艦砲を利用した大規模海戦”が東アジアで本格的に起ったことは壬辰の乱がほとんど最初です.
世界的には?
世界海戦社では ヨーロッパや中東地域で小規模艦砲海戦が 14世紀からありました. しかし大部分は:
-
艦砲が付加的な武器に使われ
-
戦術的に大規模, 組織的に運用されなさ
-
騎兵や白兵戦中心の戦闘が多かったら
壬辰の乱の海戦はどうして特別なのか?
項目 | 説明 |
---|---|
システム化された艦砲戦術 | 李舜臣将軍は 船体に多くの艦砲を配置して, 距離(通り)有志戦術で日本軍の白兵戦を無力化する |
板屋船 | 朝鮮の大型戦闘船. 安全性 + 艦砲運用に最適化されていたら |
大規模艦隊運用 | 数十尺から数百尺規模の艦船が組織的に運用される |
戦闘例示 | 閑山島大勝(1592), 鳴梁海戦(1597), ノリャン海戦(1598) などは 数百尺艦船の間大規模衝突があった歴史的な海戦 |
結論
-
世界最初の艦砲海戦ではない
-
しかし 組織的, 戦略的に大規模艦砲海戦を広げた事例では壬辰の乱が人類社で最初級
-
特に 海上で砲撃中心の戦闘で少ない壊滅させた戦術は世界海戦社で非常に異例的で先進的でした
艦砲の威力に倭人が首長当ぎり...
함포를 이용한 대규모 해전"이 동아시아에서 본격적으로 벌어진 것은 임진왜란이 거의 최초입니다.
🔹 세계적으로는?
세계 해전사에서는 유럽이나 중동 지역에서 소규모 함포 해전이 14세기부터 있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은:
-
함포가 부가적인 무기로 사용됨
-
전술적으로 대규모, 조직적으로 운용되진 않음
-
기병이나 백병전 중심의 전투가 많았음
🔹 임진왜란의 해전은 왜 특별한가?
항목 | 설명 |
---|---|
시스템화된 함포 전술 | 이순신 장군은 선체에 여러 함포를 배치하고, 거리 유지 전술로 일본군의 백병전을 무력화함 |
판옥선 | 조선의 대형 전투선. 안정성 + 함포 운용에 최적화되어 있었음 |
대규모 함대 운용 | 수십 척에서 수백 척 규모의 함선이 조직적으로 운용됨 |
전투 예시 | 한산도 대첩(1592), 명량 해전(1597), 노량 해전(1598) 등은 수백 척 함선 간 대규모 충돌이 있었던 역사적인 해전임 |
🔸 결론
-
세계 최초의 함포 해전은 아님
-
하지만 조직적, 전략적으로 대규모 함포 해전을 펼친 사례로는 임진왜란이 인류사에서 최초급
-
특히 해상에서 포격 중심의 전투로 적을 괴멸시킨 전술은 세계 해전사에서 매우 이례적이고 선진적이었습니다
<iframe width="778" height="438" src="https://www.youtube.com/embed/Zxxn0sBCN40?start=50"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함포의 위력에 왜인이 수장 당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