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中・日小学校サッカー登録人員及びシステム比較
三つの国の幼少年サッカーシステムは数字だけではなく構造と文化でも大きい差を見せます. 下に主要指標とシステム特徴を整理して上げますよ.
登録人員及びチーム数比較 (U-12 基準)
項目 | 日本 | 韓国 | 中国 |
---|---|---|---|
登録選手数 (U-12) | 薬253,410人 | 薬9,755人 | 薬8,442人 |
小学校サッカーチーム数 | 薬8,884個 | 薬192個 | 薬395個 |
登録選手の割合 (全体人口備え) | 薬0.2% | 薬0.019% | 薬0.0006% |
日本は韓国より薬26倍, 中国より薬30倍多い登録選手を保有しています.
システム構造比較
項目 | 日本 | 韓国 | 中国 |
---|---|---|---|
システム構造 | クラブ中心 (Jリーグ幼少年アカデミー) | 学校中心 (サッカー部中心) | サッカー学校中心 + 政府主導育成 |
進入障壁 | 底さ (クラブ・地域リーグ多様) | 高さ (学校サッカー部中心) | 高さ (サッカー学校入学競争・費用負担) |
インフラ | 人造芝・専用訓練場普及 | 一部地域中心 | 政府主導大規模インフラ拡充中 |
学業併行 | 可能 (クラブと併行) | 難しさ (エリート中心) | 制限的 (寄宿型サッカー学校中心) |
教育と併行可能性
- 日本: サッカーと学業併行が可能であり, サッカーをやめても進路選択が柔軟だ.
- 韓国: エリート中心に運営されてサッカーをやめれば進路の支える場合が多い.
- 中国: サッカー学校中心に運営されて, 学業よりは訓練中心. 親の教育熱と一お子さん政策影響で進入障壁高い.
国家政策及び投資
- 日本: JFA 中心の幼少年ピラミッド構造, 地域クラブと学校が協力.
- 韓国: KFA 中心の学校サッカーリーグ, 最近クラブシステム拡大中.
- 中国: 政府が 2050年 FIFA ランキング 1位目標で幼少年サッカーに大規模投資. 2025年までサッカー人口 5千万人目標.
こんなに見れば日本は底辺拡大とシステム整備が一番先に進んでいて, 韓国は学校中心のエリート構造, 中国は政府主導の大規模育成政策が特徴です.
もしこの差が国家代表幼少年成績や海外進出選手数にどんな影響を与えるかも知りたいんでしょうか?
—-
30倍規模差があるのね
Jリーグ行くプロ選手は限定されているはずだが
日本小学生に将来希望はサッカー選手と野球選手?
日本はサッカーに本気である国?
⚽️ 한·중·일 초등학교 축구 등록 인원 및 시스템 비교
세 나라의 유소년 축구 시스템은 숫자뿐 아니라 구조와 문화에서도 큰 차이를 보입니다. 아래에 주요 지표와 시스템 특징을 정리해드릴게요.
📊 등록 인원 및 팀 수 비교 (U-12 기준)
항목 | 🇯🇵 일본 | 🇰🇷 한국 | 🇨🇳 중국 |
---|---|---|---|
등록 선수 수 (U-12) | 약 253,410명 | 약 9,755명 | 약 8,442명 |
초등학교 축구팀 수 | 약 8,884개 | 약 192개 | 약 395개 |
등록 선수 비율 (전체 인구 대비) | 약 0.2% | 약 0.019% | 약 0.0006% |
일본은 한국보다 약 26배, 중국보다 약 30배 많은 등록 선수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시스템 구조 비교
항목 | 🇯🇵 일본 | 🇰🇷 한국 | 🇨🇳 중국 |
---|---|---|---|
시스템 구조 | 클럽 중심 (J리그 유소년 아카데미) | 학교 중심 (축구부 중심) | 축구학교 중심 + 정부 주도 육성 |
진입 장벽 | 낮음 (클럽·지역 리그 다양) | 높음 (학교 축구부 중심) | 높음 (축구학교 입학 경쟁·비용 부담) |
인프라 | 인조잔디·전용 훈련장 보급 | 일부 지역 중심 | 정부 주도 대규모 인프라 확충 중 |
학업 병행 | 가능 (클럽과 병행) | 어려움 (엘리트 중심) | 제한적 (기숙형 축구학교 중심) |
📚 교육과 병행 가능성
- 일본: 축구와 학업 병행이 가능하며, 축구를 그만두더라도 진로 선택이 유연함.
- 한국: 엘리트 중심으로 운영되어 축구를 그만두면 진로가 막히는 경우가 많음.
- 중국: 축구학교 중심으로 운영되며, 학업보다는 훈련 중심. 부모의 교육열과 한 자녀 정책 영향으로 진입 장벽 높음.
🌍 국가 정책 및 투자
- 일본: JFA 중심의 유소년 피라미드 구조, 지역 클럽과 학교가 협력.
- 한국: KFA 중심의 학교 축구 리그, 최근 클럽 시스템 확대 중.
- 중국: 정부가 2050년 FIFA 랭킹 1위 목표로 유소년 축구에 대규모 투자. 2025년까지 축구 인구 5천만 명 목표.
이렇게 보면 일본은 저변 확대와 시스템 정비가 가장 앞서 있고, 한국은 학교 중심의 엘리트 구조, 중국은 정부 주도의 대규모 육성 정책이 특징이에요.
혹시 이 차이가 국가대표 유소년 성적이나 해외 진출 선수 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도 궁금하신가요? 🌐⚽️
---
30배 규모 차이나네
J리그 가는 프로선수는 한정되어 있을텐데
일본 초등학생에 장래희망은 축구 선수와 야구선수?
일본은 축구에 진심인 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