業は 20年の間ずっと発展を繰り返して
国際的位相とパワーの後先になる結果になったが[日本アニメーションマンガは除外]
日本の 80‾90年度文化産業は本当に恐ろしかったの.
NGT48 会いたかった (KBS)
20年の間文化水準が後退してしまって結局こんな水準になったことが切ない.
역사적 문제도 당연히 존재했지만
또 다른 문제로는 8090 당시 일본의 문화산업은 너무나도 거대하고 대단해서 개방을 한다면 한국 문화산업이 일본에 먹혀버리는 것 아닐까? 라는
큰 불안이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한국은 일본것들을 많이 모방했었고 문화규제를 하고 있었음에도 일본의 애니메이션이나 노래 같은 경우는 한국에서 수입되어 매우 유명해진 경우가 많았다.
영화가 미국의 영화산업을 두려워해서 스크린도어를 설치했듯이 한국도 일본의 문화산업이 두려웠던 것이다.
그래서 일본의 대중문화를 개방하되. 점진적 단계적 개방을 선택했다.
물론 일본의 문화산업은 20년 동안 후퇴를 반복했고, 한국의 문화산업은 20년 동안 계속 발전을 반복해서
국제적 위상과 파워가 뒤바뀌는 결과가 되었지만[일본 애니메이션 만화는 제외]
일본의 80~90년도 문화산업은 정말 무서웠어.
<iframe title="VideoPress Video Player" aria-label="VideoPress Video Player" width="735" height="413" src="https://videopress.com/embed/SE2CAmrn?hd=0&cover=1" frameborder="0" allowfullscreen="" allow="clipboard-write" style="box-sizing: inherit; max-width: 100%;"></iframe>
NGT48 – 會いたかった (KBS)
20년 동안 문화수준이 후퇴해버리고 결국 이런 수준이 된 것이 안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