最近アメリカトランプの前大統領が韓国に在韓米軍防衛費分担金を既存より約 9倍引き上げた年間 100億ドル(約 13兆 7600億ウォン)を要求しているという報道が出ました. これは韓国の輸出品に対する関税賦課とともに安保問題を通常問題と連携してワン・ストップショッピング方式で最大限の利益を得ようとする意図に解釈されます.
このようなアメリカの防衛費印象圧迫に対して韓国政府は既存合意を守るという立場を明らかにしながらも, 通常-投資-購買-安保を網羅する包括的な交渉を準備して展示作戦統制権(前作圏) 転換も交渉カードで検討していることと伝わりました.
核武装と係わって: 韓国内では北朝鮮の核脅威高度化によって自体核武装論が倦まず弛まず申し立てられて来ました. 最近世論調査でも韓国の読者核武装に賛成する割合が 60‾70% 以上に現われるなど高い支持率を見せています. これは北朝鮮核脅威に対する安保不安感とアメリカの拡張抑制に対する不信が複合的に作用した結果で解釈されます. しかし自体核武装は核拡散禁止條約(NPT) 体制違反で国際社会の制裁を受けることができて愼重な接近が必要だという専門家たちの意見も存在します.
展示作戦統制権返還と係わって: 前作圏転換は韓国軍の自主的な国防力強化のための核心課題で長い間論議されて来ました. 現在韓米両国は条件に基礎した前作圏転換計画(COTP)によって韓国の核心軍事能力確保, 北朝鮮核・ミサイル脅威対応能力確保, そして安定的な韓半島及び域内安保環境造成を前作圏転換の 3種条件で設定して推進の中です.
最近アメリカの防衛費印象圧迫の中で韓国政府が前作圏転換を交渉カードで検討するという消息が知られながら, これは防衛費問題とともに韓国の自主国防意志を打ち明けてアメリカの過度な要求を牽制しようとする意図に解釈されます. ただ, 前作圏転換は単純に軍事的問題だけではなく韓米同盟の性格と北東アジア安保地形にも大きい影響を及ぼす事案であるだけに愼重な検討と外交的努力が必要なことと見えます.
2種が解決になれば韓国は国際社会で自律性が強化になる.
だね, おっしゃるとおり 展示作戦統制権(前作圏) 転換と **核武装(あるいは独自的核抑制力確保)**この解決されたら韓国は国際社会で自律性が大きく強化されることができます. この二つが韓国の対外政策と安保戦略に及ぶ影響をそれぞれよく見ます.
展示作戦統制権転換
前作圏は戦争勃発時韓国軍に対する作戦指揮圏を意味します. 現在は韓米連合司令官(米軍大将)がこの作戦圏を持っています. 韓国が前作圏を還収するようになれば次のような自律性強化效果を期待することができます.
自主的な国防戦略樹立及び実行: 韓国軍が自ら作戦を計画して指揮す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なりながら, 韓半島安保状況に対する独自の判断と対応能力が強化されます. これはアメリカの戦略的必要に不十分にこだわって韓国の国益に最適化された国防政策を広げることができるという意味です.
外交的身動きのぐっすり拡大: 韓半島有事時米軍の介入可否や方式に対する依存度が減りながら, 韓国は周辺強大国との関係でより主体的な外交的立地を確保することができます. 例えば, 中国やロシアとの関係設定においてアメリカの影響力から脱して独自の声を出す余地が大きくなります.
国民的自負心及び信頼増進: 軍事株券の核心だと言える前作圏を還収することは国家的自負心を高めて, 安保に対する国民的信頼を強化するきっかけになることができます. これは国内政治的でも肯定的な影響を及ぼすことができます.
核武装または独自的核抑制力確保
現在韓国は核拡散禁止條約(NPT)に加入した非核国家として自体核武装をしないでアメリカの拡張抑制(核雨傘)に寄り掛かっています. もし韓国が核武装をするとか, ここに準する独自の核抑制力を確保したら次のような自律性強化が可能になります.
対北安保自律性強化: 北朝鮮の核脅威に対して自主的な核抑制力を持つようになれば, アメリカの核雨傘に対する依存度を減らすことができます. これは北朝鮮の挑発に対する対応過程でアメリカの意中を察するよりは韓国の独自の判断と原則によって対応することができる余地を広げます.
国際的位相向上: 核武装国の地位は国際社会で相当な影響力を意味します. たとえ国際的な制裁と外交的反発を甘受しなければならないが, 一応核武装国になれば外交及び安保問題で発言権が強化されて, そのほか国家との交渉で有利な位置を占めることができます.
同盟関係再確立: 独自の核抑制力を持つようになれば韓米同盟の性格が現在とは変わることができます. 核武装国として同等な立場(入場)で同盟関係を再確立するとか, より対等な協力関係を構築することができる可能性が開かれます.
結論
もちろん上の二つの問題は国際関係, 同盟, 国内政治など複雑な要因たちが絡んでいて単純に解決されると思いにくい側面があります. 前作圏転換は韓米同盟の未来と連合防衛態勢に対する深度深い論議が必要であり, 核武装は NPT 体制維持と国際非拡散努力にさからって行くという点で国際社会の力強い反発と制裁をもたらすことができます.
それにもかかわらずおっしゃった二つの要素が韓国の安保戦略において解決あるいは変化が成り立ったら, 韓国が国際社会でもっと自律的で主体的な行為者としての力量を強化することができる重要なターニングポイントになるはずだという点には異見がないだろう.
このような変化が韓国の国益に最善になるためには国際社会との均衡取れた外交, 愼重な戦略樹立, そして国民的合意が必須です.
최근 미국 트럼프 전 대통령이 한국에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을 기존보다 약 9배 인상한 연간 100억 달러(약 13조 7600억원)를 요구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이는 한국의 수출품에 대한 관세 부과와 함께 안보 문제를 통상 문제와 연계하여 원스톱 쇼핑 방식으로 최대한의 이익을 얻으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이러한 미국의 방위비 인상 압박에 대해 한국 정부는 기존 합의를 준수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도, 통상-투자-구매-안보를 망라하는 포괄적인 협상을 준비하며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도 협상 카드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핵무장과 관련하여: 한국 내에서는 북한의 핵 위협 고도화에 따라 자체 핵무장론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습니다. 최근 여론조사에서도 한국의 독자 핵무장에 찬성하는 비율이 60~70% 이상으로 나타나는 등 높은 지지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북한 핵 위협에 대한 안보 불안감과 미국의 확장억제에 대한 불신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됩니다. 그러나 자체 핵무장은 핵확산금지조약(NPT) 체제 위반으로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을 수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의견도 존재합니다.
전시작전통제권 반환과 관련하여: 전작권 전환은 한국군의 자주적인 국방력 강화를 위한 핵심 과제로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습니다. 현재 한미 양국은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계획(COTP)에 따라 한국의 핵심 군사능력 확보, 북한 핵·미사일 위협 대응능력 확보, 그리고 안정적인 한반도 및 역내 안보환경 조성을 전작권 전환의 3가지 조건으로 설정하고 추진 중입니다.
최근 미국의 방위비 인상 압박 속에서 한국 정부가 전작권 전환을 협상 카드로 검토한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이는 방위비 문제와 함께 한국의 자주국방 의지를 피력하고 미국의 과도한 요구를 견제하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다만, 전작권 전환은 단순히 군사적 문제뿐만 아니라 한미동맹의 성격과 동북아 안보 지형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사안인 만큼 신중한 검토와 외교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2가지가 해결 되면 한국은 국제 사회에서 자율성이 강화 된다.
네, 말씀하신 대로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과 **핵무장(혹은 독자적 핵 억제력 확보)**이 해결된다면 한국은 국제사회에서 자율성이 크게 강화될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가 한국의 대외 정책과 안보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살펴보겠습니다.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전작권은 전쟁 발발 시 한국군에 대한 작전 지휘권을 의미합니다. 현재는 한미연합사령관(미군 대장)이 이 작전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이 전작권을 환수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자율성 강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자주적인 국방 전략 수립 및 실행: 한국군이 스스로 작전을 계획하고 지휘할 수 있게 되면서, 한반도 안보 상황에 대한 독자적인 판단과 대응 능력이 강화됩니다. 이는 미국의 전략적 필요에 덜 구애받고 한국의 국익에 최적화된 국방 정책을 펼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외교적 운신의 폭 확대: 한반도 유사시 미군의 개입 여부나 방식에 대한 의존도가 줄어들면서, 한국은 주변 강대국과의 관계에서 보다 주체적인 외교적 입지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국이나 러시아와의 관계 설정에 있어서 미국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목소리를 낼 여지가 커집니다.
국민적 자부심 및 신뢰 증진: 군사 주권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전작권을 환수하는 것은 국가적 자부심을 높이고, 안보에 대한 국민적 신뢰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이는 국내 정치적으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핵무장 또는 독자적 핵 억제력 확보
현재 한국은 핵확산금지조약(NPT)에 가입한 비핵국가로서 자체 핵무장을 하지 않고 미국의 확장억제(핵우산)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만약 한국이 핵무장을 하거나, 이에 준하는 독자적인 핵 억제력을 확보한다면 다음과 같은 자율성 강화가 가능해집니다.
대북 안보 자율성 강화: 북한의 핵 위협에 대해 자체적인 핵 억제력을 가지게 되면, 미국의 핵우산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북한의 도발에 대한 대응과정에서 미국의 의중을 살피기보다는 한국의 독자적인 판단과 원칙에 따라 대응할 수 있는 여지를 넓힙니다.
국제적 위상 제고: 핵무장국의 지위는 국제사회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의미합니다. 비록 국제적인 제재와 외교적 반발을 감수해야 하지만, 일단 핵무장국이 되면 외교 및 안보 문제에서 발언권이 강화되고, 여타 국가와의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습니다.
동맹 관계 재정립: 독자적인 핵 억제력을 갖게 되면 한미동맹의 성격이 현재와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핵무장국으로서 동등한 입장에서 동맹 관계를 재정립하거나, 보다 대등한 협력 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립니다.
결론
물론 위 두 가지 문제는 국제 관계, 동맹, 국내 정치 등 복잡한 요인들이 얽혀 있어 단순히 해결된다고 보기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전작권 전환은 한미동맹의 미래와 연합방위 태세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며, 핵무장은 NPT 체제 유지와 국제 비확산 노력에 역행한다는 점에서 국제사회의 강력한 반발과 제재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씀하신 두 가지 요소가 한국의 안보 전략에 있어 해결 혹은 변화가 이루어진다면,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더욱 자율적이고 주체적인 행위자로서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점에는 이견이 없을 것입니다.
이러한 변화가 한국의 국익에 최선이 되기 위해서는 국제사회와의 균형 잡힌 외교, 신중한 전략 수립, 그리고 국민적 합의가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