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どうして消えるか?
消える前に彼らは概して:
-
債務不履行 (社債, カード借金)
-
家庭暴力, 離婚, 家出
-
会社でのいじめ(離職失敗, 派閥葛藤)
-
性的少数者, 社会的烙印
-
入試失敗, 就業失敗, 一人ぼっち
こんな問題に直面してからも社会や家族に言えなくて **“蒸発”**を選択します.
2. どこでどうやって暮すか?
隠れ処
-
畳み一枚余りな部屋, 考試院, 住い登録もない家賃部屋
-
東京外郭, 大阪貧民街, 福岡路地, 東北の閉鎖された温泉村 など
職業
-
身分確認が必要ない事
-
例: 夜間掃除, 宅配上下車, 建設現場補助, 納骨堂整理, 不法派遣職
-
-
現金受領主の働き口だけ可能
-
‘黒い職場(ブラック企業)’ややくざ関連不正規職も一部存在
身分
-
住民登録抹消(失踪申告後日程期間経てば可能)
-
携帯電話, 銀行, 保険なしに現金生活
-
住所地なしに生きて行く 法的幽霊状態
3. 生の特徴
極端的な匿名性
-
誰とも繋がれないという生
-
周辺人たちと交流なし, ごみも密かに捨て
-
失踪者専用シェアハウス運営事例もある
断絶された通信
-
携帯電話なし / フリーフエードフォン使用
-
SNS, メッセンジャー使用ほとんどなし
-
家族, 友達, 会社とは徹底的に連絡切り
アイデンティティの消滅
-
本名を捨てて, 仮名で生きて行き
-
過去の煮った ‘他の人生’で埋め
-
“死ななかったが死んだ事にする” 生を自ら選択する
4. 心理的状態
-
罪責感と解放感が共存
-
家族にすみませんが, 同時に解放感を感じ
-
-
心細い平穏
-
見付からないために毎日緊張
-
しかし誰も干渉しない生に安定感を感じ
-
-
‘二度と帰らない’と言う決心
-
再始作の欲望より ‘逃避’を選択した人々
-
ある人は “失踪後初めて自由を感じた”と表現
-
5. 実際インタビューで抜粹した言葉
“私は失踪者ではなく 私を尋ねなかった社会の被害者と思う.”
48歳男性, ゾハツ後 7年目建設である
“生きているのが罪みたいな感じだった. そのまま消えたかった.”
30代女性, 家族と断絶して京都外れで居住
“誰が私の名前を呼ぶ瞬間が一番恐ろしい.”
20代初盤男性, 就業失敗後潜伏
6. 生き残る方式
-
自分が自ら “どこにも属しない”と言うアイデンティティを受け入れながら生きて行き
-
たびたび ゾハツ専用コミュニティを形成したりする
-
一部は何年後また本来社会に帰って来たり一つ, 多い場合永遠に連絡を切り
整理: 彼らの煮った…
項目 内容 アイデンティティ 存在するが記録されない人 住居 隠れ処, 登録されない居住地 職業 非公式, 低賃金, 不安定 感情 解放感 + 不安 + 孤立 意味 自殺代わりに選択した 社会的消滅
📌 1. 왜 사라지는가?
사라지기 전에 그들은 대체로:
-
채무 불이행 (사채, 카드빚)
-
가정폭력, 이혼, 가출
-
회사에서의 괴롭힘(이직 실패, 파벌 갈등)
-
성적 소수자, 사회적 낙인
-
입시 실패, 취업 실패, 왕따
이런 문제에 직면하고도 사회나 가족에게 말할 수 없어 **“증발”**을 선택합니다.
📌 2. 어디서 어떻게 사는가?
🏠 은신처
-
다다미 한 장 남짓한 방, 고시원, 주거지 등록도 없는 월세방
-
도쿄 외곽, 오사카 빈민가, 후쿠오카 골목, 도호쿠의 폐쇄된 온천촌 등
💼 직업
-
신분 확인이 필요 없는 일
-
예: 야간 청소, 택배 상하차, 건설현장 보조, 납골당 정리, 불법 파견직
-
-
현금 수령 위주의 일자리만 가능
-
‘검은 직장(ブラック企業)’이나 야쿠자 관련 비정규직도 일부 존재
🪪 신분
-
주민등록 말소(실종 신고 후 일정 기간 지나면 가능)
-
휴대전화, 은행, 보험 없이 현금 생활
-
주소지 없이 살아가는 법적 유령 상태
📌 3. 삶의 특징
🧍 극단적인 익명성
-
누구와도 연결되지 않으려는 삶
-
주변인들과 교류 없음, 쓰레기도 몰래 버림
-
실종자 전용 쉐어하우스 운영 사례도 있음
📴 단절된 통신
-
휴대폰 없음 / 프리페이드 폰 사용
-
SNS, 메신저 사용 거의 없음
-
가족, 친구, 회사와는 철저히 연락 끊음
🕳 정체성의 소멸
-
본명을 버리고, 가명으로 살아감
-
과거의 삶은 ‘다른 인생’으로 묻음
-
“죽지 않았지만 죽은 셈 치는” 삶을 스스로 선택함
📌 4. 심리적 상태
-
죄책감과 해방감이 공존
-
가족에게 미안하지만, 동시에 해방감을 느낌
-
-
불안한 평온
-
들키지 않기 위해 매일 긴장
-
하지만 누구도 간섭하지 않는 삶에 안정감을 느낌
-
-
‘다시는 돌아가지 않겠다’는 결심
-
재시작의 욕망보다 ‘도피’를 선택한 사람들
-
어떤 이는 “실종 후 처음으로 자유를 느꼈다”고 표현
-
📌 5. 실제 인터뷰에서 발췌한 말들
“나는 실종자가 아니라 나를 찾지 않았던 사회의 피해자라고 생각한다.”
— 48세 남성, 조하츠 후 7년째 건설일
“살아있는 게 죄 같은 느낌이었다. 그냥 사라지고 싶었다.”
— 30대 여성, 가족과 단절하고 교토 변두리에서 거주
“누가 내 이름을 부르는 순간이 가장 무섭다.”
— 20대 초반 남성, 취업 실패 후 잠적
📌 6. 살아남는 방식
-
자신이 스스로 "어디에도 소속되지 않는다"는 정체성을 받아들이며 살아감
-
종종 조하츠 전용 커뮤니티를 형성하기도 함
-
일부는 몇 년 후 다시 본래 사회로 돌아오기도 하나, 많은 경우 영원히 연락을 끊음
정리: 그들의 삶은…
항목 내용 정체성 존재하지만 기록되지 않는 사람 주거 은신처, 등록되지 않은 거주지 직업 비공식, 저임금, 불안정 감정 해방감 + 불안 + 고립 의미 자살 대신 선택한 사회적 소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