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F-21に装着予定である 国産短距離大公ミサである(例: 国内開発空対空短距離誘導弾)は データリンクがない場合があるのに, その理由は大きく次のような技術的・運用的背景で説明することができます:
1. 短距離ミサイルの運用特性
-
**短距離空対空ミサイル(SRAAM, Short Range Air-to-Air Missile)**は普通 赤外線柔道(IR homing) 方式を使って, 打ち上げ後には自体センサーで標的を追跡する 打ち上げ後忘却(Fire-and-Forget) 方式です.
-
この場合, ミサイルが打ち上げされた後には航空機や他のシステムから追加情報を受ける必要が ないです.
-
例: AIM-9 サイドワインダー, 国産 “秘宮” 技術基盤空対空ミサイルなど.
2. データリンクは主に中・長距離柔道武器に適用
-
中距離ミサイル(例: AIM-120 AMRAAM, 未ティア, 国産中距離 AAM)は標的まで距離が遠くて, 初盤には目標を追跡することができないから **中間柔道(mid-course guidance)**のために データリンクが必要です.
-
一方短距離ミサイルは打ち上げ直前に標的をラックオン(lock-on)とすぐ追跡するので リアルタイム位置更新が不用します.
3. ミサイル大きさ及び通信装備の制約
-
データリンク装備を搭載するためには 全力, 空間, 冷却などの資源が追加で必要です.
-
短距離ミサイルは小型軽量化が核心だから, データリンク装備を入れるには 空間と重さの制約が大きいです.
4. 費用と開発難易度高麗
-
データリンクは高価の通信技術が含まれて, 暗号化・干渉防止技術なども必要です.
-
短距離ミサイルの交戦時間が非常に短いから, このためリンク機能を追加することは 費用備え效果が低いです.
5. KF-21 自体センサーと統合運用
-
KF-21は AESA レーダー, 電子光学標的追跡装置(EO/IRST) など高性能センサーを搭載していて, 近距離戦闘でパイロットが直接標的を指定した後ミサイルにラックオンを歩いて足沙下面十分です.
-
敢えてミサイル自体にデータリンク機能がなくても戦闘機プラットホームが提供する情報だけで 完全な交戦が可能します.
結論
短距離空対空ミサイルにデータリンクのない理由は, 自体柔道能力で十分な近接交戦に相応しくて, 費用・重さ・空間などの效率性のため敢えて追加しないからです.
—————————
データリンクが搭載された短距離ミサイルは珍しいが, アメリカの AIM-9X Block IIは例外的にこれを取り揃えている. これを一気に開発しなさいということは AIM-9X Block II 水準の高難度技術をいっぺんに確保しなさいという話のようだ.
AIM-9X Block Iにはデータリンクがないし, 既存短距離ミサイルのような打ち上げの前ラックオン方式だった.
データリンクは元々中距離ミサイルに必須な技術なので, 中距離ミサイルを先に開発しながら該当の技術を確保して, 以後短距離ミサイルに適用するのがより現実的で效果的な接近方式だ.
KF-21에 장착 예정인 국산 단거리 대공미사일(예: 국내 개발 공대공 단거리 유도탄)은 데이터 링크가 없는 경우가 있는데, 그 이유는 크게 다음과 같은 기술적·운용적 배경에서 설명할 수 있습니다:
✅ 1. 단거리 미사일의 운용 특성
-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SRAAM, Short Range Air-to-Air Missile)**은 보통 적외선 유도(IR homing) 방식을 사용하며, 발사 후에는 자체 센서로 표적을 추적하는 발사 후 망각(Fire-and-Forget) 방식입니다.
-
이 경우, 미사일이 발사된 후에는 항공기나 다른 시스템으로부터 추가 정보를 받을 필요가 없습니다.
-
예: AIM-9 사이드와인더, 국산 "비궁" 기술 기반 공대공 미사일 등.
✅ 2. 데이터 링크는 주로 중·장거리 유도 무기에 적용
-
중거리 미사일(예: AIM-120 AMRAAM, 미티어, 국산 중거리 AAM)은 표적까지 거리가 멀고, 초반엔 목표를 추적할 수 없기 때문에 **중간 유도(mid-course guidance)**를 위해 데이터 링크가 필요합니다.
-
반면 단거리 미사일은 발사 직전에 표적을 락온(lock-on)하고 바로 추적하므로 실시간 위치 갱신이 불필요합니다.
✅ 3. 미사일 크기 및 통신 장비의 제약
-
데이터 링크 장비를 탑재하려면 전력, 공간, 냉각 등의 자원이 추가로 필요합니다.
-
단거리 미사일은 소형 경량화가 핵심이라, 데이터 링크 장비를 넣기에는 공간과 무게의 제약이 큽니다.
✅ 4. 비용과 개발 난이도 고려
-
데이터 링크는 고가의 통신 기술이 포함되며, 암호화·간섭 방지 기술 등도 필요합니다.
-
단거리 미사일의 교전 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이를 위한 링크 기능을 추가하는 것은 비용 대비 효과가 낮습니다.
✅ 5. KF-21 자체 센서와 통합 운용
-
KF-21은 AESA 레이더, 전자광학 표적추적장치(EO/IRST) 등 고성능 센서를 탑재하고 있어, 근거리 전투에서 파일럿이 직접 표적을 지정한 뒤 미사일에 락온을 걸어 발사하면 충분합니다.
-
굳이 미사일 자체에 데이터 링크 기능이 없어도 전투기 플랫폼이 제공하는 정보만으로 완전한 교전이 가능합니다.
🔎 결론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에 데이터 링크가 없는 이유는, 자체 유도 능력으로 충분한 근접 교전에 적합하고, 비용·무게·공간 등의 효율성 때문에 굳이 추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
데이터 링크가 탑재된 단거리 미사일은 드물지만, 미국의 AIM-9X Block II는 예외적으로 이를 갖추고 있다. 이를 단번에 개발하라는 것은 AIM-9X Block II 수준의 고난도 기술을 한꺼번에 확보하라는 말과 같다.
AIM-9X Block I에는 데이터 링크가 없으며, 기존 단거리 미사일과 같은 발사 전 락온 방식이었다.
데이터 링크는 원래 중거리 미사일에 필수적인 기술이므로, 중거리 미사일을 먼저 개발하면서 해당 기술을 확보하고, 이후 단거리 미사일에 적용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접근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