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社会で一部女性たちが男性の経済力による傾向は, 単純に個人の性向問題ではなく社会的構造と認識の結果だ. 高度経済成長以後韓国は相対的に男性が家計収入の責任を負うという文化が強化されたし, これは女性の経済的自立を引き延ばさせる役目をしたりした. 一方日本の場合, 結婚と経済に対して相互依存よりは感謝と役目仕分けの認識が相対的に明らかで, 男性の経済力による場合にも感謝表現が連れされる文化的差が現われる. 韓国社会もこれからは一方的依存より相互尊重と自立を志向する方向に切り替えなければならない時点だ.”
韓国の婚姻文化:
男性に “家用意” など経済的負担を強要する文化が長く持続する.
養成賃金格差:
OECD 統計基準で韓国は相変らず 性別賃金格差が大きい国中の一つ → 経済力依存が構造化されている.
情緒的態度差:
日本女性たちが “感謝表現”をもっとよくするという主張は文化的要素であることができるが, 個人車道大きいので一般化は用心必要.
"한국 사회에서 일부 여성들이 남성의 경제력에 기대는 경향은, 단순히 개인의 성향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구조와 인식의 결과다. 고도 경제성장 이후 한국은 상대적으로 남성이 가계 수입의 책임을 진다는 문화가 강화되었고, 이는 여성의 경제적 자립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반면 일본의 경우, 결혼과 경제에 대해 상호 의존보다는 감사와 역할 구분의 인식이 상대적으로 뚜렷하여, 남성의 경제력에 기대는 경우에도 감사 표현이 동반되는 문화적 차이가 나타난다. 한국 사회도 이제는 일방적 의존보다 상호 존중과 자립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할 시점이다."
한국의 혼인 문화:
남성에게 "집 마련" 등 경제적 부담을 강요하는 문화가 오래 지속됨.
양성 임금격차:
OECD 통계 기준으로 한국은 여전히 성별 임금 격차가 큰 나라 중 하나 → 경제력 의존이 구조화되어 있음.
정서적 태도 차이:
일본 여성들이 "감사 표현"을 더 자주 한다는 주장은 문화적 요소일 수 있으나, 개인 차도 크므로 일반화는 조심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