アメリカ政府当局者「韓国を無視しているわけではない。交渉は続いている」……そりゃ、「優先度が低いんで無視してます」って当局から言われるわけがないよね
米ホワイトハウスは25日(現地時間)、韓米間の貿易交渉状況に関連し「韓国と生産的な交渉を進行中」と明らかにした。
ホワイトハウス当局者はトランプ米大統領が予告した相互関税賦課日(8月1日)を1週間後に控え、韓米両国間の交渉状況に関する中央日報の質問にこのように答えた。 (中略)
ベッセント財務長官の「日程イシュー」を理由に当初25日(現地時間)に予定されていた韓米間のいわゆる「2プラス2会談」を延期になった背景について、ホワイトハウス当局者は「韓米間の議論状況や韓国に対する無視を反映するものではない」と明らかにした。この当局者はベッセント長官が2プラス2会談を突然延期した正確な背景を尋ねる中央日報の質問に対し、「ベッセント長官の日程イシューに関する具体的な内容は知らない」とし、このように答えた。 (中略)
韓米間の高官級会談が突然延期されたことを受け、韓国政府が提示した協議案に米国政府が不満を抱き、対米投資規模や市場開放でより一層の積極性を見せるべきという無言の圧力ではないかという解釈が出てきた。韓米2プラス2会談が米国の交渉優先順位で他の日程より後回しにされたのではという話もあった。
こうした見方に対し、ホワイトハウスはひとまず両国交渉過程の問題や韓国政府を狙った意図的な無視戦略の一環ではないと一線を画したと解釈される。
(引用ここまで)
「韓国を無視しているのか」とする中央日報の質問に対してホワイトハウスの当局者が「無視しているわけではない」と返答した、とのニュースですが。
……そりゃそうですよね。
いくらなんでも交渉している、そのど真ん中にある相手に対して「無視してます」とは答えんでしょ。
実態がどうであれ。
大統領室国家安保室長(閣僚級)が国務長官との会談の席に着いた段階で「国務長官がトランプ大統領に呼ばれたのでキャンセルで」ってされたとしても。
財政部長官(財務大臣に相当)が訪米する1時間前にメールで「2+2キャンセルするわ」って伝えてきたとしても。
さらにそのキャンセルの「日程に問題が生じた」とする具体的な中身が公表されていなくても。
「無視しています」とは言わないよ。
ちなみに財務長官の再訪米(そもそも行っていないので「再」なのかなんなのか……)は予定されていないのですが、外交部長官(外相に相当)が訪米して31日にマルコ・ルビオ国務長官との外相会談が行われるとのこと。
韓米、31日ワシントンで外相会談···関税猶予期限目前で対面(ニュース1・朝鮮語)
韓国側は「これが関税25%になる前、最後の交渉だ」って奮い立っているのですが。
外相会談でそこまで通商交渉するんですかね?
しかも、初顔合わせで。
なんのために通商産業資源部長官だの、財政部長官だのが訪米したり、できなかったりしたんだかって話ですわ。
現状の米韓外相会談だったら安保面が主たる議題になるんじゃないかなぁ。
先日の日米韓外務次官会議で「米韓同盟をアップデートすべき」「対中戦略で韓国も役割を持つべき」って言われたばっかりですしね?
미국 정부당국자 「한국을 무시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교섭은 계속 되고 있다」
그렇다면, 「우선도가 낮아서 무시하고 있습니다」라는 당국으로부터 말해질 리가 없지요
미 백악관은 25일(현지시간), 한미간의 무역 교섭 상황에 관련해 「한국과 생산적인 교섭을 진행중」이라고 분명히 했다.
백악관 당국자는 트럼프 미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 관세 부과일(8월 1일)을 1주일 후에 앞두어 한미 양국간의 교섭 상황에 관한 중앙 일보의 질문에 이와 같이 답했다. (중략)
벳센트 재무 장관의 「일정 발행」을 이유로 당초 25일(현지시간)로 예정되어 있던 한미간의 이른바 「2 플러스 2 회담」을 연기가 된 배경으로 대해서, 백악관 당국자는 「한미간의 논의 상황이나 한국에 대한 무시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분명히 했다.이 당국자는 벳센트 장관이 2 플러스 2 회담을 돌연 연기한 정확한 배경을 묻는 중앙 일보의 질문에 대해, 「벳센트 장관의 일정 발행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모른다」라고 해, 이와 같이 대답했다. (중략)한미간의 고관급 회담이 돌연 연기된 것을 받아 한국 정부가 제시한 협의안에 미국 정부가 불만을 품어, 대미 투자 규모나 시장개방으로 보다 한층 더 적극성을 보여야 하는 것이라고 하는 무언의 압력은 아닐것인가 라고 하는 해석이 나왔다.한미 2 플러스 2 회담이 미국의 교섭 우선 순위로 다른 일정보다 뒷전으로 된 것은이라고 하는 이야기도 있었다.
이러한 견해에 대해, 백악관은 일단 양국 교섭 과정의 문제나 한국 정부를 노린 의도적인 무시 전략의 일환은 아니면 구별을 분명히 했다고 해석된다.
(인용 여기까지)
「한국을 무시하고 있는 것인가」라고 하는 중앙 일보의 질문에 대해서 백악관의 당국자가 「무시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대답했다, 라는 뉴스입니다만.
그렇다면 그렇네요.
아무리 뭐라해도 교섭하고 있는, 그 한가운데에 있는 상대에 대해서 「무시하고 있습니다」라고는 대답하지 않아겠지.
실태가 어떻게여라.
재정 부장관(재무 대신에 상당)이 방미하는 1시간전에 메일로 「2+2캔슬해요」라고 전해 왔다고 해도.
한층 더 그 캔슬의 「일정에 문제가 생겼다」라고 하는 구체적인 내용이 공표되어 있지 않아도.
「무시하고 있는」라고는 말하지않아.
덧붙여서 재무 장관의 재방미(원래 가서 않기 때문에 「재」인가 무엇인가 )는 예정되지 않습니다만, 외교부장관(외상에 상당)이 방미해 31일에 마르코·르비오 국무장관과의 외상 회담을 한다라는 것.
한미, 31일 워싱턴에서 외상 회담···관세 유예 기한 눈 앞에서 대면(뉴스 1·조선어)
한국측은 「이것이 관세25%가 되기 전, 마지막 교섭이다」는 분발하고 있습니다만.
외상 회담에서 거기까지 통상 교섭 합니까?
게다가, 첫대면으로.
무엇때문에 통상 산업 자원 부장관이라든가, 재정 부장관이라든가가 방미하거나 할 수 없거나 했다 사 이야기예요.
현상의 한미 외상 회담이라면 안보면이 주된 의제가 되지 않을까.
요전날의일·미·한 외무차관 회의에서 「한미 동맹을 업데이트 해야 할 」 「대 중국 전략으로 한국도 역할을 가져야 한다」라고 말을 듣는지 얼마 안됨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