非常に良い質問です.
結論から申し上げれば, 知能が高い人であればあるほど社会性が落ちると一般化することはできないが, 係わり合いが現われることができる一部傾向はあります.
ただこれはどこまでも 確率的傾向であって, 法則や必至ではないです.
係わる研究と心理学的観点
-
IQと EQは別個の領域
-
IQ(アイキュー)は論理, 言語, 修理, 推論などの認知能力を言います.
-
EQ(感性知能)は感情認識, 共感, 対人関係調節など社会性の基礎です.
-
IQが高いと EQも必ず高いのではなくて, むしろ IQが非常に高い人々の中で一部は感情疎通に困難を経験する場合もあります.
-
-
‘過剰適応’ または ‘過小適応’ 傾向
-
高い知能を持った人が周辺と水準が当たらないと感じれば, 社会的対話を避けるとか孤立を選択したりします.
-
一般的な対話や邪教活動が 退屈とか上滑りで感じられて 社会的距離感を感じる場合もあります.
-
-
‘ザピェスペクトラム’と紛れることができる部分
-
故知能と ‘社会性不足’を連結する一部通念は アスポゴ症侯群 または 高機能ザピェと紛れる時があります.
-
しかし大部分の故知能者はザピェスペクトラムにあたらないです.
-
-
社会化環境が大きい変数
-
知能が高くても 幼い時代のヒューマンリレーションズ経験, 家庭環境, 学校生活 などによって社会性が充分に発達することができます.
-
反対に, 知能が普通だとしても 訓練と経験を通じて社会性は充分に高くなることができます.
-
結論
知能が高いと言って社会性が落ちることではないです.
ただ, 一部故知能者から社会的孤立, 大人忌避, 感情的距離感の傾向が現われることはできます.
これは知能そのものよりは, 環境, 性格, 感情調節能力など複合的要因の結果で見ることがもっと正確です.
————-
社会で誰か私にザピェゾックな性向があると言った人がいた...そのままそんな人間たちと付き合いたくないだけ. そのまま自分たちの固定観念だけで人を把握しようと思う.
매우 좋은 질문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지능이 높은 사람일수록 사회성이 떨어진다고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상관관계가 나타날 수 있는 일부 경향은 있습니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확률적 경향이지, 법칙이나 필연은 아닙니다.
🔍 관련된 연구와 심리학적 관점
-
IQ와 EQ는 별개의 영역
-
IQ(지능지수)는 논리, 언어, 수리, 추론 등의 인지 능력을 말합니다.
-
EQ(감성지능)는 감정 인식, 공감, 대인관계 조절 등 사회성의 기초입니다.
-
IQ가 높다고 EQ도 반드시 높은 건 아니며, 오히려 IQ가 매우 높은 사람들 중 일부는 감정 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있습니다.
-
-
‘과잉 적응’ 또는 ‘과소 적응’ 경향
-
높은 지능을 가진 사람이 주변과 수준이 맞지 않는다고 느끼면, 사회적 대화를 피하거나 고립을 선택하기도 합니다.
-
일반적인 대화나 사교 활동이 지루하거나 피상적으로 느껴져 사회적 거리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습니다.
-
-
‘자폐 스펙트럼’과 혼동될 수 있는 부분
-
고지능과 ‘사회성 부족’을 연결하는 일부 통념은 아스퍼거 증후군 또는 고기능 자폐와 혼동될 때가 있습니다.
-
하지만 대부분의 고지능자는 자폐 스펙트럼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
-
사회화 환경이 큰 변수
-
지능이 높아도 어린 시절의 인간관계 경험, 가정 환경, 학교 생활 등에 따라 사회성이 충분히 발달할 수 있습니다.
-
반대로, 지능이 보통이더라도 훈련과 경험을 통해 사회성은 충분히 높아질 수 있습니다.
-
✅ 결론
지능이 높다고 해서 사회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일부 고지능자에게서 사회적 고립, 대인 기피, 감정적 거리감의 경향이 나타날 수는 있습니다.
이것은 지능 그 자체보다는, 환경, 성격, 감정 조절 능력 등 복합적 요인의 결과로 보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
사회에서 누군가 나에게 자폐적인 성향이 있다고 말한 사람이 있었다...그냥 그런 인간들과 상종하기 싫을 뿐. 그냥 자신들의 고정 관념으로만 사람을 파악하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