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語 “tablet”を外来語に変形する:
-
日本語表記: タブレット (タブレット)
-
発音: /ta.bu.re.tto/
-
英語ネーティブスピーカー発音とは全然違い:
-
初音節 /t〓b/ → タブー (ta.bu)で変形される
-
終り音節 /lt/ → レット(re.tto)に拡張される (日本語は廃音処理不可)
-
すなわち, 日本語も英語発音をそのまま書かないで, 日本語の音韻構造に合わせて再構成一外来語です.
それなら韓国表記法と日本語表記法の中で一番英語に近く発音することは?
良い質問です! 韓国語表記法と日本語表記法の中で 英語原語発音にもっと近く発音する方はどっちかを比べて見れば次の通りです.
1. 比較対象単語: tablet
-
英語原語発音: /t〓blt/ (タップ-ロッ, 強気は初音節)
2. 韓国語表記と発音: テブルリッ
-
音節単位で: 泰-ブル-リッ
-
発音: [t.blt] あるいは [t〓.blt]に近く発音
-
英語 ‘タップ’ (/t〓b/) → ‘泰’ (/t/ または /t〓/)に少し弱化される
-
‘ブリット’は原語の弱い /lt/より降下なの発音される
3. 日本語表記と発音: タブレット (タブレット)
-
音節単位で: タ-ブ-レッ-ト
-
発音: [ta.bu.re.tto]
-
英語 ‘タップ’ (/t〓b/) → ‘タブー’(/ta.bu/)に拡張される (不必要な音節追加)
-
‘レット’(/re.tto/)は英語にない追加音節
-
日本語は子音終決音がほとんどないから, 英語の弱い終決音を ‘土’や ‘土’のような音節で処理
4. 比較評価
項目 | 韓国語 ‘テブルリッ’ | 日本語 ‘タブレット’ |
---|---|---|
音節数 | 3 音節 | 4 音節 (もっと多い) |
終決音処理 | 英語弱い終決音‘-lt’ → ‘リッ’で比較的近さ | 英語弱い終決音 → ‘レット’で不必要な音節添加 |
初声/中性 | ‘タブを’ 部分が英語原語と比較的近接 | ‘タブー’ → 英語 /t〓b/より遠くなり |
強気 | 韓国語は強気がないが初音節に重さをドゥーム | 日本語は音節が皆似ているように平坦 |
-
韓国語 ‘テブルリッ’が英語原語発音にもっと近いです.
-
音節数が少なくて
-
英語の弱い終決音をわりとよく反映
-
初音節強気も似ているように感じられ
-
-
日本語 ‘タブレット’は日本語音韻体系のため音節がもっと増えて音価が変形されて英語原語と距離(通り)がもっと遠いです.
——————————
くそみたいな日本語
일본어 "tablet"을 외래어로 변형함:
-
일본어 표기: タブレット (타부렛토)
-
발음: /ta.bu.re.tto/
-
영어 원어민 발음과는 전혀 다름:
-
첫 음절 /ˈtæb/ → 타부 (ta.bu)로 변형됨
-
끝 음절 /lət/ → 렛토(re.tto)로 확장됨 (일본어는 폐음 처리 불가)
-
즉, 일본어도 영어 발음을 그대로 쓰지 않고, 일본어의 음운 구조에 맞춰 재구성한 외래어입니다.
그렇다면 한국 표기법과 일본어 표기법 중 가장 영어에 가깝게 발음하는 것은?
좋은 질문이에요! 한국어 표기법과 일본어 표기법 중에서 영어 원어 발음에 더 가깝게 발음하는 쪽은 어느 쪽인가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비교 대상 단어: tablet
-
영어 원어 발음: /ˈtæblət/ (탭-럿, 강세는 첫 음절)
2. 한국어 표기와 발음: 태블릿
-
음절 단위로: 태-블-릿
-
발음: [tɛ.blɪt] 혹은 [tæ.blɪt]에 가깝게 발음
-
영어 ‘탭’ (/tæb/) → ‘태’ (/tɛ/ 또는 /tæ/)로 조금 약화됨
-
‘블릿’은 원어의 약한 /lət/보다 강하게 발음됨
3. 일본어 표기와 발음: タブレット (타부렛토)
-
음절 단위로: タ-ブ-レッ-ト
-
발음: [ta.bu.re.tto]
-
영어 ‘탭’ (/tæb/) → ‘타부’(/ta.bu/)로 확장됨 (불필요한 음절 추가)
-
‘렛토’(/re.tto/)는 영어에 없는 추가 음절
-
일본어는 자음 종결음이 거의 없기 때문에, 영어의 약한 종결음을 ‘토’나 ‘토’같은 음절로 처리
4. 비교 평가
항목 | 한국어 ‘태블릿’ | 일본어 ‘タブレット’ |
---|---|---|
음절 수 | 3 음절 | 4 음절 (더 많음) |
종결음 처리 | 영어 약한 종결음 ‘-lət’ → ‘릿’으로 비교적 가까움 | 영어 약한 종결음 → ‘렛토’로 불필요한 음절 첨가 |
초성/중성 | ‘태블’ 부분이 영어 원어와 비교적 근접 | ‘타부’ → 영어 /tæb/보다 멀어짐 |
강세 | 한국어는 강세가 없지만 첫 음절에 무게를 둠 | 일본어는 음절이 모두 비슷하게 평탄함 |
-
한국어 ‘태블릿’이 영어 원어 발음에 더 가깝습니다.
-
음절 수가 적고
-
영어의 약한 종결음을 비교적 잘 반영
-
첫 음절 강세도 비슷하게 느껴짐
-
-
일본어 ‘タブレット’는 일본어 음운 체계 때문에 음절이 더 늘어나고 음가가 변형되어 영어 원어와 거리가 더 멉니다.
--------------------
똥 같은 일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