口腔疾患が単純に歯牙にだけ損傷をかけるのではないという事実を裏付ける大規模研究結果が出た. 歯牙喪失はもちろん初期歯ぐき疾患である歯肉炎まで癌発生率と死亡率を高めることができるという分析だ. その間多くの研究でチズ疾患が心血管疾患, 糖尿病, 肺疾患など晩成疾患と連関されるという事実が報告されて来た. 癌との関係を示唆する研究もあったが, 主に歯周炎や歯牙喪失に限定されていた. だから各口腔疾患がどんな癌にどの位影響を及ぼすかに対しては明確なデータが不足だった.
ソウル大病院公共診療センター金係型教授とソウル市ボラ鷹病院公共部門イ・スンヨン博士はこんな空白を埋めるために国内大人 384万名の健康データをのぞき見た. 研究チームは国民健康保険公団診療記録と統計庁死亡資料を連携して 10年以上追跡観察した. これらは 2009年口腔検診を受けた 384万 5,280人を対象で虫歯, 歯肉炎, 歯牙喪失の有無を区分して全体癌と部位別癌の発生率, 癌死亡率を分析した.
分析結果は明確だった. 2006‾2019年の間全体癌発生件数は 18万 1,754件だった. 口腔疾患のある人はそうではない人より癌発生危険が高かった. 歯牙が抜けた場合大膓癌発生危険が 13% 高かったし, 肝臓癌(9%), 胃癌(8%), 肺癌(4%) も増加した. 歯肉炎も肝臓癌と大膓癌の発生危険をそれぞれ 8%, 7% 高めた.
癌による死亡でも有意味した差が現われた. 10年の間総 3万 7,135人が癌で死んだが, 口腔疾患のある人は全体癌死亡危険が 12% 増加した. 特に歯牙喪失患者は前立腺癌(24%), 胃癌(21%), 肝臓癌(16%), 大膓癌(14%), 肺癌(8%) 死亡危険がもっと高かった. 歯肉炎も肝臓癌死亡率を 11%や引き上げた.
のような影響は 50歳以上長年層でもっと明らかだった. 歯牙喪失はこの年齢帯で全体癌発生危険を 18% 高めたし, 胃癌・大膓癌・肝臓癌など主要消化機械癌でももっと高い発生率が観察された. おもしろい点は所得水準が高い集団と喫煙経験がある集団でもこの連関性が強く現われたというのだ. 甚だしくは喫煙経験がない人でも胃癌, 大膓癌, 肝臓癌危険が増加する傾向を見せた. 研究チームはこの結果が口腔疾患が単純な生活習慣要因を越して癌の独立的な危険因子と作用することができることを示唆すると説明した.
金係型教授は “口腔疾患は晩成炎症を起こして電信炎症反応を触発して, この過程が癌の発生と進行に影響を与えることができる. 定期的な口腔検診と衛生管理, 歯科治療が癌予防の新しい戦略になることができる.”と説明した.
一方, イ・スンヨン博士は “今度研究は故(故) アンヒョングシック予防医学教室教授の公衆保健に対する献身を受け継いで遂行された”と “全国単位の口腔検診資料と健保・死亡データを連携して口腔疾患と癌の関係を定量的に分析したというところ大きい意義がある”と付け加えた. 今度研究は国際学術だサイエンスプログレス(Science Progress) 最近号に積まれた.
======
立案の疾患が癌を発生させる原因みたいだ. 私の経験で口腔疾患は飲用水とも関連ある.
古い水道管の水はサビ水が目に見えないが鉄分がまじていてこれを長期間食べれば歯肉炎が発生して歯牙が損傷になって癌が発生して死ぬこともできるのだ.
1. 口腔疾患と電信疾患の連関性
-
**歯肉炎(歯ぐき炎症)**おこるが 歯周炎は単純に歯牙問題に止めないで, 心血管疾患, 糖尿病, 肺疾患 などとも連関されることが明かされています.
-
慢性炎症が持続すれば, 細胞の突然変異を誘発することができるし, これは癌に進行される可能性もある.
2. 口腔疾患と癌の連関性
-
口腔癌(舌, 歯ぐき, イブチォンザングなど)は喫煙, 飲酒外にも 晩成的な刺激(入れ歯, 歯肉炎など)でも誘発されることができる.
-
一部研究では口腔内細菌不均衡が 食道癌, 胃癌, 膵膓癌と関連あるという報告もある.
3. 水道水と口腔健康
-
古い水道管は鉛, 物心, あかがねなどの 金属汚染物がまじることができる.
-
サビ水が見えなくても長期的に少量の重金属を取れば体内に蓄積されて影響を与えることができる.
-
鉄分過多 ソブツィは細菌増殖を手伝って口腔内嫌気誘発に寄与することができる.
4. 予防のための提案
-
定期的な口腔検診 及びスケーリング.
-
飲用水ピルトリング または浄水器使用.
-
水道管入れ替え可否確認 (建物軟式が 20‾30年以上場合特に勧奨).
-
歯ぐき出血, 口臭, 歯にしみなどの初期症状 無視しない.
-
ハングヨック食餌療法と水気ソブツィ習慣改善.
結論
あなたの経験のように, 飲用水の質と口腔健康は無視することができない重要な問題です. 口腔は私たち身健康の入口と同時に鏡だから, 小さな問題でも関心を持って早期に管理するのが電信健康と生存に直結されることができます.
特に, 古い住宅や古い建物に暮す場合には 定数システム導入や 地方自治体の水道管交替支援政策も必ず確認して見るのを勧めます.
구강질환이 단순히 치아에만 손상을 끼치는 게 아니라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대규모 연구 결과가 나왔다. 치아 상실은 물론 초기 잇몸질환인 치은염까지 암 발생률과 사망률을 높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그간 여러 연구에서 치주 질환이 심혈관질환, 당뇨병, 폐 질환 등 만성 질환과 연관된다는 사실이 보고돼 왔다. 암과의 관계를 시사하는 연구도 있었지만, 주로 치주염이나 치아 상실에 한정돼 있었다. 때문에 각 구강질환이 어떤 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데이터가 부족했다.
서울대병원 공공진료센터 김계형 교수와 서울시보라매병원 공공부문 이승연 박사는 이런 공백을 메우기 위해 국내 성인 384만 명의 건강 데이터를 들여다봤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진료 기록과 통계청 사망 자료를 연계해 10년 넘게 추적 관찰했다. 이들은 2009년 구강검진을 받은 384만 5,280명을 대상으로 충치, 치은염, 치아 상실의 유무를 구분해 전체 암과 부위별 암의 발생률, 암 사망률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는 명확했다. 2006~2019년 사이 전체 암 발생 건수는 18만 1,754건이었다. 구강질환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암 발생 위험이 높았다. 치아가 빠진 경우 대장암 발생 위험이 13% 높았고, 간암(9%), 위암(8%), 폐암(4%) 역시 증가했다. 치은염 역시 간암과 대장암의 발생 위험을 각각 8%, 7% 높였다.
암으로 인한 사망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10년 동안 총 3만 7,135명이 암으로 숨졌는데, 구강질환이 있는 사람은 전체 암 사망 위험이 12% 증가했다. 특히 치아 상실 환자는 전립선암(24%), 위암(21%), 간암(16%), 대장암(14%), 폐암(8%) 사망 위험이 더 높았다. 치은염 역시 간암 사망률을 11%나 끌어올렸다.
이 같은 영향은 50세 이상 장년층에서 더욱 뚜렷했다. 치아 상실은 이 연령대에서 전체 암 발생 위험을 18% 높였고, 위암·대장암·간암 등 주요 소화기계 암에서도 더 높은 발생률이 관찰됐다. 흥미로운 점은 소득 수준이 높은 집단과 흡연 경험이 있는 집단에서도 이 연관성이 강하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심지어 흡연 경험이 없는 사람에서도 위암, 대장암, 간암 위험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팀은 이 결과가 구강질환이 단순한 생활습관 요인을 넘어 암의 독립적인 위험 인자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김계형 교수는 “구강질환은 만성 염증을 일으켜 전신 염증 반응을 촉발하고, 이 과정이 암의 발생과 진행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정기적인 구강 검진과 위생 관리, 치과 치료가 암 예방의 새로운 전략이 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승연 박사는 “이번 연구는 고(故) 안형식 예방의학교실 교수님의 공중보건에 대한 헌신을 계승해 수행됐다”며 “전국 단위의 구강검진 자료와 건강보험·사망 데이터를 연계해 구강질환과 암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프로그레스(Science Progress) 최근호에 실렸다.
======
입안의 질환이 암을 발생 시키는 원인 같다. 나의 경험에서 구강 질환은 음용수와도 관련 있다.
오래된 수도관의 물은 녹물이 눈에 보이지 않지만 철분이 섞여 있고 이것을 장기간 먹으면 치은염이 발생하고 치아가 손상 되고 암이 발생해서 죽을 수도 있는 것이다.
✅ 1. 구강 질환과 전신 질환의 연관성
-
**치은염(잇몸 염증)**이나 치주염은 단순히 치아 문제에 그치지 않고, 심혈관 질환, 당뇨병, 폐 질환 등과도 연관됨이 밝혀져 있습니다.
-
만성 염증이 지속되면, 세포의 돌연변이를 유발할 수 있고, 이는 암으로 진행될 가능성도 있음.
✅ 2. 구강 질환과 암의 연관성
-
구강암(혀, 잇몸, 입천장 등)은 흡연, 음주 외에도 만성적인 자극(의치, 치은염 등)으로도 유발될 수 있음.
-
일부 연구에서는 구강내 세균 불균형이 식도암, 위암, 췌장암과 관련 있다는 보고도 있음.
✅ 3. 수돗물과 구강 건강
-
오래된 수도관은 납, 철, 구리 등의 금속 오염물이 섞일 수 있음.
-
녹물이 보이지 않아도 장기적으로 소량의 중금속을 섭취하면 체내에 축적되어 영향을 줄 수 있음.
-
철분 과다 섭취는 세균 증식을 도와 구강내 염증 유발에 기여할 수 있음.
✅ 4. 예방을 위한 제안
-
정기적인 구강 검진 및 스케일링.
-
음용수 필터링 또는 정수기 사용.
-
수도관 교체 여부 확인 (건물 연식이 20~30년 이상일 경우 특히 권장).
-
잇몸 출혈, 구취, 이시림 등의 초기 증상 무시하지 않기.
-
항염 식이요법과 수분 섭취 습관 개선.
💬 결론
당신의 경험처럼, 음용수의 질과 구강 건강은 무시할 수 없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구강은 우리 몸 건강의 입구이자 거울이기 때문에, 작은 문제라도 관심을 가지고 조기에 관리하는 것이 전신 건강과 생존에 직결될 수 있습니다.
특히, 오래된 주택이나 낡은 건물에 사는 경우에는 정수 시스템 도입이나 지방자치단체의 수도관 교체 지원 정책도 꼭 확인해보시길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