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求人倍率がアジア通貨危機時代にほぼ並んでしまう……韓国経済の夜明けはどっち?
7月求職者1人当り働き口が0.40個で26年ぶりに最低値を記録し、雇用保険常時加入者増加幅も2003年以後最も低く現れた。 製造業不振の余波で全般的な雇用寒波が持続する姿だ。
11日、雇用労働部が発表した「2025年7月雇用行政統計で見た労働市場動向」によれば、7月雇用保険常時加入者は1559万9000人で、昨年同月より18万人(1.2%)増加した。 これは03年7月(10万6000人)以後、22年ぶりに最も低い増加幅だ。 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症の初期だった2020年7月(18万6000人)よりも低い水準だ。
同期間の求職者1人当りの働き口数は0.40個で、1999年以後26年ぶりに最も低い数値を記録した。
産業別雇用保険常時加入者現況を見れば、サービス業は先月20万3000人増加したが、製造業(-5000人)と建設業(-1万9000人)は減少した。 製造業は薬品、食料品、化学製品などで増加したが、金属加工、繊維、機械装備、ゴム・プラスチック、1次金属を中心に減少した。
サービス業は保健福祉、事業サービス、専門科学、宿泊飲食、運輸倉庫などを中心に増加したが、卸小売、情報通信は減少が続いた。
建設業は総合建設業を中心に24ヵ月連続減少したが、減少幅は鈍化したことが分かった。
年齢別では、30代(7万5000人)、50代(4万8000人)、60歳以上(18万人)は増加し、29歳以下(-9万人)と40代(-3万3000人)は減少した。
29歳以下は人口減少の影響を受け、情報通信(-2万人)、製造業(-2万人)、卸·小売(-1万7000人)、専門科学技術(-8000人)などで減り、40代は人口減少の影響を受け、建設業(-1万4000人)、卸・小売(-9000人)、製造業(-9000人)などで減った。
(引用ここまで)
韓国で7月分の雇用統計が発表されまして。
求人倍率は0.4。
まだアジア通貨危機の1999年以降で最低の数字とのこと。
1999年の数字は0.39で危うく最低を更新するところだったレベルでの低さ。
ちなみに日本の求人倍率(6月)は1.22。じわじわと下落していますがまだ余裕で1を上回っています。
コロナ禍前には1.6前後だったのでアベノミクスがどれだけ効いていたかの証左でもありますね。
0.4ってちょっと覚えがないというか、日本での年間の数字を見ても20世紀は1999年の1年での0.48が最低。21世紀だとリーマンショックでの0.45が最低。
どちらも当該年のどんより感といったらなかったですからね。
あれを余裕で下回る数字っていったらもうどうにもならないだろうなぁ。
とにかく建設業、不動産、製造業の減りがやばい。
これらの産業は韓国での「経済を牽引してきた主要産業」なのですが、もはや復活する兆しが見えない。
「減り幅が減少している」とかなんの冗談なんだって話でもありますね。
楽韓Webでは「現在の韓国は21世紀に入ってから最悪の不況を迎えている」となんなら23年の年末くらいから言い続けていますが。
どこをどうすれば改善できるんですかね。
ここに加えて最大の貿易黒字を計上していたアメリカではトランプ関税15%。
対中貿易は3年連続で貿易赤字計上。
どこに向かえばいいのやら。
イ・ジェミョンも総合的な経済政策なにも出してこないですしね。
やったのは不動産取引規制と消費クーポンのばらまき(本人曰く「ノーベル平和賞がもらえる政策」だそうで)。
まあ、当初の想定通りといえばその通りではある。
한국, 구인 배율이 아시아 통화 위기 시대에 거의 줄서 버리는
한국 경제의 새벽은 어느 쪽?
7월 구직자 1인당 일자리가 0.40개로 26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해, 고용 보험 상시 가입자 증가폭도 2003년 이후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제조업 부진한 여파로 전반적인 고용 한파가 지속하는 모습이다.
11일, 고용 노동부가 발표한 「2025년 7월 고용 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 의하면, 7월 고용 보험 상시 가입자는 1559만 9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8만명(1.2%) 증가했다. 이것은 03년 7월(10만 6000명) 이후, 22년만에 가장 낮은 증가폭이다.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초기였던 2020년 7월(18만 6000명)보다 낮은 수준이다.
동기 사이의 구직자 1인당의 일자리수는 0.40개로, 1999년 이후 26년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산업별 고용 보험 상시 가입자 현황을 보면, 서비스업은 지난 달 20만 3000명 증가했지만, 제조업(-5000사람)과 건설업(-1만 9000명)은 감소했다. 제조업은 약품, 식료품, 화학제품등에서 증가했지만, 금속 가공, 섬유, 기계 장비, 고무·플라스틱, 1차 금속을 중심으로 감소했다.
서비스업은 보건복지, 사업 서비스, 전문 과학, 숙박 음식, 운수 창고등을 중심으로 증가했지만, 사소매, 정보 통신은 감소가 계속 되었다.
건설업은 종합 건설업을 중심으로 24개월 연속 감소했지만, 감소폭은 둔화한 것을 알았다.
연령별에서는, 30대(7만 5000명), 50대(4만 8000명), 60세 이상(18만명)은 증가해, 29세 이하(-9만명)와 40대(-3만 3000명)는 감소했다.29세 이하는 인구 감소의 영향을 받아 정보 통신(-2만명), 제조업(-2만명), 사·소매(-1만 7000명), 전문 과학기술(-8000사람)등에서 줄어 들어, 40대는 인구 감소의 영향을 받아 건설업(-1만 4000명), 사·소매(-9000사람), 제조업(-9000사람)등에서 줄어 들었다.
(인용 여기까지)
한국에서 7월분의 고용 통계가 발표되어서.
구인 배율은 0.4.
아직 아시아 통화 위기의 1999년 이후에 최저의 숫자라는 것.
1999년의 숫자는 0.39로 위험하게 최저를 갱신하는 곳(중)이었던 레벨로의 낮음.
덧붙여서 일본의 구인 배율(6월)은 1.22.천천히 하락하고 있습니다만 아직 여유로 1을 웃돌고 있습니다.
코로나화전에는 1.6 전후였으므로 아베노미크스가 얼마나 효과가 있고 있었는지의 증거이기도 한군요.
0.4는 조금 기억이 없다고 하는지, 일본에서의 연간의 숫자를 봐도 20 세기는 1999년의 1년으로의 0.48이 최저.21 세기라면 리만손크로의 0.45하지만 최저.
어느쪽이나 해당년 목응보다 감이라고 하면 뭐라 이를 데 없었으니까.
저것을 여유로 밑도는 숫자라고 하면 이제(벌써) 어쩔 도리가 없을 것이다.
어쨌든 건설업, 부동산, 제조업의 감소가 위험하다.
이러한 산업은 한국에서의 「경제를 견인해 온 주요 산업」입니다만, 이미 부활하는 조짐이 안보인다.
「줄어 들어 폭이 감소하고 있다」라고일까 의 농담 라고 이야기이기도 한군요.
락한Web에서는 「현재의 한국은 21 세기에 들어가고 나서 최악의 불황을 맞이하고 있다」라고 뭣하면 23년의 연말 정도로부터 계속 말하고 있습니다만.
어디를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습니까.
여기에 가세해 최대의 무역흑자를 계상하고 있던 미국에서는 트럼프 관세 15%.
대 중국 무역은 3년 연속으로 무역적자 계상.
어디로 향하면 좋을지.
이·제몰도 종합적인 경제정책 아무것도 내 오지 않기도 하구요.
뭐, 당초의 상정 대로라고 하면 그 대로이다.