当たります. 核心をよくつきました.
ヨンピョン島砲撃戦当時 K9 自走砲の弾着正確度が低かった主要原因の中で一つは, すぐ大砲病レーダー(TPQ-36)の座標正確度の限界でした. しかしもうちょっと正確に表現しようとすると, 単純な “レーダーの精密度” 限界を越えて, 多くの複合要因が重なりました.
整理すれば次の通りです:
1. 大砲病レーダー(TPQ-36)の座標正確度問題
-
打ち上げ原点推定方式だから, 地面に精密座標を取る水準ではない.
-
平地や広い開放地では精密度が高い方だが,
-
北朝鮮のように険峻した山地 + 坑道式陣地構造では誤差が大きくなる.
-
すなわち, “X: いくら, Y: いくら” 式の座標は提供されるが, 正確な砲身位置や坑道入口位置は特定する難しさ.
2. 北朝鮮砲兵の戦術的特性
-
砲撃後坑道内部で直ちに隠蔽, K9 反撃が到逹する頃にはもう打ち上げ完了及び撤収.
-
多くの打ち上げ位置で分散射撃 → レーダーも多くの信号混線抜く.
-
一部は にせ物打ち上げ地点(欺俗用) 射撃もあったことで推定.
3. 友軍の対応制限
-
当時 K9は レーダーが提供した原点座標周辺の地域砲撃だけ可能.
-
正札 UAV 不在, GPS 柔道砲弾未保有, 北朝鮮地形 DB 不足 等によって
座標を受けても精密射撃までつながらない.
4. 砲撃命中失敗の責任は武器自体よりは情報正確度及び体系問題
-
K9 自走砲自らの精密度は非常に優秀だが,
”どこをうたなければならないか”を正確に分かるとその精密度が輝かしさ. -
すなわち, 射撃座標の質が結果の品質を決めたこと.
結論的に:
K9 自走砲は正確にうつことができたが, 大砲病レーダーの提供した座標は “正確にうつには不足な情報”だった.
すなわち, **弾着誤差は K9ではなくインフォメーションシステム(大砲病レーダー座標正確度)**に起因したのが当たります.
それなら当時 k9は受けた座標を正確に合わせたことですね
結論から申し上げれば:
◆ “K9 自走砲は自分がいただいた座標には正確に命中させました.”
しかし
◆ **”その座標が実際北朝鮮砲陣地を正確に示したことではなかったから, 效果的な打撃は難しかったこと”**です.
整理して上げれば:
1. K9 自走砲の射撃正確度
-
K9は **射撃諸原因(座標, 高度, 弾種類, 気象条件など)**が正確に与えられた場合,
世界最高水準の砲身安定化, デジタル射撃統制システムで 精密射撃が可能です. -
実際でも 与えられた座標近くには正確に弾着させたことに評価されます.
2. どうして被害が与える事ができなかったのか?
-
**大砲病レーダー(TPQ-36)の提供した座標は北朝鮮砲弾打ち上げ原点推定値**です.
-
しかし北朝鮮砲兵は 坑道式陣地内部でうってすぐ隠れる方式なので,
座標が実際砲身が出た 正確な入口や隠匿位置ではないことがあります. -
K9がその座標を殴っても, 北朝鮮砲架もう坑道の中に入って行って被害を被らなかった可能性が大きいです.
3. それでは K9は過ちがないか?
-
K9 自走砲自体には欠陷がなかったし, 正確にうちました.
-
問題は次のような 情報/体系的な要素たちにありました:
-
正確な敵位置識別不可
-
正札資産不足 (無人機, 高解像度映像など)
-
GPS 柔道精密砲弾なし
-
北朝鮮坑道構造把握不足
-
結論:
K9 自走砲は正確にうった.
しかし北朝鮮砲陣地位置情報(レーダー提供座標)が不正確だったとか欺俗・坑道構造だから,
K9の威力が充分に発揮されることができなかったことです.
弾着点誤差にも北朝鮮軍被害が大きかった理由は?
とても鋭い質問です.
ヨンピョン島砲撃戦で K9 自走砲が 精密柔道武器ではないにもかかわらず 北朝鮮軍に日程被害を被らせた理由は下のような 戦術的・環境的要因 のためです.
北朝鮮軍被害が大きかった主要理由
1. K9 自走砲の火力自体が非常に力強さ
-
155mm 故爆弾(HE)は 爆発半径数十メートルに至る力強い殺傷力を持ち.
-
誤差がミョッシブメートルあっても, 近くにだけ落ちても殺傷效果が大きい.
-
特に 露出した兵力や装備, 坑道入口近所に砲弾が落ちれば大きい被害 発生可能.
2. 北朝鮮軍砲兵が隠蔽/再隠蔽するタイミング差
-
北朝鮮砲兵は 坑道式陣地で砲をうって早く隠れる戦術を使うが,
-
すべての砲架同時に打ち上げ後隠蔽に成功した可能性は底さ.
-
一部は 砲射撃の中や準備中だったことがある.
-
一部は 坑道入口隣近大気の中で砲撃を迎えた可能性.
-
-
実際に当時余分の政府は 北朝鮮軍死傷者が 20人以上に推定になると発表しました (非公式).
3. K9 射撃が ‘精密’しなかったが ‘集中射撃’ 形態だったこと
-
K9 自走砲は 6門が同時対応射撃を実施したし,
-
最初の弾丸 5発を 15秒内に集中発射する “MRSI(同時弾着)” 技法を使用.
-
これにより 狭い範囲に多数砲弾が落ちて広範囲な被害 誘発可能.
4. 北朝鮮軍防御陣地の完全な耐爆備え不足
-
いくら坑道式暮れるので害も, 被るね換気で, 露出した通信装備などは爆撃に脆弱.
-
特に K9 弾着地点が 坑道入口近くか陣地外郭の場合,
直接被害を受けるという間接暴風, 破片, 衝撃波による人名・装備被害が発生可能.
5. 北朝鮮が被害事実を隠蔽することができなさ
-
ヨンピョン島砲撃以後北朝鮮は普通のように 被害を全面不正ではなかったし,
**国内外で死亡者数推定(最小数人‾20名以上)**この出るようになる. -
これは K9 射撃が 直接打撃を与えることができないとしても, 戦術的效果が存在したという傍証です.
要約:
項目 | 説明 |
---|---|
火力 | K9の 155mm 故爆弾は誤差があっても近くさえ当たれば致命的 |
タイミング | 北朝鮮砲兵一部は隠蔽の前だったことがある |
射撃形態 | 集中射撃方式で打撃範囲を広げ |
防護問題 | 北朝鮮負けてから完全に防御されることができなかったら |
被害確認 | 北朝鮮が被害を隠蔽することができなくて被害実は一部確認される |
以後正確度を高めるために大砲病レーダー国内技術で開発された..
맞습니다. 핵심을 잘 짚으셨습니다.
연평도 포격전 당시 K9 자주포의 탄착 정확도가 낮았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바로 대포병 레이더(TPQ-36)의 좌표 정확도의 한계였습니다. 하지만 좀 더 정확히 표현하자면, 단순한 "레이더의 정밀도" 한계를 넘어서, 여러 복합 요인이 겹쳤습니다.
🔍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1. 대포병 레이더(TPQ-36)의 좌표 정확도 문제
-
발사 원점 추정 방식이기 때문에, 지면에 정밀 좌표를 찍는 수준은 아님.
-
평지나 개활지에서는 정밀도가 높은 편이지만,
-
북한처럼 험준한 산지 + 갱도식 진지 구조에서는 오차가 커짐.
-
즉, “X: 얼마, Y: 얼마” 식의 좌표는 제공되지만, 정확한 포신 위치나 갱도 입구 위치는 특정하기 어려움.
✅ 2. 북한 포병의 전술적 특성
-
포격 후 갱도 내부로 즉시 은폐, K9 반격이 도달할 즈음엔 이미 발사 완료 및 철수.
-
여러 발사 위치에서 분산 사격 → 레이더도 여러 신호 혼선 우려.
-
일부는 가짜 발사 지점(기만용) 사격도 있었던 것으로 추정.
✅ 3. 우군의 대응 제한
-
당시 K9은 레이더가 제공한 원점 좌표 주변의 지역 포격만 가능.
-
정찰 UAV 부재, GPS 유도포탄 미보유, 북한 지형 DB 부족 등으로 인해
좌표를 받아도 정밀 사격까지 이어지지 않음.
✅ 4. 포격 명중 실패의 책임은 무기 자체보다는 정보 정확도 및 체계 문제
-
K9 자주포 자체의 정밀도는 매우 우수하나,
"어디를 쏘아야 하는지"를 정확히 알아야 그 정밀도가 빛을 발함. -
즉, 사격좌표의 질이 결과의 품질을 결정한 것.
✅ 결론적으로:
K9 자주포는 정확히 쏠 수 있었지만, 대포병 레이더가 제공한 좌표는 "정확히 쏘기엔 부족한 정보"였다.
즉, **탄착 오차는 K9이 아니라 정보체계(대포병 레이더 좌표 정확도)**에 기인한 것이 맞습니다.
그렇다면 당시 k9은 받은 좌표를 정확히 맞춘 것이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 "K9 자주포는 자기가 받은 좌표에는 정확히 명중시켰습니다."
그러나
▶ **"그 좌표가 실제 북한 포 진지를 정확히 가리킨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효과적인 타격은 어려웠던 것"**입니다.
✅ 정리해드리면:
1. K9 자주포의 사격 정확도
-
K9은 **사격제원(좌표, 고도, 탄 종류, 기상 조건 등)**이 정확히 주어졌을 경우,
세계 최고 수준의 포신 안정화, 디지털 사격통제 시스템으로 정밀 사격이 가능합니다. -
실제로도 주어진 좌표 근처에는 정확히 탄착시킨 것으로 평가됩니다.
2. 왜 피해를 못 줬는가?
-
**대포병 레이더(TPQ-36)가 제공한 좌표는 북한 포탄 발사 원점 추정치**입니다.
-
하지만 북한 포병은 갱도식 진지 내부에서 쏘고 바로 숨는 방식이어서,
좌표가 실제 포신이 나온 정확한 입구나 은닉 위치가 아닐 수 있습니다. -
K9이 그 좌표를 때려도, 북한 포가 이미 갱도 안으로 들어가 피해를 입지 않았을 가능성이 큽니다.
3. 그럼 K9은 잘못이 없는가?
-
K9 자주포 자체에는 결함이 없었고, 정확히 쐈습니다.
-
문제는 다음과 같은 정보/체계적인 요소들에 있었습니다:
-
🛑 정확한 적 위치 식별 불가
-
🛑 정찰 자산 부족 (무인기, 고해상도 영상 등)
-
🛑 GPS 유도 정밀 포탄 없음
-
🛑 북한 갱도 구조 파악 부족
-
🔚 결론:
📌 K9 자주포는 정확하게 쐈다.
📌 하지만 북한 포진지 위치 정보(레이더 제공 좌표)가 부정확했거나 기만·갱도 구조였기 때문에,
📌 K9의 위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한 것입니다.
탄착점 오차에도 북한군 피해가 컸던 이유는?
아주 날카로운 질문입니다.
연평도 포격전에서 K9 자주포가 정밀 유도 무기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북한군에 일정 피해를 입힌 이유는 아래와 같은 전술적·환경적 요인 때문입니다.
✅ 북한군 피해가 컸던 주요 이유
1. K9 자주포의 화력 자체가 매우 강력함
-
155mm 고폭탄(HE)은 폭발 반경 수십 미터에 이르는 강력한 살상력을 가짐.
-
오차가 몇십 미터 있어도, 근처에만 떨어져도 살상 효과가 큼.
-
특히 노출된 병력이나 장비, 갱도 입구 부근에 포탄이 떨어지면 큰 피해 발생 가능.
2. 북한군 포병이 은폐/재은폐하는 타이밍 차이
-
북한 포병은 갱도식 진지에서 포를 쏘고 빠르게 숨는 전술을 사용하지만,
-
모든 포가 동시에 발사 후 은폐에 성공했을 가능성은 낮음.
-
일부는 포 사격 중이거나 준비 중이었을 수 있음.
-
일부는 갱도 입구 인근 대기 중 포격을 맞았을 가능성.
-
-
실제로 당시 군 당국은 북한군 사상자가 20명 이상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했습니다 (비공식).
3. K9 사격이 ‘정밀’하지는 않았지만 ‘집중사격’ 형태였음
-
K9 자주포는 6문이 동시 대응사격을 실시했고,
-
초탄 5발을 15초 내에 집중 발사하는 "MRSI(동시탄착)" 기법을 사용.
-
이로 인해 좁은 범위에 다수 포탄이 떨어져 광범위한 피해 유발 가능.
4. 북한군 방어 진지의 완전한 내폭 대비 부족
-
아무리 갱도식 진지라 해도, 입구나 환기구, 노출된 통신 장비 등은 폭격에 취약.
-
특히 K9 탄착 지점이 갱도 입구 근처거나 진지 외곽일 경우,
직접 피해보다는 간접 폭풍, 파편, 충격파로 인한 인명·장비 피해가 발생 가능.
5. 북한이 피해 사실을 은폐하지 못함
-
연평도 포격 이후 북한은 보통처럼 피해를 전면 부정하지 않았고,
**국내외에서 사망자 수 추정(최소 수 명~20명 이상)**이 나오게 됨. -
이는 K9 사격이 직접 타격을 주지 못하더라도, 전술적 효과가 존재했다는 방증입니다.
📌 요약:
항목 | 설명 |
---|---|
🔥 화력 | K9의 155mm 고폭탄은 오차가 있어도 근처만 맞으면 치명적 |
🕓 타이밍 | 북한 포병 일부는 은폐 전이었을 수 있음 |
🎯 사격 형태 | 집중사격 방식으로 타격 범위를 넓힘 |
🛡 방호 문제 | 북한 진지가 완전히 방어되진 못했음 |
🔍 피해 확인 | 북한이 피해를 은폐하지 못해 피해 사실 일부 확인됨 |
이후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대포병 레이더 국내 기술로 개발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