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年 7月現在, 日本は自国米代の急騰と需給不安定問題を経験しているし, その代案で韓国産米の収入と消費を本格化している. これはその間ほとんど不可能だった日本の外国産米市場開放を意味して, 韓国米の品質と価格競争力が日本消費者に実質的な代案と認められているという証拠だ.
実際に韓国産米は日本市場で早くワンパンドエであり, 輸出規模も史上最大水準で拡がっている. このような変化は日本内食糧自給政策の限界を現わして, 今後とも韓国産米の日本輸出は倦まず弛まず増加することと予想される.
したがって韓国は農産物輸出戦略で米を核心品目にして日本市場を長期的に攻略する必要があり, これは農家所得安定と外貨確保にも大きく寄与することができる.
トランプ交渉を通じて米国産米の日本収入が拡がる可能性はあるが, これは日本政府の農業保護政策と WTO クオーター制限の中で成り立つ制限的な変化であるだけ, 韓国産米の市場拡大を塞ぐ決定的な変数ではない.
日本は自国農家を保護するために外国産米収入を厳格に制限して来たし, 今度交渉でも米国産米収入は関税免除クオーター内でばかり許容された. 一方, 韓国産米は最近日本の物価上昇と品質競争力を土台で民間需要を中心に収入が拡がっているし, これは日本消費者の選択によって自然に形成された実質的な市場だ.
したがって米国産米の拡大は日本内 ‘政府主導型収入’である一方, 韓国産米は ‘消費者選択に基盤した民間需要型収入’という差別性を持って, しばらく二つの流れは併行されるはずで韓国産米の着るのは易しく弱化されないだろう.
2025년 7월 현재, 일본은 자국 쌀값의 급등과 수급 불안정 문제를 겪고 있으며, 그 대안으로 한국산 쌀의 수입과 소비를 본격화하고 있다. 이는 그동안 거의 불가능했던 일본의 외국산 쌀 시장 개방을 의미하며, 한국 쌀의 품질과 가격 경쟁력이 일본 소비자에게 실질적인 대안으로 인정받고 있다는 증거다.
실제로 한국산 쌀은 일본 시장에서 빠르게 완판되고 있으며, 수출 규모도 사상 최대 수준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일본 내 식량 자급 정책의 한계를 드러내며, 앞으로도 한국산 쌀의 일본 수출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한국은 농산물 수출 전략에서 쌀을 핵심 품목으로 삼아 일본 시장을 장기적으로 공략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농가 소득 안정과 외화 확보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트럼프 협상을 통해 미국산 쌀의 일본 수입이 확대될 가능성은 있으나, 이는 일본 정부의 농업 보호 정책과 WTO 쿼터 제한 속에서 이뤄지는 제한적인 변화일 뿐, 한국산 쌀의 시장 확대를 가로막는 결정적인 변수는 아니다.
일본은 자국 농가를 보호하기 위해 외국산 쌀 수입을 엄격히 제한해 왔으며, 이번 협상에서도 미국산 쌀 수입은 관세 면제 쿼터 내에서만 허용되었다. 반면, 한국산 쌀은 최근 일본의 물가 상승과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민간 수요를 중심으로 수입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일본 소비자의 선택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실질적인 시장이다.
따라서 미국산 쌀의 확대는 일본 내 ‘정부 주도형 수입’인 반면, 한국산 쌀은 ‘소비자 선택에 기반한 민간 수요형 수입’이라는 차별성을 가지며, 당분간 두 흐름은 병행될 것이고 한국산 쌀의 입지는 쉽게 약화되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